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글로벌 금융회사의 순환경제 전환대응사례와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박민혁 조회수 112
용량 268.89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글로벌 금융회사의 순환경제 전환대응사례와 시사점.pdf 268.89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06 
출처 : 우리금융경영연구소 
페이지 수 : 13 

순환경제(Circular Economy)란, 투입된 자원이 폐기되지 않고 유용한 자원으로 반복·재 사용되게 함으로써 자원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시스템으로 에너지 전환과 함께 넷제로 달성을 위한 양대축으로 인식 Ÿ 넷제로 달성을 위해서는 전세계 탄소배출량의 55%를 차지하는 에너지 전환뿐 아니라 순환경제 이행(45%)이 무엇보다 중요 일찍이 순환경제의 중요성을 인식한 유럽 금융회사들은 기업대상 대출, 투자, 자본시장업무 외에도 관련 생태계 조성에 적극 동참하여 신규 서비스 발굴과 ESG 경영 강화 기회로 활용 Ÿ [대출] 순환경제 전환을 위한 설비투자 자금을 이행성과에 따라 금리 우대가 가능한 ‘지속가능연 계 대출’ 형태로 제공(ING, BBVA, Lloyds Bank) Ÿ [투자·투자상품 판매] 순환경제 기업이나 프로젝트에 투자(ING), 관련 기술 보유기업에 투자하는 공모펀드(Black Rock), ETF를 운용(BNP Paribas) Ÿ [자본시장업무] 순환경제 전환 용도의 지속가능연계채권 발행을 주선·인수(ING, HSBC, Morgan Stanley) Ÿ [생태계 조성] 전환역량이 미흡한 중소기업, 벤쳐기업 대상 공유경제(렌탈) 플랫폼 운영(BNP Paribas의 Kintessia), 벤처기업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에 주요 스폰서로 참여(Barclays) 지금까지 정책금융 위주로 추진되어 온 국내 순환경제 전환사업도 최근 들어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고 있어 향후 금융회사를 통한 자금수요가 활성화될 전망 금융회사들도 ‘순환경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확대되는 자금수요에 적극 대응하는 동시에 탄소절감 실천을 통한 ESG 강화 기회로 적극 활용할 필요 작성자: ESG·기업금융연구실 채원영 책임연구원 (02-2173-0522) 책임자: ESG·기업금융연구실 임재호 실장 (02-2173-0583) 글로벌 금융회사의 순환경제 전환 대응사례와 시사점 우리금융경영연구소 • 1 I.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순환경제의 중요성 n 순환경제(Circular Economy)란 투입된 자원이 폐기되지 않고 유용한 자원으로 반복·재사용됨으로써 자원 효율성을 제고*하는 경제시스템을 의미 * ‘자원을 채굴하여 생산 → 소비 → 폐기’의 과정을 거치는 ‘선형경제(Linear Economy)’와 대비되는 개념 Ÿ ‘재사용을 통한 폐기시점 연장’에 초점을 둔 재활용 경제와 달리, 순환경제에서는 생산단계에서부터 친환경 원재료 사용 등 생산방식 변경을 통해원료의 재활용을 극대화(폐기물 최소화)하는 것이 궁극적 목표 n 순환경제 관련 비즈니스는 크게 ① 친환경 원료 사용(Circular input), ② 자원회수(Resource Recovery), ③ 제품의 수명연장(Extending), ④ 활용도 제고(Intensifying), ⑤ 제품의 서비스화(Dematerialization)의 5가지로 구분1) Ÿ [① 친환경 원료 사용] 재생가능성이 높거나 생분해성 원재료를 사용해 제품 생산· 소비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 - IKEA는 일회용 플라스틱을 사용한 홈퍼니싱 제품 판매를 중단하는 한편, 60% 이상의 제품을 100% 재생가능 또는 재활용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생산(2020년) Ÿ [② 자원회수] 폐기된 제품을 수거해 원재료를 재추출·재가공하여 새로운 완제품이나 2차원료를 생산 - NIKE와 Patagonia는 폐플라스틱 재생원단을 신발·의류 생산에 활용 - 독일 화학회사 BASF는 생산하는 플라스틱에 바코드를 부착해 수거량을 획기적으로 확대Ÿ [③ 제품의 수명연장] 설계·디자인 변경뿐 아니라 보증기간, 수리서비스 범위 확대 등을 통해 제품 사용기간을 연장 Ÿ [④ 활용도 제고] 제조업체가 렌탈, 리스 등 구독서비스를 제공하여 제품의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유휴제품을 최소화 - BNP Paribas는 중소기업의 순환경제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공유경제(렌탈) 플랫폼인 Kintessia를 출시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38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30 미래사회 변화와 ICT 8대 유망기술의 사이버 위협 전망 7도토리 황세영
338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스마트제조 테스트베드 기반의 중소·중견기업 디지털 전환 지원 방안 3도토리 전아람
338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머신러닝 기반의 차세대 통신 기술 동향 1도토리 전아람
3385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인공지능 및 입체영상 시각화 기술을 이용한 첨단 영상유도수술 3도토리 전아람
3384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Network for AI 기술 동향 1도토리 전아람
3383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디지털 트윈을 위한 클라우드서비스 3도토리 전아람
338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제조업과 만나는 VR·AR 1도토리 황세영
338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기부, 삼성전자와 함께 자가진단키트 지능형공장(스마트공장) 지원 1도토리 황세영
338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2년 3월 한국판 뉴딜 주요사업 추진계획」 1도토리 최민기
337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한국 산업의 디지털 전환 실태와 정책적 시사점 1도토리 최민기
337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2 글로벌 에너지 의제 3도토리 최민기
3377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차량 활용 엣지 컴퓨팅 기술: 6G 응용 예시 및 해결 과제 1도토리 최민기
3376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영상 내 객체 속성 추정 기술 1도토리 민준석
3375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메타버스, 일하는 방식을 바꾸다 3도토리 민준석
3374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콘텐츠 서비스 블록체인 적용을 위한 사례 분석 연구 1도토리 민준석
337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소기업 수행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특허성 및 분석 3도토리 민준석
337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SW 기업의 국제화 전략 3도토리 민준석
337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새로운 산업기술 정책 시대의 도래와 대응 방안 1도토리 민준석
337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EU, 데이터법안(Data Act)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1도토리 민준석
336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차세대 질병 진단 및 스크리닝 기술 관련 연구 동향 3도토리 류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