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미국 테크 기업의 M&A 증가 및 규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박민혁 조회수 115
용량 804.72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미국 테크 기업의 M&A 증가 및 규제.pdf 804.72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04 
출처 : 자본시장연구원 
페이지 수 :

□ 미국 테크 기업의 M&A는 증가추세를 나타내며, 특히 주요 빅테크 기업의 M&A가 활발하게 진행 □ 테크 기업의 M&A 증가는 디지털 사업의 수요 확대에 기인하며 사모펀드의 주도 하에 이루어짐 □ 미국 정부의 규제 강화 기조에도 불구하고 테크 기업의 M&A 증가추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 데, 최근에도 미국 FTC와 법무부는 빅테크 기업의 시장 지배력을 약화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 으로 M&A 승인 지침을 검토할 계획임을 밝힘 □ 국내에서도 빅테크 기업이 소규모 스타트업 등을 인수하며 시장점유율을 높여 나가는 것에 대응 하여 공정거래위원회는 온라인플랫폼 기업에 대한 기업결합 심사기준을 보완할 계획 □ 미국 테크 기업의 M&A는 증가추세를 나타내며, 특히 주요 빅테크 기업의 M&A가 활발하게 진행 ─ 미국 테크 기업의 M&A는 2020년 3분기 이후 강세를 보이며 2021년에도 증가추세를 이어나감1) • 2020년초 코로나19 확산으로 상반기에는 M&A 거래가 주춤했으나 이후 테크 기업의 M&A 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2020년 거래금액이 2,440억달러로 전년대비 13.6% 증가했고, 2021년에도 2,610억달러를 기록하며 더욱 증가 • 거래 건수는 2021년 3,000건을 넘어서며 2020년 대비 73%로 크게 증가 ─ 특히, 주요 빅테크 기업은 지속적으로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을 인수하여 사업 부문 및 규모를 키우면서 높은 시장점유율을 확보 • 아마존은 온라인 서점으로 사업을 시작하여 100개 이상의 기업을 인수하며 이커머스, 클라 우드 컴퓨팅, 자율주행 자동차 등 플랫폼을 활용하여 사업을 확장해왔고, 구글은 기술력을 갖춘 안드로이드, 유튜브 등을 인수하며 온라인 시장을 장악 • 페이스북은 인스타그램,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왓츠앱 등을 인수하며 소셜미디어에서의 지배력을 강화하고 오큘러스를 인수해 메타버스 시장점유율을 높임 • 마이크로소프트는 2022년 1월 게임회사 액티비전블리자드를 687억달러에 인수하여 IT 산 업 역사상 최대 규모로 기록되었고, 게임 부문 매출 기준으로 중국의 텐센트, 일본의 소니에 이어 세계 3위로 부상 1) Bloomberg 2022�07호│2022��03��22���04��04 2 미국 테크 기업의 M&A 규모 추이 미국 주요 빅테크 기업의 M&A 거래금액(2019-2021) 자료: Bloomberg 자료: Bloomberg ─ 이와 같은 빅테크 기업의 M&A는 디지털 기술발전에 대한 수요 확대로 2022년에도 계속 증가 할 것으로 예상2) • 최근 아마존은 콘텐츠 사업 강화를 위해 85억달러에 영화제작사 MGM을 인수하는 작업을 완료 • 구글은 클라우드 사업 부문의 강화를 위해 사이버 보안 전문 기업인 맨디언트를 54억달러 에 인수하는 계약을 맺어 추진 중으로 성사될 경우 구글의 인수 건 중 역대 두 번째 규모의 M&A로 기록될 전망 □ 미국 테크 기업의 M&A 증가는 디지털 사업의 수요 확대에 기인하며 사모펀드의 주도 하에 이루어짐 ─ 전 세계적으로 기술자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클라우드, 네트워킹 등의 디지털 사업에 대한 관 심이 증대됨에 따라 미국에서도 기업의 디지털 사업 부문을 확대하기 위해 기술력을 갖춘 테크 기업과의 M&A를 선호 • 인공 지능(AI), 사물 인터넷(IoT) 및 클라우드 기반의 기술 등이 중요해지면서 이를 활용하기 위한 사업 부문의 수요 확대는 테크 기업의 M&A 기회를 창출 • 특히, 코로나19의 대유행으로 인한 비대면 사업의 확산은 디지털 사업에 대한 수요 확대를 더욱 가속화 ─ 테크 기업의 M&A는 사모펀드의 주도하에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며 2021년 전년대비 크게 증가 • 2021년 사모펀드에 의한 테크기업의 M&A 거래금액은 4,017억 1,000만달러로 전체 사모 펀드 거래 9,902억 5,000만달러의 41%를 차지하며 2020년 1,963억 4,000만달러보다 두 배 이상 증가3)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408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전일제 환산 취업자로 본 고용의 변화 3도토리 나혜선
340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우크라이나 위기와 러·미 갈등:주요 쟁점과 시사점 1도토리 나혜선
340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스리랑카 경제위기의 주요 원인과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40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국 개인정보 보호법의 주요 내용과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0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유럽 반도체 법안의 주요 내용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0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인도 5개 주 의회 선거결과와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40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1년 북중 무역 평가: 경제난과 무역 정상화 1도토리 국준아
340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우크라이나 사태와 대러 제재의 경제적 영향 7도토리 국준아
340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2년 양회를 통해 본 중국의 경제정책 방향과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339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한미 FTA 발효 10년 성과와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339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도 신재생에너지 시장 기회 및 진출 전략 3도토리 나혜선
339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소상공인의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디지털 전환 1도토리 나혜선
339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상통화를 활용한 비대면 보험 모집 해외 사례와 시사점 1도토리 나혜선
339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메타버스 新인류, 디지털 휴먼 3도토리 나혜선
339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지역혁신형 규제샌드박스 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7도토리 정한솔
3393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2022년 클라우드컴퓨팅 트렌드 3도토리 정한솔
339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이동통신 위치기반 서비스 동향 및 정밀 측위기술 소개 1도토리 정한솔
339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2021 초연결 지능화시대 DNA 분야 혁신기업 7도토리 정한솔
339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스마트농축수산의 정의와 현황 1도토리 황세영
338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디지털전환 실태 및 시사점 3도토리 황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