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국내외 디지털전환 진단 지표 비교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84
용량 2.4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국내외 디지털전환 진단 지표 비교 분석.pdf 2.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3-31 
출처 :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페이지 수 : 12 

1. 도입 2020년 코로나 펜데믹 발생으로 비대면 경제가 확산되면 서 디지털 전환이 세계적인 화두가 되고 있다. 2000년 이 전에는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털 정보로 전환하는 전산화 (Digitization)가 중심이 되었고, 2010년까지는 디지털 데이 터를 토대로 비용 절감과 업무 프로세스의 효율성 개선을 추 구하는 디지털화(Digitalization)가 중심이 되었다면, 최근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은 디지털 기술의 잠 재력을 최대한 활용해 총체적인 비즈니스 혁신을 추구한다.1) 즉, 과거의 전산실처럼 지원부서 역할에 머물던 디지털 기술 이 기업의 핵심역량으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다수의 컨설 팅 기업 및 국제기구들이 디지털 전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 고 있는데, 대체로 디지털 전환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기업 의 업무 프로세스, 비즈니스 모델, 조직, 전략, 소통 체계 등이 탈바꿈되는 현상이라고 정의한다. 이에 이러한 디지털 전환의 발전 수준 또는 성숙도가 얼마나 진전되었는지를 진단 및 측정하는 지표 연구도 활발히 수행되 기 시작하였다. 디지털 전환을 진단하는 지표 프레임워크 도 출 연구들은 크게 거시적·하향식(Top-down) 관점과 미시 적·상향식(Bottom-up) 관점의 연구들로 구분된다. 이 글에 서는 국가 단위인 거시적 관점의 디지털 전환 지표 연구 사례 들을 먼저 살펴보고, 다음으로 기업 단위인 미시적 관점의 지 표 연구들을 리뷰해 보도록 하겠다. 거시적 관점과 미시적 관 점의 양적 지표들은 상호보완적인 정보를 제공하지만, 디지털 전환의 질적 변화를 포착하지 못하는 한계도 있음을 살펴보도 록 하겠다. 1) 박성순·조광섭(2021.6.16.), 삼성SDS. MONTHLY SOFTWARE ORIENTED SOCIETY 007 2. 거시적 관점(국가 단위)의 지표 연구 사례 1) 개요 거시적·하향식(Top-down) 관점의 연구들은 디지털 경제에 해당하는 산업들을 정의하고 이들 산업의 매출액, 고 용, 연구개발 투자 등을 조사하거나, 또는 국가 전반의 디지털 접근성, 기술 및 인적자원 역량, 제도・규제・사회적 신 뢰 등과 같은 광범위한 지표들을 수집해 평가한다. IMD, WEF, OECD 등 국제기구 및 연구기관들이 거시적 관점의 조사를 주도하여 정기적으로 결과를 공표한다. 2) IMD의 World Digital Competitiveness Ranking(세계 디지털 경쟁력 순위) 《세계경쟁력순위(World Competitiveness Ranking)》 보고서 발간으로 유명한 IMD 경영대학원은 2016년부 터 디지털 전환에 특화한 경쟁력 지수를 추가로 신설해 매년 발간하고 있다. 동 지수는 지식(Knowledge), 기술 (Technology), 미래준비도(Future Readiness) 등 3개 요인으로 구성되며 각 요인은 다시 관련된 9개 세부요인 들(지식–인재, 교육훈련, 과학집중도; 기술–규제, 자본투자, 기술프레임워크; 미래준비도-적응적 태도, 비즈니스 민 첩성, IT통합)로 구성된다. 전체적으로 32개의 정량적 데이터와 20개의 정성적 데이터를 수집 및 종합하여 3대 요 인별 순위 및 종합 순위를 도출한다. 미국, 홍콩, 스웨덴, 덴마크, 싱가포르, 스위스, 네덜란드, 대만 등이 최상위에 속하며, 한국은 순위가 꾸준히 상승하 다가 2021년 소폭 하락해 12위를 차지하였다. 한국은 미래준비도 요인이 5위로 가장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고, 인 터넷쇼핑, 온라인 참여도, 로봇 밀집도, 전자정부, 연구개발 투자, 특허 등록 수 등이 세계 최상권에 해당한다. 한국은 IMD의 종합적인 세계경쟁력순위 보고서에서 23위를 달성한 것과 비교해 보면 디지털 경제의 경쟁력이 더 우위를 보임을 알 수 있다. 3) 포튤란연구소의 Network Readiness Index(네트워크 준비도 지수) IMD와 함께 국제경쟁력 평가로 유명한 세계경제포럼(WEF)은 2002년부터 매년 세계 각국의 디지털 역량을 평가해 《네트워크 준비도 지수(Network Readiness Index: NRI)》 보고서를 발간해 왔는데, 2016년에 발간을 중단했다. 이에 NRI를 발간하던 저자들이 독립하여 포튤란연구소(Portulans Institute)를 미국 워싱턴에 설립하고 2019년 부터 다시 NRI의 발간을 재개하였다. NRI는 기술, 인재, 거버넌스, 영향력 등 4대 요인에 대해 각각 3개씩의 세부요인으로 지표 프레임워크를 [그림 1]과 같이 구성하고, 이를 총 60개의 구체적인 지표들로 구현한다. 60개 지표를 종합한 2021년 점수에서 네덜란드, 스 웨덴, 덴마크, 미국, 핀란드, 스위스, 싱가포르 등이 최상위를 차지하였고, 한국은 12위를 차지해 IMD의 평가와 동 일한 순위를 달성하였다. 한국은 인재 부문이 1위에 해당하는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기술, 거버넌스, 영향력 부문은 17~20위에 해당하는 점수를 받았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37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혁신의 딜레마_금융 vs. 비금융 1도토리 박민혁
3371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글로벌 인플레이션 요인이 국내 제조업 생산자물가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1도토리 박민혁
337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미 기준금리 인상 및 유가 상승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박민혁
336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글로벌 공급망의 뉴노멀과 우리의 대응 3도토리 노민우
336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주요 원자재 공급 구조 분석과 가격 상승의 영향 3도토리 민준석
336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금융산업 중장기 발전 전략 1도토리 민준석
336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미국 금리인상과 국내경제 동향 1도토리 민준석
336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美 사모펀드 시장 감독강화 움직임 1도토리 민준석
336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테마형 ETF의 성장 및 위험요인 1도토리 민준석
336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배경 및 전망 1도토리 이지훈
336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EU 제재의 제약요인과 영향 1도토리 이지훈
3361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글로벌 경제를 위협하는 리스크: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통화 긴축, 중국경제 둔화 3도토리 이지훈
336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지방투자 활성화를 위한 산업인력정책 과제 1도토리 이지훈
335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러시아 은행산업 현황과 전망 1도토리 이지훈
335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국내 정책펀드 동향과 제도 개선 3도토리 이지훈
335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팬데믹 이후 주요국 경제 회복의 특징 비교 1도토리 류지원
335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인구구조 변화 및 선진국 정책금융기관의 대응 동향 1도토리 류지원
335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택 임대차 계약 후 필수 코스, 전월세신고제 1도토리 나혜선
335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우크라이나 사태의 전망 및 韓 경제에 대한 영향과 대응방안 1도토리 류지원
335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中 디지털 경제발전 제14차 5개년 계획과 시사점 1도토리 류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