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기술동향] 머신러닝 기반의 차세대 통신 기술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전아람 조회수 117
용량 1.24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기술동향] 머신러닝 기반의 차세대 통신 기술 동향.pdf 1.2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23 
출처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페이지 수 : 12 

5G 기술의 발전과 함께 네트워크 환경을 최적화하고,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지능형 네트워크 아키텍처 구축 및 운영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1]. GPU (Graphics Processing Unit)의 발전으로 네트워크 성능과 자원 사용의 효율성을 최적화하 기 위해 머신러닝을 적용할 수 있게 되면서 지능형 네트워크의 구축이 가능해졌다[2]. 또한, 머신러닝 프레임워크가 발전하면서 빠르고 정확하게 대규모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게 되 었고, 효율적인 네트워크 운영 및 관리를 위한 도구로 연구ㆍ개발되고 있다[1]. 동시에 산업 과 시장규모가 커져 전 세계 5G 시장은 2020년 기준 414억 8,000만 달러에 이르렀으며, 2021년부터 2028년까지 연간복합성장률(CAGR)이 46.2%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3]. 이 * 본 내용은 이일구 교수(☎ 02-920-7145, iglee@sungshin.ac.kr)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IITP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머신러닝 기반의 차세대 통신 기술 동향 Chapter 01 기획시리즈-차세대통신(6G 등) 정보통신기획평가원 3 러한 5G 기술은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에 목표를 두고 있으며 초고화질 비디오, 가상현실 (Virtual Reality: VR)/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게임,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등의 서비스 분야를 촉진하고 있다[3]. 최근에는 5G 이후를 준비하기 위해 2030년 상용화를 목표로 6G 기술 개발 및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림 1]은 5G 대비 6G가 추구하는 목표와 차별화된 특징을 보여준다. 6G는 초공간, 초성능, 초지능, 초신뢰, 초정밀, 초대역 6대 목표를 설정하고, 기존 5G 목표 성능의 비약적 향상과 함께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여 네트워크의 지능화 실현을 목표로 한다[4]. 본 고에서는 최근 국가 신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는 차세대 통신 요소기술의 개념 및 주요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머신러닝 기반의 차세대 통신의 발전 방향을 예측하고, 오픈 이슈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41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코로나19 이후의 소득보장체계 구축방향 1도토리 국준아
341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이 금융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보완과제 1도토리 국준아
3414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2022년 한국 경제 수정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13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 슬로플레이션 가능성 점증 3도토리 이지훈
341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엥겔계수, 2000년 이후 21년 만 최고치 1도토리 이지훈
341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동 지역의 재생에너지 발전 전망 및 시사점 3도토리 이지훈
341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서방의 대러시아 제재의 영향 3도토리 이지훈
340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동남아 디지털 플랫폼 경제의 현황과 전망 3도토리 나혜선
3408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전일제 환산 취업자로 본 고용의 변화 3도토리 나혜선
340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우크라이나 위기와 러·미 갈등:주요 쟁점과 시사점 1도토리 나혜선
340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스리랑카 경제위기의 주요 원인과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40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국 개인정보 보호법의 주요 내용과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0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유럽 반도체 법안의 주요 내용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0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인도 5개 주 의회 선거결과와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40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1년 북중 무역 평가: 경제난과 무역 정상화 1도토리 국준아
340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우크라이나 사태와 대러 제재의 경제적 영향 7도토리 국준아
340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2년 양회를 통해 본 중국의 경제정책 방향과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339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한미 FTA 발효 10년 성과와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339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도 신재생에너지 시장 기회 및 진출 전략 3도토리 나혜선
339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소상공인의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디지털 전환 1도토리 나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