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스마트제조 테스트베드 기반의 중소·중견기업 디지털 전환 지원 방안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전아람 조회수 42
용량 4.02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스마트제조 테스트베드 기반의 중소·중견기업 디지털 전환 지원 방안.pdf 4.0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21 
출처 :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 
페이지 수 : 29 

< 목 차 >

 

| 요 약 |

Ⅰ. 배경 및 필요성

Ⅱ. 현황 및 문제점

Ⅲ. 핵심전략 및 실행과제

 


 

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 추세와 스마트제조의 확산에 대비하기 위하여 정부는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추진 중  중소벤처기업부의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 등을 통하여 국내 제조업 생태계의 핵심인 중소·중견기업들의 제조역량 고도화를 지원 - 스마트공장 구축 실적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2년까지 정부가 목표로 제시한 3만개 보급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 직접적인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이외에도, 기업의 스마트화 수준 진단 및 제조현장의 애로 해결을 지원하는 간접지원 사업도 병행  스마트공장의 양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스마트제조 생태계 전반의 경쟁력 확보 및 고도화는 한계  국내 스마트제조 전략은 제조장비 산업 등 운영기술 분야보다 정보기술 분야 역량 강화에 편중된 상황  스마트제조 공급기업의 대다수를 정보화 솔루션 기업이 차지하고 있으며, 旣 구축된 스마트공장 역시 대부분이 아직 기초 수준으로 평가  중소기업들의 경우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을 생산과정에 실제 적용하는 비율이 높지 않은 상황  스마트제조의 적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효과들을 사전에 검토할 수 있도록 지원 하는 시뮬레이션 툴 역시, 고가의 도입 비용으로 인해 영세·중소기업의 경우 직접 구매하여 활용하는데 한계  대·중소기업 간 혁신의 격차를 줄이고, 중소·중견 제조기업들의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기 위한 제조혁신 정책을 수립할 필요 | 요 약 | 3  중소·중견기업의 제조역량이 디지털화·정보화 역량과 융합되는 OT(운영기술)·IT(정보기술) 융합형 스마트제조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여 기업들의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과 산업의 혁신 선도를 지원  제조혁신 관점의 정책보완을 통해 ① 기존 스마트공장의 고도화, ② 현장 제조데이터 분석 결과와 기업의 제조역량 융합, ③ 스마트제조 연착륙 및 확대 추진 전략 목표 축적된 제조역량과 디지털화·정보화 역량 간 융합을 통한 중소·중견기업의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 및 산업 혁신 선도 뾞 구분 전략 주요 내용 기반 구축 OT·IT 융합형 스마트제조 선도 테스트베드 구축 기반 구축 지역 공공 혁신주체를 활용하여 OT·IT 융합형 스마트제조 선도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KAMP* 와 연계 시범 사업 국내 중소 제조기업 현안 해결 및 미래 성장동력 발굴 관점에서 우선추진 분야를 선정하고 시범사업 추진 활용 지원 개별 기업의 스마트제조 시뮬레이션 툴 보급·활용 지원 금융 지원 공공펀드 조성 및 민관 협력 매칭펀드 등을 통한 디지털 전환 비용 부담 완화 활용 지원 플랫폼-모듈형 기반의 수요기업별 맞춤형 시뮬레이션 툴 보급·활용 지원 전문인력 양성 운영기술(OT)과 정보기술(IT) 간의 융합 교육 활성화를 통한 디지털 전환 전문인력 확보 기술력 확보 국내 스마트제조 장비 및 시뮬레이션 툴 경쟁력 제고 스마트제조 장비 대·중소·중견기업,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이 참여하는 컨소시엄 구축 및 공공주도 보급 시범사업 추진 시뮬레이션 툴 제조데이터 기반의 공정 최적화 시뮬레이션 기술 고도화 및 차세대 디지털 시각화 기술 개발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67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우리 수출기업의 친환경 소비트렌드 대응현황 및 시사점 3도토리 나혜선
367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파키스탄 정권 교체의 배경과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3677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_글로벌 에너지공급망 변화 및 장, 단기 대응 전략 3도토리 국준아
3676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긴급재난지원금을 통해 관광, 문화예술, 콘텐츠 소비 지출에 미친 영향 7도토리 국준아
367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농업 혁신과 농촌 재생을 위한 농정 전략 및 과제 7도토리 국준아
367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 방위산업 공급망조사 보고서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67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조선인력 수급의 문제점과 대응 방안 1도토리 국준아
367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반도체산업의 공급망 현황 및 자립화 전략 1도토리 국준아
367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 움직임 및 정책적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6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제조업+인공지능 응용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66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국토환경분야 그린뉴딜 ODA의 추진방향 1도토리 국준아
3668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빌리티 패턴 변화 1도토리 국준아
366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End to End 지능형 자동화, 하이퍼오토메이션 1도토리 국준아
366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혁신도시와 주변지역의 연계실태 및 상생발전전략 1도토리 국준아
366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공공임대주택과 주거급여제도의 정책효과 분석 및 성과제고 방안 1도토리 김민성
366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경기도 고용노동 행정서비스 개선에 대한 정책 방안 7도토리 김민성
3663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경기북부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3대 전략 3도토리 조현상
366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스마트한 규제로 새로운 성장동력 만들기 3도토리 조현상
3661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동향] 국가별 바이오안전성 동향_미국 2022 7도토리 안소영
3660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러-우크라 전쟁이 GMO 곡물 교역에 미치는 영향.pdf 1도토리 안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