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국내외 디지털전환 진단 지표 비교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67
용량 2.4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국내외 디지털전환 진단 지표 비교 분석.pdf 2.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3-31 
출처 :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페이지 수 : 12 

1. 도입 2020년 코로나 펜데믹 발생으로 비대면 경제가 확산되면 서 디지털 전환이 세계적인 화두가 되고 있다. 2000년 이 전에는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털 정보로 전환하는 전산화 (Digitization)가 중심이 되었고, 2010년까지는 디지털 데이 터를 토대로 비용 절감과 업무 프로세스의 효율성 개선을 추 구하는 디지털화(Digitalization)가 중심이 되었다면, 최근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은 디지털 기술의 잠 재력을 최대한 활용해 총체적인 비즈니스 혁신을 추구한다.1) 즉, 과거의 전산실처럼 지원부서 역할에 머물던 디지털 기술 이 기업의 핵심역량으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다수의 컨설 팅 기업 및 국제기구들이 디지털 전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 고 있는데, 대체로 디지털 전환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기업 의 업무 프로세스, 비즈니스 모델, 조직, 전략, 소통 체계 등이 탈바꿈되는 현상이라고 정의한다. 이에 이러한 디지털 전환의 발전 수준 또는 성숙도가 얼마나 진전되었는지를 진단 및 측정하는 지표 연구도 활발히 수행되 기 시작하였다. 디지털 전환을 진단하는 지표 프레임워크 도 출 연구들은 크게 거시적·하향식(Top-down) 관점과 미시 적·상향식(Bottom-up) 관점의 연구들로 구분된다. 이 글에 서는 국가 단위인 거시적 관점의 디지털 전환 지표 연구 사례 들을 먼저 살펴보고, 다음으로 기업 단위인 미시적 관점의 지 표 연구들을 리뷰해 보도록 하겠다. 거시적 관점과 미시적 관 점의 양적 지표들은 상호보완적인 정보를 제공하지만, 디지털 전환의 질적 변화를 포착하지 못하는 한계도 있음을 살펴보도 록 하겠다. 1) 박성순·조광섭(2021.6.16.), 삼성SDS. MONTHLY SOFTWARE ORIENTED SOCIETY 007 2. 거시적 관점(국가 단위)의 지표 연구 사례 1) 개요 거시적·하향식(Top-down) 관점의 연구들은 디지털 경제에 해당하는 산업들을 정의하고 이들 산업의 매출액, 고 용, 연구개발 투자 등을 조사하거나, 또는 국가 전반의 디지털 접근성, 기술 및 인적자원 역량, 제도・규제・사회적 신 뢰 등과 같은 광범위한 지표들을 수집해 평가한다. IMD, WEF, OECD 등 국제기구 및 연구기관들이 거시적 관점의 조사를 주도하여 정기적으로 결과를 공표한다. 2) IMD의 World Digital Competitiveness Ranking(세계 디지털 경쟁력 순위) 《세계경쟁력순위(World Competitiveness Ranking)》 보고서 발간으로 유명한 IMD 경영대학원은 2016년부 터 디지털 전환에 특화한 경쟁력 지수를 추가로 신설해 매년 발간하고 있다. 동 지수는 지식(Knowledge), 기술 (Technology), 미래준비도(Future Readiness) 등 3개 요인으로 구성되며 각 요인은 다시 관련된 9개 세부요인 들(지식–인재, 교육훈련, 과학집중도; 기술–규제, 자본투자, 기술프레임워크; 미래준비도-적응적 태도, 비즈니스 민 첩성, IT통합)로 구성된다. 전체적으로 32개의 정량적 데이터와 20개의 정성적 데이터를 수집 및 종합하여 3대 요 인별 순위 및 종합 순위를 도출한다. 미국, 홍콩, 스웨덴, 덴마크, 싱가포르, 스위스, 네덜란드, 대만 등이 최상위에 속하며, 한국은 순위가 꾸준히 상승하 다가 2021년 소폭 하락해 12위를 차지하였다. 한국은 미래준비도 요인이 5위로 가장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고, 인 터넷쇼핑, 온라인 참여도, 로봇 밀집도, 전자정부, 연구개발 투자, 특허 등록 수 등이 세계 최상권에 해당한다. 한국은 IMD의 종합적인 세계경쟁력순위 보고서에서 23위를 달성한 것과 비교해 보면 디지털 경제의 경쟁력이 더 우위를 보임을 알 수 있다. 3) 포튤란연구소의 Network Readiness Index(네트워크 준비도 지수) IMD와 함께 국제경쟁력 평가로 유명한 세계경제포럼(WEF)은 2002년부터 매년 세계 각국의 디지털 역량을 평가해 《네트워크 준비도 지수(Network Readiness Index: NRI)》 보고서를 발간해 왔는데, 2016년에 발간을 중단했다. 이에 NRI를 발간하던 저자들이 독립하여 포튤란연구소(Portulans Institute)를 미국 워싱턴에 설립하고 2019년 부터 다시 NRI의 발간을 재개하였다. NRI는 기술, 인재, 거버넌스, 영향력 등 4대 요인에 대해 각각 3개씩의 세부요인으로 지표 프레임워크를 [그림 1]과 같이 구성하고, 이를 총 60개의 구체적인 지표들로 구현한다. 60개 지표를 종합한 2021년 점수에서 네덜란드, 스 웨덴, 덴마크, 미국, 핀란드, 스위스, 싱가포르 등이 최상위를 차지하였고, 한국은 12위를 차지해 IMD의 평가와 동 일한 순위를 달성하였다. 한국은 인재 부문이 1위에 해당하는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기술, 거버넌스, 영향력 부문은 17~20위에 해당하는 점수를 받았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45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Network for AI 기술 동향 1도토리 전아람
3450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디지털 트윈을 위한 클라우드서비스 3도토리 전아람
3449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제조업과 만나는 VR·AR 1도토리 황세영
344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기부, 삼성전자와 함께 자가진단키트 지능형공장(스마트공장) 지원 1도토리 황세영
344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2년 3월 한국판 뉴딜 주요사업 추진계획」 1도토리 최민기
344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한국 산업의 디지털 전환 실태와 정책적 시사점 1도토리 최민기
344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2 글로벌 에너지 의제 3도토리 최민기
3444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차량 활용 엣지 컴퓨팅 기술: 6G 응용 예시 및 해결 과제 1도토리 최민기
3443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영상 내 객체 속성 추정 기술 1도토리 민준석
344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메타버스, 일하는 방식을 바꾸다 3도토리 민준석
3441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콘텐츠 서비스 블록체인 적용을 위한 사례 분석 연구 1도토리 민준석
344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소기업 수행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특허성 및 분석 3도토리 민준석
343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SW 기업의 국제화 전략 3도토리 민준석
343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새로운 산업기술 정책 시대의 도래와 대응 방안 1도토리 민준석
343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EU, 데이터법안(Data Act)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1도토리 민준석
343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차세대 질병 진단 및 스크리닝 기술 관련 연구 동향 3도토리 류지원
3435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손 기반 상호작용에 대한 기술 동향 1도토리 류지원
3434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ICT 융합과 미래를 여는 커넥티드 스마트 승강기 동향 1도토리 류지원
»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외 디지털전환 진단 지표 비교 분석 1도토리 강정훈
343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빅데이터로 본 정보보호·디지털 이슈 분석 3도토리 강정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