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기술분석] 메타버스, 일하는 방식을 바꾸다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민준석 조회수 108
용량 1.51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기술분석] 메타버스, 일하는 방식을 바꾸다.pdf 1.51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3-10 
출처 :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페이지 수 : 30 

< 목 차 >

 

Ⅰ. 일하는 공간으로 주목받는 메타버스

 

Ⅱ. 메타버스 시대, 일하는 방식의 변화

 1. 메타버스로 출근하는 사람들

 2. 영구 재택근무를 도입하는 기업

 3. 워케이션의 부상과 메타버스

 

III. 시사점

 


 

I. 일하는 공간으로 주목받는 메타버스 □ 메타버스가 소통과 게임의 영역을 넘어 일하는 공간으로 진화 ㅇ 메타버스는 가상과 현실이 융합된 공간에서 사람·사물이 상호작용하며, 경제· 사회·문화적 가치를 창출하는 세계1) ㅇ 메타버스에서 시공간의 제약을 극복하며, 유연하게 근무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면서, 메타버스가 일하는 곳으로 주목받고 있음 ­ 메타버스에서 현실처럼 공존감을 느끼며, 원활하게 소통하고 자료 공유를 할 수 있는 협업 플랫폼이 늘어나고, 시각화 기술이 함께 발전 ㅇ 메타버스가 근로자와 기업, 지역에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면서 일하는 방식의 혁신을 주도 ­ (근로자) 일과 가정의 양립, 출퇴근 시간 절약, 제3의 공간에서 업무 가능 등긍정적 효과가 존재 ­ (기업) 임대비용 감소, 해외 우수 인재 유치 등 장점이 존재 ­ (지역) 어느 지역에서나 근무할 수 있어 인구 분산 효과가 발생하여 지역 균형발전의 기회가 증대 □ 메타버스 관련, 최근 일어나고 있는 일하는 방식의 변화와 주요 특징을 분석하고시사점을 도출 ㅇ 모든 직원이 메타버스로 출근하는 기업과 코로나 이후에도 메타버스에 접속해 계속 근무하는 영구 재택근무 기업들이 등장 ㅇ 제3의 장소에서 메타버스를 활용하여 일과 휴가를 병행하는 워케이션 현상을 분석하고 의미를 제시 * 워케이션은 일(Work)와 휴가(Vacation)의 합성어 1) 범부처(2022), “메타버스 신산업 선도전략” SPRi 이슈리포트 IS-137 메타버스, 일하는 방식을 바꾸다2 Ⅱ. 메타버스 시대, 일하는 방식의 변화 1. 메타버스로 출근하는 사람들 ① 직방 □ 인터넷 부동산 기업 직방 직원 300명은 2021년 2월부터 전면 메타버스 근무를 시작 ㅇ 강남역에 있는 오프라인 빌딩으로 출근하다가 이제는 직접 지은 가상건물 메타폴리스로 출근 [그림] 직방의 출근지 변화(좌: 강남역 건물 임대, 우: 가상건물 메타폴리스) * 출처 : https://career.zigbang.com/work □ 직원들은 PC로 아바타를 설정하고 메타폴리스에 로그인하여 업무를 수행 ㅇ 가능한 현실과 유사한 공존감을 느낄 수 있도록 메타버스를 제작 ­ 가상건물 로비도 있고 엘리베이터를 타고 업무 층에 내리면 회사 동료들이 아바타로 존재 ­ 아바타 가까이 가면 얼굴이 보이면서 이야기할 수 있고 멀어지면, 얼굴이 사라지고 소리가 소멸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408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전일제 환산 취업자로 본 고용의 변화 3도토리 나혜선
340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우크라이나 위기와 러·미 갈등:주요 쟁점과 시사점 1도토리 나혜선
340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스리랑카 경제위기의 주요 원인과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40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국 개인정보 보호법의 주요 내용과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0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유럽 반도체 법안의 주요 내용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0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인도 5개 주 의회 선거결과와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40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1년 북중 무역 평가: 경제난과 무역 정상화 1도토리 국준아
340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우크라이나 사태와 대러 제재의 경제적 영향 7도토리 국준아
340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2년 양회를 통해 본 중국의 경제정책 방향과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339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한미 FTA 발효 10년 성과와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339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도 신재생에너지 시장 기회 및 진출 전략 3도토리 나혜선
339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소상공인의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디지털 전환 1도토리 나혜선
339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상통화를 활용한 비대면 보험 모집 해외 사례와 시사점 1도토리 나혜선
339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메타버스 新인류, 디지털 휴먼 3도토리 나혜선
339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지역혁신형 규제샌드박스 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7도토리 정한솔
3393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2022년 클라우드컴퓨팅 트렌드 3도토리 정한솔
339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이동통신 위치기반 서비스 동향 및 정밀 측위기술 소개 1도토리 정한솔
339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2021 초연결 지능화시대 DNA 분야 혁신기업 7도토리 정한솔
339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스마트농축수산의 정의와 현황 1도토리 황세영
338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디지털전환 실태 및 시사점 3도토리 황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