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기술동향] ICT 융합과 미래를 여는 커넥티드 스마트 승강기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류지원 조회수 111
용량 1.22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기술동향] ICT 융합과 미래를 여는 커넥티드 스마트 승강기 동향.pdf 1.2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3-30 
출처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페이지 수 : 12 

I. 서론 초고속, 초연결사회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키워드로 급부상함에 따라 이를 토대 로 제조업의 경기 불황, 고용 한계를 극복하려고 하는 산업적 요구에도 다양한 배경으로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유엔(UN)의 도시 인구에 관한 최근 보고서에 의하면 2021년 기준 1,000만 명이 넘는 도시 인구 수 1위에서 20위 사이에 아시아 도시들이 상당수 차지하고 있으며 서울은 세계에 서 35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 2030년까지 “전세계 인구 60%가 도시 지역에 거주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하는데, 이것은 인구 3명 중 1명은 도시에 거주할 것”이며, 2050년까지 약 67억 명의 사람들이 도시에 거주할 것임을 의미한다. 인류문명은 지속적으로 편리하면서 다양한 혁신적인 수송수단 서비스를 원하고 있다. 이 중 승강기는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무빙워크 등과 같이 사람 또는 물건을 수직ㆍ수평으 로 운송하는 모든 기계를 말하는데 과거에는 얼마나 빠르게 많이 이동이 가능한지의 하드웨 어 중심의 기술 발전이 이루어졌다면, 현재 스마트 승강기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IoT(사물인터넷), AI(인공지능), CPS(사이버물리시스템), 센서 등을 기반으로 제조의 전체 주 기 고도화를 위한 융합 플랫폼이 접목된 디지털기술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그림 1] 참조). 최근 글로벌 경제의 저성장 기조와 전통적인 제조업의 침체로 인한 신성장 동력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하며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주요국ㆍ기업들의 스마트 승강기에 대 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승강기 산업은 미래 주력산업이자 수출 유망 산업 * 본 내용은 이상민 교수(☎ 043-849-1667, leesm@ut.ac.kr)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IITP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ICT 융합과 미래를 여는 커넥티드 스마트 승강기 동향 Chapter 02 ICT 신기술 정보통신기획평가원 15 및 자동차를 잇는 성장 주력산업으로, 미래에 요구되는 ICT 융합, 정밀기계, 나노, 바이오부품 ㆍ신소재들의 생산 기반을 제공하고, 아시아 신흥개발도상국의 거대시장으로 급성장하고 있다. 스마트 승강기 기술은 제조 전ㆍ후방 파급효과가 큰 산업이어서, 기술개발 로드맵을 통한 연구개발 확대로 경쟁력 확보가 필요하며 디지털 보안시스템, 원격제어 스마트 그룹화, 케이 블 프리 리프트 등 ICT 융합 기술의 플랫폼화 구현이 승강기 시장의 변화를 만들고 있다. 차세대 컴퓨팅 플랫폼 기술인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및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기술을 적용한 승강기 진단, 클라우드를 활용한 예지보전 정비 등 스마트 기술 의 융합을 통해 안전사고 등 문제를 정확히 측정하고 식별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첨단 라우팅 기술을 통해 교통량이 많은 시간대에 승객이나 물건을 효율적으로 이동 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스마트 승강기 기술은 향후 ICT 융합 기술 시장을 혁신할 수 있는 이동수단 핵심 분야로 인식되어 승강기 글로벌 기업들을 중심으로 IoTㆍ인공지능ㆍ전 용 단말 등의 다양한 플랫폼에서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투자가 추진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주요 ICT 융합 스마트 승강기 선진기업 및 ICT 융합 커넥티드 승강기에 대한 동향 및 사례 분석을 살펴보기 위해, II장에서는 국내외 커넥티드 스마트 승강기 산업 동향을 살펴보고, III 장에서는 ICT 융합 커넥티드 스마트 승강기 기술 동향 및 이슈를 중심 으로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IV장에서는 본 고의 결론을 제시한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408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전일제 환산 취업자로 본 고용의 변화 3도토리 나혜선
340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우크라이나 위기와 러·미 갈등:주요 쟁점과 시사점 1도토리 나혜선
340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스리랑카 경제위기의 주요 원인과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40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국 개인정보 보호법의 주요 내용과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0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유럽 반도체 법안의 주요 내용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0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인도 5개 주 의회 선거결과와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40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1년 북중 무역 평가: 경제난과 무역 정상화 1도토리 국준아
340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우크라이나 사태와 대러 제재의 경제적 영향 7도토리 국준아
340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2년 양회를 통해 본 중국의 경제정책 방향과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339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한미 FTA 발효 10년 성과와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339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도 신재생에너지 시장 기회 및 진출 전략 3도토리 나혜선
339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소상공인의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디지털 전환 1도토리 나혜선
339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상통화를 활용한 비대면 보험 모집 해외 사례와 시사점 1도토리 나혜선
339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메타버스 新인류, 디지털 휴먼 3도토리 나혜선
339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지역혁신형 규제샌드박스 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7도토리 정한솔
3393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2022년 클라우드컴퓨팅 트렌드 3도토리 정한솔
339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이동통신 위치기반 서비스 동향 및 정밀 측위기술 소개 1도토리 정한솔
339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2021 초연결 지능화시대 DNA 분야 혁신기업 7도토리 정한솔
339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스마트농축수산의 정의와 현황 1도토리 황세영
338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디지털전환 실태 및 시사점 3도토리 황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