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기술동향] Network for AI 기술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전아람 조회수 139
용량 1.73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기술동향] Network for AI 기술 동향.pdf 1.7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23 
출처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페이지 수 : 13 

I. 서론 최근 모바일 네트워크 내에서 Artificial Intelligence(AI) 및 Machine Learning(ML) 기술을 고도화된 네트워크 관리 혹은 네트워크 성능 향상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 어지고 있다. 동시에 AI/ML 기술을 네트워크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네트워크가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지 혹은 어떤 기능을 제공해줘야 할지에 관한 내용인 Network for AI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Network for AI 연구의 일환으로 5G 표준화 단체인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GPP)에서는 5G 시스템 내에 Network Data Analytics Function(NWDAF)를 정의하여 네트워크 내에서 수집된 데이터들을 분석 및 가 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1]. NWDAF는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AMF), Session Management Function(SMF), Policy Control Function(PCF) 등과 같은 5G 코어 네트워크 기능에서 요구하는 분석 정보를 학습 된 AI, ML 모델 등을 기반으로 제공하여 전반적인 네트워크 관리 혹은 성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NWDAF는 AI/ML 기반의 코어 네트워크 자동화/지능화에 핵심적인 역할 을 수행할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3GPP에서는 NWDAF의 표준화와 더불어 NWDAF와 관련된 이슈들을 발굴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방안들을 논의하고 있다. 즉, 5G에서의 고도화된 네트워크 자동화, 지능 화를 지원하기 위해 NWDAF의 데이터 수집 기능, 분석 기능, 추론 기능 등을 개선 및 확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이슈들을 분석하고 각 이슈들에 대한 솔루션들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 본 내용은 고한얼 교수(☎ 044-864-1346, heko@korea.ac.kr)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IITP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Network for AI 기술 동향 Chapter 02 ICT 신기술 정보통신기획평가원 15 들어, 코어 네트워크에 NWDAF가 하나만 존재하는 단일 NWDAF 환경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NWDAF가 각 NF들에 분산되어 있는 환경도 배포 시나리오로 고려되고 있기 때문에 분산 NWDAF 환경에서 NWDAF 분석 정보 간에 발생할 수 있는 일관성 문제 등도 해결되 어야 하는 이슈 중 하나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계층적인 NWDAF 구조가 제안되었다. 한편, 최근 모바일 기기의 발달로 인해 모바일 기기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던 기존 알고리즘들도 AI/ML 모델로 대체되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 중앙 클라우드에서 AI/ML 모델 을 운용하여 추론 결과를 모바일 기기에게 전달해주는 방식에 비해 모바일 기기 또는 엣지 클라우드에 AI/ML 모델을 배포, 운용하는 방식이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에서 요구되는 저지 연성을 수월하게 만족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기술들로는, AI/ML 모델을 모바일 기기와 클라우드가 일부 나눠서 추론을 진행하는 Split Computing 기술과 엣지 클라우드의 AI/ ML 모델 캐싱 등이 존재한다. 또한, 모바일 기기의 데이터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면서 대규모 로 분산 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연합 학습(Federated Learning)에 관한 연구도 학계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3GPP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기술들을 5G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Network for AI 기술 및 방안들에 대해 지속적으로 논의가 될 예정이다. 본 고에서는 5G 네트워크에서 AI/ML 기술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NWDAF와 그 외의 Network for AI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한다. 구체적으로 II장에서는 NWDAF의 기본 내용과 표준화 동향을 간단히 소개한다. III장에서는 Network for AI 기술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IV장에서는 본 고의 결론을 맺고자 한다. II. 네트워크 데이터 분석 기능(NWDAF) 1. NWDAF 등장 배경 최근 네트워크 관리자들이 수동적으로 관리하던 네트워크 제어 및 운용을 인공지능 기술 을 기반으로 자율의사결정 방법에 따라 완전자동화 방식으로 변형시키기 위한 네트워크 지 능 기술에 관심이 모인 상태이다[2],[3]. 네트워크 지능 기술은 네트워크로부터 수집된 다양 한 데이터를 인공지능 기반의 폐쇄형 반복 제어(Closed-Loop Control)를 통해 네트워크의 자동화 및 최적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들을 포함한다. 수집하는 정보에는 네트워크 상태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42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소셜벤처의 혁신능력 향상을 위한 정책과제 7도토리 민준석
342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기술규제 이해관계자협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 3도토리 민준석
342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비상장 벤처기업 주식매수선택권 동향과 이슈 1도토리 민준석
342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국내외 재창업 지원 정책 비교 및 시사점 3도토리 민준석
342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대재해처벌법의 올바른 인식과 중소기업의 대응 3도토리 이지훈
342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가 우리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 3도토리 이지훈
342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부채 관리 방안 1도토리 이지훈
342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의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제도 비교 : 재생·폐업, 신용회복, 특별구제 중심으로 3도토리 이지훈
342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소상공인 부채 문제 해결을 위한 현실적 정책방안 1도토리 이지훈
341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이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3도토리 이지훈
341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1년 의약품 허가보고서 7도토리 국준아
3417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수전해 그린수소와 나노기술 3도토리 국준아
341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코로나19 이후의 소득보장체계 구축방향 1도토리 국준아
341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이 금융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보완과제 1도토리 국준아
3414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2022년 한국 경제 수정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13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 슬로플레이션 가능성 점증 3도토리 이지훈
341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엥겔계수, 2000년 이후 21년 만 최고치 1도토리 이지훈
341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동 지역의 재생에너지 발전 전망 및 시사점 3도토리 이지훈
341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서방의 대러시아 제재의 영향 3도토리 이지훈
340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동남아 디지털 플랫폼 경제의 현황과 전망 3도토리 나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