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빅데이터로 본 정보보호·디지털 이슈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102
용량 4.53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빅데이터로 본 정보보호·디지털 이슈 분석.pdf 4.5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01 
출처 : 한국인터넷진흥원 
페이지 수 : 36 

< 목 차 >

 

Ⅰ 분석 배경

Ⅱ 분석 방법론

Ⅲ 2021 키워드 분석 결과

Ⅳ 주요 토픽의 네트워크 분석 결과

Ⅴ 종합 정리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등으로사이버위협이급증하며, 기업보다개인, 공급자보다 이용자의 보안위협 이슈가 극명하게 나타나는 보안 패러다임의 변화 발생 ∙ 위기 속 사회 혼란을 틈타 재택근무자, 전염병 대처하는 개인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사이버 위협 발생 ∙ 개인중심의 ICT 트렌드와 보안 신뢰(Trustworthy) 요구사항이 증가하고, 공급자보다 이용자 측면의 사이버위협이 더 높아지는 보안 패러다임의 변화 발생 2021년 중 글로벌 동향에서 가장 큰 이슈는 “개인정보” 와 “이용자보안” ∙“인공지능, 메타버스” 등 주요 ICT 기술에서도 개인정보 이슈가 빈도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정보보호법부터 생애주기에 이르는 다양한 키워드 등장 - “GDPR, 개인정보보호법, 감독기구, 규정”과 같은 보호규제 키워드부터 “수집, 처리, 활용”과 같은 개인정보의 생애주기와 관련한 키워드까지 폭넓게 등장 ∙ 보안·취약점 키워드로 “사용자, 소비자, IoT, 모바일”과 같은 개인 디바이스 관련 키워드와 “서버, 원격근무, 이메일”, “업데이트, 비밀번호, 패치” 등 원격근무자, 서비스 이용자 관련 키워드가 중점적으로 등장 향후 가상융합플랫폼의 보편화와 이용자 중심의 보안 트렌드 지속될 것으로 예상 ∙ “인공지능, 블록체인, 메타버스”와 같이 가상융합플랫폼의 기반이 되는 기술들이 빈번하게 언급되며, 주요 이슈로 떠오름 ∙ 각 기술들의 보안이슈에서 “이용자·개인정보”와 관련된 키워드가 빈도 높게 등장하며, 이용자 중심의 보안 트렌드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 보안 패러다임은 “제로트러스트”로 전환이 서서히 가속화될 것으로 보임 ∙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재택근무가 일상화 되면서 이용자 단위의 개별보안이 한계에 부딪치면서 ‘제로트러스트’의 개념이 부각됨 요 약 2022 VOL. 2 2 Ⅰ 분석배경 ■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등으로사이버위협이급증하며정보보호에대한 중요성 대두 위기 속 사회 혼란을 틈타 스미싱, 해킹, 개인정보 침해 등 다양한 사이버 위협 발생 ∙ 사용자 계정 탈취와 스마트폰·PC 해킹을 노리는 스미싱 문자가 지속적으로 유포되고, 기업 및 기관의 약화된 보안관리 체계를 노린 랜섬웨어 공격 발발 - 2020년 2~3월 약 두 달 동안, 신고 및 접수된 스미싱 문자는 9,886건이었으며, 3월 한 달 동안만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한 랜섬웨어 피해가 13건 발생1 ∙ IBM 시큐리티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1년여 간 데이터 유출 피해를 입은 전 세계 기업들은 사고당 평균 424만 달러(약 49억 원)의 손실을 입으며, 17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2 ∙ 개인정보보호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 1년간 개인정보 침해 경험이 있었다는 응답이 44.3% 였으며, 그 중 27.1%가 4회 이상 침해당했다고 응답3 - 사례로는 개인정보 유출(24.8%), 개인정보 무단 수집·이용(24.3%), 개인정보 도용(12.7%) 순으로 조사됨 기업들은 정보보호, 개인정보보호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관련 예산 편성, 직원 교육 진행, 침해사고 대응 등 보안 활동 증가 ∙ 정보보호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사업체 중 91.5%가 정보보호가 중요하다고 응답했으며, 개인정보보보호가 중요하다는 응답 역시 92.4%로 전년대비 4%p 이상 증가4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408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전일제 환산 취업자로 본 고용의 변화 3도토리 나혜선
340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우크라이나 위기와 러·미 갈등:주요 쟁점과 시사점 1도토리 나혜선
340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스리랑카 경제위기의 주요 원인과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40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국 개인정보 보호법의 주요 내용과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0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유럽 반도체 법안의 주요 내용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0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인도 5개 주 의회 선거결과와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40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1년 북중 무역 평가: 경제난과 무역 정상화 1도토리 국준아
340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우크라이나 사태와 대러 제재의 경제적 영향 7도토리 국준아
340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2년 양회를 통해 본 중국의 경제정책 방향과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339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한미 FTA 발효 10년 성과와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339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도 신재생에너지 시장 기회 및 진출 전략 3도토리 나혜선
339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소상공인의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디지털 전환 1도토리 나혜선
339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상통화를 활용한 비대면 보험 모집 해외 사례와 시사점 1도토리 나혜선
339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메타버스 新인류, 디지털 휴먼 3도토리 나혜선
339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지역혁신형 규제샌드박스 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7도토리 정한솔
3393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2022년 클라우드컴퓨팅 트렌드 3도토리 정한솔
339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이동통신 위치기반 서비스 동향 및 정밀 측위기술 소개 1도토리 정한솔
339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2021 초연결 지능화시대 DNA 분야 혁신기업 7도토리 정한솔
339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스마트농축수산의 정의와 현황 1도토리 황세영
338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디지털전환 실태 및 시사점 3도토리 황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