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기술분석] 콘텐츠 서비스 블록체인 적용을 위한 사례 분석 연구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민준석 조회수 152
용량 46.73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기술분석] 콘텐츠 서비스 블록체인 적용을 위한 사례 분석 연구.pdf 46.7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25 
출처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페이지 수 : 10 

< 목 차 >

 

1.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블록체인 개요

 

2. 블록체인 동향

1) 기술동향

2) 시장동향

3) 미래전망

 

3. 블록체인 적용 사례 분석

1) 콘텐츠 분야 적용사례

2) 비콘텐츠 분야 적용사례

3) 분석 종합

 

4. 블록체인 활용 전략

1) KISTI 콘텐츠 서비스 개요

2) 블록체인 기술 활용 전략

 

5. 맺음말

 


 

◆ 디지털 시장의 차세대 자산으로 주목받고 있는 정품 증명서 NFT*의 개념과 특징, 산업에 미치는 영향 및 비즈니스 활용 사례를 살펴보고 산업 관점에서의 정책적 시사점 탐색 * 영국 콜린스 사전은 ’21년 올해의 기술기반 단어로 NFT를 선정 1. NFT란? ● (개념) Non-Fungible Token의 약자로 유·무형의 자산을 디지털 파일화하여 이에 대한 소유권 등을 블록체인* 상에 저장해 발행되는 고윳값을 지닌 ‘대체 불가능한 토큰’을 의미 * 블록체인은 네트워크 상의 모든 참여자가 정보를 기록·검증·보관함으로써 공인된 중개자 없이도 위변조가 불가능하여 신뢰성을 확보하는 분산원장 기술로 소유권과 거래내역 기록 가능 < 디지털 파일의 토큰화와 NFT의 속성 > * 자료: 「NFT블록체인을 활용한 디지털자산(지식재산)의 가치창출」, 국회입법조사처 이슈와 논점, 2021 - (적용대상) 트윗, 음악, 동물, 빌딩, 예매권, 유전자 정보까지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유· 무형의 자산들을 블록체인상에서 디지털 파일을 통해 토큰*으로 발행 가능 * 토큰은 유·무형 자산이나 디지털 정보를 블록체인에서 거래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든 것으로 비트코인 같은 암호 화폐가 대표적 - NFT는 블록체인 기술로 자산에 일련번호를 부여해 각각의 토큰이 모두 다르며 가치도 달라 복제나 위변조를 막을 수 있어 일명 정품 인증서, 디지털 증명서로 불리기도 함 * 숫자로 표기되는 가치만을 담고 있는 암호 화폐와 달리 이미지와 같은 고유한 정보를 담을 수 있음 < NFT와 FT 비교 > 구분 Token NFT(Non-Fungible Token) FT(Fungible Token) 대체 가능성 다른 토큰으로 대체 불가능 다른 토큰으로 1:1 대체 가능 적용 사례 토큰화된 디지털 자산 (미술품, 부동산, 게임 아이템 등) 암호화폐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주요 기술표준 이더리움의 1)ERC-721 이더리움의 ERC-20 1) ERC(Ethereum Request for Comment)는 ‘이더리움의 요구사항을 위한 표준’이며, 이는 이더 리움을 이용해서 가상자산을 발행할 때 지켜야 하는 규칙 One & Only 차세대 디지털 자산 「NFT」 [애자일] KIAT 산업기술정책센터 정책기획실(’22.02.25) KIAT [애자일] 2022년 제2호 One & Only 차세대 디지털 자산 「NFT」 2 < NFT 특장점 > 유일성 보장 특정 자산의 고유한 토큰이 생성·유통되며 블록체인 기반으로 영구적인 유일성 보장 희소성 보장 동일한 토큰을 여러 번 발행할 수 없는 유일성에 의하여 희소성 보장 위조 방지 블록체인 기술의 보안성으로 인하여 생성된 토큰에 대한 위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 추적성 보장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로 NFT의 출처, 발행시간, 소유자 내역 등 투명하게 확인 분할 불가 생성된 NFT는 더 작은 단위로 분할이 불가하며 생성된 단위로만 거래 가능 거래 용이성 자산의 소유권 및 거래 기록을 디지털화된 형태로 관리하여 보다 용이한 자선거래 가능 * 자료: 삼성SDS < NFT History > - (’15년) 이더리움 개발자회의 데브콘에서 NFT 최초 공개 - (’17년) 맷 홀과 존 왓킨스가 설립한 라바 랩스기업의 크립토펑크* 프로젝트가 시초 * 크립토펑크 NFT를 모두 다른 그림, 숫자로 1만개의 캐릭터를 만들어 발행(남자 6,039개, 여자 3,840개, 좀비 88개, 유인원 24개, 외계인 9개) * 9천개를 무료로 배포했으며 창업자들이 소유한 희귀 트립토펑크(9종)의 경우 경매에 출품되 약 190억원에 거래됨 출처 : cryptopunk ● (배경) 블록체인, 메타버스에 이어 디지털 전환을 이끄는 NFT 열풍이 세계적으로 확산 - 무한 복제 가능한 디지털 정보는 자산으로서의 가치를 갖지 못했으나 블록체인 기술로 고유성과 희소성을 가지게되면서 NFT가 새로운 디지털 자산으로 주목받기 시작 * 소유권을 증명해주기 때문에 NFT를 통해 창작자나 기업이 디지털 상품에 대한 수익을 가져갈 수 있는 형태의 혁신이 나타남 - NFT는 게임, 예술, 스포츠, 부동산 수익증권 등 다양한 산업으로 확대되며 MBN (Metaverse -Block chain-NFT) 결합 비즈니스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408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전일제 환산 취업자로 본 고용의 변화 3도토리 나혜선
340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우크라이나 위기와 러·미 갈등:주요 쟁점과 시사점 1도토리 나혜선
340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스리랑카 경제위기의 주요 원인과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40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국 개인정보 보호법의 주요 내용과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0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유럽 반도체 법안의 주요 내용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0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인도 5개 주 의회 선거결과와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40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1년 북중 무역 평가: 경제난과 무역 정상화 1도토리 국준아
340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우크라이나 사태와 대러 제재의 경제적 영향 7도토리 국준아
340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2년 양회를 통해 본 중국의 경제정책 방향과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339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한미 FTA 발효 10년 성과와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339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도 신재생에너지 시장 기회 및 진출 전략 3도토리 나혜선
339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소상공인의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디지털 전환 1도토리 나혜선
339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상통화를 활용한 비대면 보험 모집 해외 사례와 시사점 1도토리 나혜선
339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메타버스 新인류, 디지털 휴먼 3도토리 나혜선
339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지역혁신형 규제샌드박스 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7도토리 정한솔
3393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2022년 클라우드컴퓨팅 트렌드 3도토리 정한솔
339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이동통신 위치기반 서비스 동향 및 정밀 측위기술 소개 1도토리 정한솔
339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2021 초연결 지능화시대 DNA 분야 혁신기업 7도토리 정한솔
339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스마트농축수산의 정의와 현황 1도토리 황세영
338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디지털전환 실태 및 시사점 3도토리 황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