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인공지능 및 플랫폼 패러다임과 美·中 기술 패권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박민혁 조회수 134
용량 2.07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인공지능 및 플랫폼 패러다임과 美·中 기술 패권.pdf 2.07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2-30 
출처 :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페이지 수 : 30 

< 목 차 >

 

Ⅰ. 서론

Ⅱ. 플랫폼의 작동 메커니즘과 인공지능 기술의 의미

III. 미·중 간 디지털 플랫폼 경쟁의 분석

IV. 미·중 간 플랫폼과 인공지능 경쟁의 변화 방향

V. 시사점

 


 

Ⅰ. 서론 ◦디지털 플랫폼은 코로나19의 상황에서 빠르게 다양한 산업에 융합되면서 최근에는 글로벌 빅테크 플랫폼기업이 전통기업의 위상을 대체 - 플랫폼 기업이 코로나19 시대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었던 점은 플랫폼 기업이 재화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기 때문(Greeven, 2016) ◦글로벌 플랫폼 생태계는 미국의 GAFA(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애플) 기업이 주도하고 있으며, 이에 도전하는 입장인 중국도 최근 발표한 14차 5개년 규획에서 잘 나타나 있듯이 디지털 플랫폼의 확보를 강조하고 있음 - 중국은 정부 차원에서 명확한 디지털 플랫폼과 인공지능 관련 발전 목표와 방향을 제 시하고 대규모 투자, 인력 양성, 데이터 개방·공유 등의 정책으로 미국과 G2로 부상 ◦인공지능은 급속히 성장하며 플랫폼의 핵심 기술이 되고 있으며, 특히 이 분야에서는 미국과의 기술격차가 좁은 탓으로 맹렬한 추격전을 벌이고 있으며 국제간 협력에도 사활을 걸고 있음 - 세계 인공지능시장은 2018년 약 101억 달러(약 11조 원) 규모에서 7년간 연평균 43.4% 씩 성장하여, 2025년 약 1,260억 달러(약 140조 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Statista) ◦2020년 현재 세계 인공지능 기술은 미국이 선도하고 중국이 그 뒤를 추격하는 양상 - 미국 정보기술혁신재단(ITIF,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novation Foundation)이 국가별 AI 역량을 비교한 결과 100점 만점 중 미국이 44.6점으로 1위를 차지했고, 중국은 32점으로 2위 미국과 중국의 인공지능 역량 평가 결과 비교(2021) 분야 미국 중국 발전기반 15.5 4.1 인재 6.7 2.1 연구 7.2 4.1 하드웨어 6.3 2.3 도입 1.0 7.7 데이터 8.0 11.6 합계 44.6 32.0 출처 : ITIF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novation Foundation) 미·중 간 플랫폼 분야 기술 패권 경쟁을 분석하고 향후 경쟁의 방향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SPRi 이슈리포트 IS-131 인공지능·플랫폼 패러다임과 미·중 기술 패권 1 Ⅱ. 플랫폼의 작동 메커니즘과 인공지능 기술의 의미 ▢ 플랫폼은 참여자 간 상호보완적 관계를 맺으며 성장 ◦디지털 플랫폼은 수요와 공급을 연결해 가치를 창출하는 것에서 플랫폼 생태계와 플랫폼 경제 개념으로 확대됨 - 플랫폼 생태계는 디지털 플랫폼을 구성하는 기업뿐만 아니라 이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조직, 환경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고 플랫폼 경제란 일반적인 경제활동이 플랫폼 생태계로 전환되는 것을 말함 ◦디지털 플랫폼은 네트워크 외부성(Schilling, 2002; Katz & Shapiro, 1986)이 작동 하는 상태에서 한쪽에 행위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다른 시장의 가치도 증가하며 성장 - 이때 플랫폼의 참여자와 사용자 측이 상호보완적인 관계가 되어야 안정적인 성장이 가능(Caillaud & Jullien, 2003).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408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전일제 환산 취업자로 본 고용의 변화 3도토리 나혜선
340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우크라이나 위기와 러·미 갈등:주요 쟁점과 시사점 1도토리 나혜선
340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스리랑카 경제위기의 주요 원인과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40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국 개인정보 보호법의 주요 내용과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0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유럽 반도체 법안의 주요 내용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0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인도 5개 주 의회 선거결과와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40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1년 북중 무역 평가: 경제난과 무역 정상화 1도토리 국준아
340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우크라이나 사태와 대러 제재의 경제적 영향 7도토리 국준아
340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2년 양회를 통해 본 중국의 경제정책 방향과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339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한미 FTA 발효 10년 성과와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339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도 신재생에너지 시장 기회 및 진출 전략 3도토리 나혜선
339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소상공인의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디지털 전환 1도토리 나혜선
339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상통화를 활용한 비대면 보험 모집 해외 사례와 시사점 1도토리 나혜선
339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메타버스 新인류, 디지털 휴먼 3도토리 나혜선
339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지역혁신형 규제샌드박스 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7도토리 정한솔
3393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2022년 클라우드컴퓨팅 트렌드 3도토리 정한솔
339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이동통신 위치기반 서비스 동향 및 정밀 측위기술 소개 1도토리 정한솔
339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2021 초연결 지능화시대 DNA 분야 혁신기업 7도토리 정한솔
339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스마트농축수산의 정의와 현황 1도토리 황세영
338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디지털전환 실태 및 시사점 3도토리 황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