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기업분석] 2021 초연결 지능화시대 DNA 분야 혁신기업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94
용량 20.39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기업분석] 2021 초연결 지능화시대 DNA 분야 혁신기업.pdf 20.3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02 
출처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페이지 수 : 204 

< 목 차 >

 

1장. 조사개요

2장. DNA 산업 주요 현황

3장. DNA 산업 주요 혁신기업 프로파일

 


 

코로나19 팬데믹 발생 이후 글로벌 산업은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전 산업군에 걸쳐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4차산업 핵심기술인 데이터(Data), 네트워크 (Network), 인공지능(AI) 분야의 응용산업이 활성화되며 IT산업 성장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빅데이터 시장규모는 2021년 약 $537억에서 매년 14.0%의 성장을 걸쳐 2027년 $1,161억의 시장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예측1)되고 있으며 네트워크 기술의 핵심 서비스 기술 시장인 5G 서비스 시장은 2021년 $466억에서 2028년 $6,647억으로 연평균 46.2%의 폭발적인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2). 또한 글로벌 IT 시장조사 기관 IDC에 따르면 글로벌 인공지능 시장은 2021년 $3,275억의 시장규모에서 연평균 17.5%의 고성장세를 유지하며 2024년 $5,543억의 시장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됐다. 이처럼 글로벌 IT산업에서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기술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글로벌 주요국들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동력인 DNA 산업에 대한 정책지원 집중을 통해 글로벌 디지털 경제 주도 및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고 있다. 특히, 국내는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혁신성장이 가시화되는 가운데, 2020년 정부는 한국판뉴딜 정책(디지털 뉴딜 포함)을 발표했으며, 급격한 대내외적 환경 변화에 따른 요구를 반영하여 관련 성과를 더욱 확산/발전시키고자 2021년 7월 한국판뉴딜 2.0 정책을 발표했다. 한국판뉴딜 정책은 디지털뉴딜, 그린뉴딜, 휴먼뉴딜의 3개 축을 기반으로 국내 시장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DNA 등의 지능정보 기술이 핵심 기술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한국판 뉴딜 정책을 기반으로 관련 성과 확산, DNA 산업활성화 및 유관 기업들의 글로벌 선도가 이어질 수 있도록 유망기업 발굴과 최신 산업정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DNA 분야별로 우수한 성과를 창출하고 있는 주요 기업들을 대상으로 혁신기업들의 제품/서비스 및 적용사례, 혁신성과 및 혁신기술, 애로사항/정책수요 등의 혁신수준 파악을 통해 국내 DNA 기업에 대한 체계적인 기업지원 및 혁신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물은 정부 및 유관기관 측면에서 디지털 뉴딜의 핵심 기술 인프라인 DNA산업에 대한 활성화와 국내 디지털뉴딜 확대를 위한 정책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유관 기업에게는 DNA별 산업현황 파악과 주요 기업들의 혁신적인 제품/서비스 사례를 통해 기업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기업 전략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1) FortuneBusiness, 2021 2) GrandviewResearch, 2021 4 2절 조사방법 본 조사는 국내에서 데이터(Data), 네트워크(Network), 인공지능(AI) 사업을 영위하는 분야별 공급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한 정량조사를 진행했으며, 선정평가를 통해 선정된 주요 우수기업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했다. 특히, 모집단 구축, 기업 선정/평가 등을 고도화하기 위해 DNA 산업전문가 및 VC 전문가로 구성된 조사 거버넌스를 구축하며 프로젝트 수행에 있어 분야별 전문가의 의견 반영을 통해 조사결과 품질을 제고하고자 노력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42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소셜벤처의 혁신능력 향상을 위한 정책과제 7도토리 민준석
342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기술규제 이해관계자협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 3도토리 민준석
342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비상장 벤처기업 주식매수선택권 동향과 이슈 1도토리 민준석
342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국내외 재창업 지원 정책 비교 및 시사점 3도토리 민준석
342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대재해처벌법의 올바른 인식과 중소기업의 대응 3도토리 이지훈
342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가 우리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 3도토리 이지훈
342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부채 관리 방안 1도토리 이지훈
342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의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제도 비교 : 재생·폐업, 신용회복, 특별구제 중심으로 3도토리 이지훈
342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소상공인 부채 문제 해결을 위한 현실적 정책방안 1도토리 이지훈
341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이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3도토리 이지훈
341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1년 의약품 허가보고서 7도토리 국준아
3417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수전해 그린수소와 나노기술 3도토리 국준아
341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코로나19 이후의 소득보장체계 구축방향 1도토리 국준아
341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이 금융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보완과제 1도토리 국준아
3414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2022년 한국 경제 수정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13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 슬로플레이션 가능성 점증 3도토리 이지훈
341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엥겔계수, 2000년 이후 21년 만 최고치 1도토리 이지훈
341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동 지역의 재생에너지 발전 전망 및 시사점 3도토리 이지훈
341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서방의 대러시아 제재의 영향 3도토리 이지훈
340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동남아 디지털 플랫폼 경제의 현황과 전망 3도토리 나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