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디지털전환 실태 및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황세영 조회수 37
용량 3.09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디지털전환 실태 및 시사점.pdf 3.0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10 
출처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페이지 수 : 39 

< 목 차 >

 

| 요 약 |

Ⅰ. 서론

Ⅱ. 기업 디지털전환의 개념적 이해

Ⅲ. 디지털전환 실태조사 주요 결과

Ⅳ. 중소기업 디지털전환 정책에 대한 시사점 

 


 

| 요 약 | 2  기업 디지털전환 실태 파악의 필요성  코로나 이후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전환이 기업 우선순위로 급부상함  그동안 정부의 디지털전환 정책은 기술보급과 양적 확대라는 공급자 주도 정책으로 디지털 기술이 기업에 체화되는 과정을 고려한 수요자 관점에서의 정책 접근이 부족했음  중소기업 디지털전환 정책 개선을 위해 현재 기업의 디지털전환에 대한 체계적 실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함 - 그간 여러 기관 조사를 통해 국내 기업의 디지털전환 현황이 파악되고 있으나 기업별 디지털전환의 다양성과 수용 정도를 반영 한 구조화가 미흡하였음  기업 디지털전환의 개념적 접근  ICT 기반 혁신의 단계적 진화 관점에서 기업 디지털전환은 전산화, 디지털화, 디지털 전환의 3단계로 개념화 할 수 있음  기업 디지털전환 과정은 디지털전환기 환경변화에 대한 기업 인식과 대응 측면에서 감지-기회포착-재구성․전환이라는 동적역량(Dynamic Capabilities)의 틀에서 이해 할 수 있음 - 기업은 외부 환경에 대한 인식과 해석을 통해 디지털전환의 필요성을 발견하고 전략적 대응을 도모함 - 디지털전환 추진하는 과정에서 조직 구조의 변화나 소통 방식의 변화, 또는 조직 문화의 변화가 수반됨 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디지털전환 실태조사 개요  기업 디지털전환에 대한 개념적 이해를 바탕으로 설문조사서를 체계화함 - 기업의 환경 변화 인식과 대응, 기업의 디지털전환 현황 및 계획, 디지털전환에 대한 전략적 접근, 디지털전환 추진 방식과 조직 영향, 디지털전환 추진 성과 및 애로사항 부문으로 구성  수요와 경제적 성과 측면에서 디지털전환 효과가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이노비즈 인증 기업) 450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 | 요 약 | 3 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디지털전환 실태조사 주요결과  디지털전환 추진 단계가 기업마다 다양하며 기업의 디지털전환 목표에 따라 디지털전환 접근 내용이나 고도화 수요가 달라질 수 있음 - 디지털전환 추진 목표가 효율성이나 비용 절감일 경우 정보화 단계를, 기업 성장일 경우에 디지털전환 단계를 선택하는 경향을 보임  업종별 디지털전환 긴급도나 요구되는 디지털전환 수준에 차이가 존재함 - 대체적으로 제조업에서 디지털전환에 무관심한 기업이 많고 디지털전환 추진 단계가 낮으며 환경 변화 영향을 크지 않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남 - 동적역량이 높은 업종일수록 고도화된 단계의 디지털전환을 추진하는 것으로 나타남  최종 디지털전환 단계의 경우 주 생산품 형태가 서비스나 완제품인 기업 비중이 높음  디지털 리더십이 필수이자 기업 디지털전환에 가장 큰 애로요인임 - CEO의 통찰력과 추진력은 기업들이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디지털전환 성공요인임 - 그러나 디지털전환 추진 장애요인 조사 결과 경영진 적극성 및 예산 지원 부족, 전략 수립 역량 부족 등 리더십 관련 항목이 상위 순위로 조사됨  중소기업 디지털전환 정책에 대한 시사점 시사점 1. 디지털전환 추진 단계를 고려한 수요자 관점 정책 접근이 필요함  기업 디지털전환 추진 단계에 맞는 디지털전환 전략수립 지원이 필요함 - 기업의 디지털전환 수준이나 준비도를 진단하고 기업 성장경로에 맞추어 디지털전환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 또는 멘토링 지원이 필요함  중소기업 맞춤형 지원 정책 마련을 위해 디지털전환 추진 단계별 실태조사가 필요함 - 미추진 기업에 대해서는 기업 수준에 맞는 디지털전환용 솔루션을 기획․보급하고 기업 내부에 디지털업무 관련 역량 구축을 우선 지원할 필요가 있음 - 추진 기업에 대해서는 추진 단계별 정확한 기술 및 인력 수요를 조사하여 국가 단위 또는 산업 단위 관련 장단기 기술로드맵 및 인력 수급계획에 반영할 필요가 있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67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우리 수출기업의 친환경 소비트렌드 대응현황 및 시사점 3도토리 나혜선
367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파키스탄 정권 교체의 배경과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3677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_글로벌 에너지공급망 변화 및 장, 단기 대응 전략 3도토리 국준아
3676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긴급재난지원금을 통해 관광, 문화예술, 콘텐츠 소비 지출에 미친 영향 7도토리 국준아
367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농업 혁신과 농촌 재생을 위한 농정 전략 및 과제 7도토리 국준아
367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 방위산업 공급망조사 보고서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67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조선인력 수급의 문제점과 대응 방안 1도토리 국준아
367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반도체산업의 공급망 현황 및 자립화 전략 1도토리 국준아
367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 움직임 및 정책적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6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제조업+인공지능 응용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66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국토환경분야 그린뉴딜 ODA의 추진방향 1도토리 국준아
3668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빌리티 패턴 변화 1도토리 국준아
366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End to End 지능형 자동화, 하이퍼오토메이션 1도토리 국준아
366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혁신도시와 주변지역의 연계실태 및 상생발전전략 1도토리 국준아
366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공공임대주택과 주거급여제도의 정책효과 분석 및 성과제고 방안 1도토리 김민성
366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경기도 고용노동 행정서비스 개선에 대한 정책 방안 7도토리 김민성
3663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경기북부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3대 전략 3도토리 조현상
366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스마트한 규제로 새로운 성장동력 만들기 3도토리 조현상
3661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동향] 국가별 바이오안전성 동향_미국 2022 7도토리 안소영
3660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러-우크라 전쟁이 GMO 곡물 교역에 미치는 영향.pdf 1도토리 안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