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기술분석] 고성능 리튬이차전지의 실리콘계 음극소재 기술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140
용량 1.09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기술분석] 고성능 리튬이차전지의 실리콘계 음극소재 기술.pdf 1.0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04 
출처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페이지 수 : 11 

급격한 시장 확대가 진행되고 있는 전기차용 배터리의 기술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성능화의 가장 핵심 소재인 실리콘계 음극 소재 기술의 고도화가 필요 ★ 최근 들어 전 세계적 다수 기업이 마지막으로 남아있는 리튬이온전지 사업 분야로 인식하고 이에 진출하고자 하는 분야로, 국내에서도 다수의 기업이 높은 수준의 기술 확보 및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고자 노력하고 있음 ★ 실리콘계 소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판의 고용량, 높은 초기효율, 그리고 부피팽창 억제를 위한 제품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수요기업인 전지 3사와의 기술적, 산업적 협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 ★ 그러나, 특히 중국업체의 원가경쟁력, 규모의 경제, 내수시장의 확대 등으로 인해 시장 선점에 위협을 받고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해 차별화된 소재 성능 및 가격 경쟁력 확보를 진행 중임 시사점 및 정책 제안 ★ 국내 실리콘계 음극 소재 산업에서 높은 기술력을 확보하고 이를 확장할 수 있는 기술개발 과제 지원과 더불어, 실제 관련 산업 지원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발굴할 필요가 높음 ★ 양극 소재 산업과는 달리, 현재의 흑연 음극 소재는 많은 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따라서, 실리콘계 소재와 같은 미래 신규 음극 소재의 원자재의 안정적 조달을 위한 범정부 차원에서의 선제적 지원책 발굴이 절실 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 41 ISSUE3 고성능 리튬이차전지의 실리콘계 음극소재 기술 1. 전기차 배터리용 고용량 음극 소재 필요성 실리콘 음극 소재 적용을 통한 리튬이온전지의 고에너지밀도화 ★ 전기차의 폭발적인 성장에 발맞춰 내연기관 자동차와 동등한 수준의 주행거리 확보를 위해 고에너지밀도를 구현할 수 있는 고용량 전극 소재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 ★ 현재 상용화된 리튬이온전지의 주된 음극 소재는 흑연으로 이를 통해 약 280Wh/kg의 에너지밀도를 구현하고 있으나, 이는 흑연 음극 소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한계치에 해당하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실리콘계 소재가 오랜 시간을 거쳐 현재까지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현재는 음극판에 SiOx 또는 Si/C 복합체 등이 소량 첨가되어(5% 미만) 약 300Wh/kg의 에너지밀도를 구현하고 있음 - 하지만, 이 이상의 고에너지밀도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실리콘 소재 및 이를 적용한 음극판 설계에 대한 기술개발이 매우 필요한 상황임 | 그림 1. 리튬이차전지 고에너지밀도 로드맵 및 실리콘 소재 적용 [1] | 실리콘 음극 소재 기본 특성 및 종류 ★ 흑연의 용량(372mAh/g)을 능가하는 음극 소재는 다양하게 존재하나, 그 중 실리콘(Si)은 약 3,600mAh/g의 고용량과 비교적 낮은 전위(~0.45 V vs. Li/Li+)에서 리튬이 방출되는 장점으로 인해 현재의 흑연을 보완 또는 대체할 수 있는 가장 유망한 소재로 받아들여지고 있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408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전일제 환산 취업자로 본 고용의 변화 3도토리 나혜선
340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우크라이나 위기와 러·미 갈등:주요 쟁점과 시사점 1도토리 나혜선
340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스리랑카 경제위기의 주요 원인과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40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국 개인정보 보호법의 주요 내용과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0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유럽 반도체 법안의 주요 내용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0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인도 5개 주 의회 선거결과와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40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1년 북중 무역 평가: 경제난과 무역 정상화 1도토리 국준아
340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우크라이나 사태와 대러 제재의 경제적 영향 7도토리 국준아
340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2년 양회를 통해 본 중국의 경제정책 방향과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339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한미 FTA 발효 10년 성과와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339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도 신재생에너지 시장 기회 및 진출 전략 3도토리 나혜선
339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소상공인의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디지털 전환 1도토리 나혜선
339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상통화를 활용한 비대면 보험 모집 해외 사례와 시사점 1도토리 나혜선
339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메타버스 新인류, 디지털 휴먼 3도토리 나혜선
339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지역혁신형 규제샌드박스 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7도토리 정한솔
3393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2022년 클라우드컴퓨팅 트렌드 3도토리 정한솔
339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이동통신 위치기반 서비스 동향 및 정밀 측위기술 소개 1도토리 정한솔
339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2021 초연결 지능화시대 DNA 분야 혁신기업 7도토리 정한솔
339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스마트농축수산의 정의와 현황 1도토리 황세영
338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디지털전환 실태 및 시사점 3도토리 황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