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SW 기업의 국제화 전략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민준석 조회수 91
용량 854.1K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SW 기업의 국제화 전략.pdf 854.1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2-30 
출처 :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페이지 수 : 32 

< 목 차 >

 

Ⅰ. 서론

Ⅱ. SW기업의 수출 현황과 인식변화

Ⅲ. 국내 SW수출 대표 사례 분석

Ⅳ.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는 국제화 전략

Ⅴ. 요약 및 결론

 


 

Ⅰ. 서론 ▢ ‌코로나19로 전반적 수출이 위축된 상황에서도 SW분야는 성장 중 코로나19로 인해 국내 기업의 수출은 전년대비 지속적으로 감소 중이나 SW관련 제품 및 서비스가 수출 유망 품목으로 전망되고 있음  ‌주요 수출시장별 국가별 공통적인 유망품목에 ICT·SW 제품 및 서비스가 포함 (KOTRA, 2021) [ 그림 1 ] 코로나19 전후 수출 증감률 및 수출액 ’20. 1월 3월 5월 7월 9월 11월 수출역(억달러) 431 409 462 363 349 392 428 395 478 448 458 수출 증감률(%) △ 6.6 △ 1.8 △ 25.6 △ 23.7 △ 10.9 △ 7.1 △ 10.3 △ 3.9 3.6 7.1 3.9 *자료 : 통계청 2020년 연매출 300억 원 이상을 기록한 SW 기업이 326개에 달하며 이들 기업의 총 매출은 86조 9,376억 원으로 전년대비 16.6% 상승(KOSA, 2021) ▢ ‌포스트 코로나19, SW 수출을 넘어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는 국제화 전략이 필요 SW산업은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의 급변하는 환경과 기술변화라는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역할이 기대되고 있음  ‌재택근무, 온라인 수업, 전자상거래 등 비대면화가 가속화 되고 있으며 산업과 사회의 전 영역으로의 디지털 전환이 촉진 * 국내 비대면 SW기업인 알서포트는 2020년 2분기 매출이 104억 원을 기록해 2019년 동기 대비 178.8% 증가해 역대최대 실적을 기록했으며 수술이 국내 매출을 상회 SW 제품의 단품 수출을 넘어 플랫폼 이에 대응하기 위한 기업의 국제화 전략이 새롭게 필요한 시점 2 SPRi 이슈리포트 IS-134 소프트웨어 기업의 국제화 전략 Ⅱ. SW기업의 수출 현황과 인식변화 ▢ ‌SW기업의 해외진출이 활발히 진행 중1) 2019년 전체 SW수출액은 148억 866만 달러로 전년대비 8.9% 증가  ‌2016년 전체 수출액은 103억 달러에서 2017년 123억 달러, 2018년 135억 달러, 2019년에는 148억 달러로 성장 [ 그림 2 ] 지난 10년 국내 SW기업의 수출추이 패키지SW IT서비스 게임SW 합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p) 80.0 70.0 60.0 50.0 40.0 30.0 20.0 10.0 - 160.0 140.0 120.0 100.0 80.0 60.0 40.0 20.0 - * 출처 : SW수출통계조사(2021)를 참조하여 편집 IT서비스와 게임SW 분야가 해외진출을 활발히 진행중이며, 특히, 게임 SW는 2016년 32억 달러였으나 2017년 51억 달러, 2018년 62억 달러, 2019년에는 63억 달러로 가파르게 증가  ‌SW분야별 비중을 살펴보면 패키지SW는 8.4%, 게임SW는 42.8%, IT서비스는 48.8% 비중을 차지함 국내 SW수출은 아시아·태평양 권역에 집중되어 있으며(전체에서 약 57.5%) 북미가 전체의 약 18.5%를 차지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408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전일제 환산 취업자로 본 고용의 변화 3도토리 나혜선
340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우크라이나 위기와 러·미 갈등:주요 쟁점과 시사점 1도토리 나혜선
340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스리랑카 경제위기의 주요 원인과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40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국 개인정보 보호법의 주요 내용과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0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유럽 반도체 법안의 주요 내용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0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인도 5개 주 의회 선거결과와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40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1년 북중 무역 평가: 경제난과 무역 정상화 1도토리 국준아
340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우크라이나 사태와 대러 제재의 경제적 영향 7도토리 국준아
340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2년 양회를 통해 본 중국의 경제정책 방향과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339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한미 FTA 발효 10년 성과와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339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도 신재생에너지 시장 기회 및 진출 전략 3도토리 나혜선
339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소상공인의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디지털 전환 1도토리 나혜선
339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상통화를 활용한 비대면 보험 모집 해외 사례와 시사점 1도토리 나혜선
339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메타버스 新인류, 디지털 휴먼 3도토리 나혜선
339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지역혁신형 규제샌드박스 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7도토리 정한솔
3393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2022년 클라우드컴퓨팅 트렌드 3도토리 정한솔
339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이동통신 위치기반 서비스 동향 및 정밀 측위기술 소개 1도토리 정한솔
339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2021 초연결 지능화시대 DNA 분야 혁신기업 7도토리 정한솔
339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스마트농축수산의 정의와 현황 1도토리 황세영
338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디지털전환 실태 및 시사점 3도토리 황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