제목 [기업분석] 2021 초연결 지능화시대 DNA 분야 혁신기업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120
용량 20.39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기업분석] 2021 초연결 지능화시대 DNA 분야 혁신기업.pdf 20.3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02 
출처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페이지 수 : 204 

< 목 차 >

 

1장. 조사개요

2장. DNA 산업 주요 현황

3장. DNA 산업 주요 혁신기업 프로파일

 


 

코로나19 팬데믹 발생 이후 글로벌 산업은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전 산업군에 걸쳐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4차산업 핵심기술인 데이터(Data), 네트워크 (Network), 인공지능(AI) 분야의 응용산업이 활성화되며 IT산업 성장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빅데이터 시장규모는 2021년 약 $537억에서 매년 14.0%의 성장을 걸쳐 2027년 $1,161억의 시장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예측1)되고 있으며 네트워크 기술의 핵심 서비스 기술 시장인 5G 서비스 시장은 2021년 $466억에서 2028년 $6,647억으로 연평균 46.2%의 폭발적인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2). 또한 글로벌 IT 시장조사 기관 IDC에 따르면 글로벌 인공지능 시장은 2021년 $3,275억의 시장규모에서 연평균 17.5%의 고성장세를 유지하며 2024년 $5,543억의 시장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됐다. 이처럼 글로벌 IT산업에서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기술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글로벌 주요국들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동력인 DNA 산업에 대한 정책지원 집중을 통해 글로벌 디지털 경제 주도 및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고 있다. 특히, 국내는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혁신성장이 가시화되는 가운데, 2020년 정부는 한국판뉴딜 정책(디지털 뉴딜 포함)을 발표했으며, 급격한 대내외적 환경 변화에 따른 요구를 반영하여 관련 성과를 더욱 확산/발전시키고자 2021년 7월 한국판뉴딜 2.0 정책을 발표했다. 한국판뉴딜 정책은 디지털뉴딜, 그린뉴딜, 휴먼뉴딜의 3개 축을 기반으로 국내 시장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DNA 등의 지능정보 기술이 핵심 기술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한국판 뉴딜 정책을 기반으로 관련 성과 확산, DNA 산업활성화 및 유관 기업들의 글로벌 선도가 이어질 수 있도록 유망기업 발굴과 최신 산업정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DNA 분야별로 우수한 성과를 창출하고 있는 주요 기업들을 대상으로 혁신기업들의 제품/서비스 및 적용사례, 혁신성과 및 혁신기술, 애로사항/정책수요 등의 혁신수준 파악을 통해 국내 DNA 기업에 대한 체계적인 기업지원 및 혁신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물은 정부 및 유관기관 측면에서 디지털 뉴딜의 핵심 기술 인프라인 DNA산업에 대한 활성화와 국내 디지털뉴딜 확대를 위한 정책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유관 기업에게는 DNA별 산업현황 파악과 주요 기업들의 혁신적인 제품/서비스 사례를 통해 기업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기업 전략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1) FortuneBusiness, 2021 2) GrandviewResearch, 2021 4 2절 조사방법 본 조사는 국내에서 데이터(Data), 네트워크(Network), 인공지능(AI) 사업을 영위하는 분야별 공급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한 정량조사를 진행했으며, 선정평가를 통해 선정된 주요 우수기업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했다. 특히, 모집단 구축, 기업 선정/평가 등을 고도화하기 위해 DNA 산업전문가 및 VC 전문가로 구성된 조사 거버넌스를 구축하며 프로젝트 수행에 있어 분야별 전문가의 의견 반영을 통해 조사결과 품질을 제고하고자 노력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44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호주 콘텐츠 산업동향 1도토리 정한솔
344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콘텐츠, 가상융합경제의 혈액이 되다 1도토리 강정훈
344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NFT 커지는 시장과 활용 1도토리 강정훈
344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친환경 소비시대, 부상하는 그린슈머를 공략하라! 7도토리 강정훈
344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메타버스, XR로 꽃피우다 7도토리 조정희
3443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AMD의 반도체 기술 동향 및 시사점 1도토리 한상윤
344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마이크로 LED 전사, 접합, 그리고 불량 화소 수리 기술 1도토리 한상윤
344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데이터센터 통신용 광소자 및 광부품 기술 동향 1도토리 김민성
3440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상시 근골격 모니터링과 재활을 위한 온스킨 센서 디바이스 기술 1도토리 김민성
343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우주방사선 환경 ICT 소자 영향 및 개발 동향 1도토리 김민성
3438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테라헤르츠파 기반 대인 보안검색 기술의 동향과 발전 전망 1도토리 김민성
343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결함허용 양자컴퓨팅 시스템 기술 연구개발 동향 1도토리 김민성
343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 산업기술 환경예측 7도토리 김민성
343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One & Only 차세대 디지털 자산 「NFT」 1도토리 김민성
343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한 임무 지향적 혁신정책의 과제 1도토리 김민성
343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일본 에너지 기반 산업의 녹색전환(GX) 방향성 3도토리 김민성
343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선박운항 탄소중립을 위한 재생에너지 활용 1도토리 김민성
343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재난 대응 로봇 기술 동향과 발전 방향 3도토리 김민성
3430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OECD 주관 국제 인공지능 콘퍼런스 현장 보고서 3도토리 김민성
342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북한의 과학기술 혁신정책 변화와 시사점 3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