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디지털 혁신의 딜레마_금융 vs. 비금융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박민혁 조회수 115
용량 165.27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디지털 혁신의 딜레마_금융 vs. 비금융.pdf 165.27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04 
출처 : 보험연구원 
페이지 수 :

디지털 생태계에서는 디지털 혁신과 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규모의 경제, 범위의 경제, 네트워크 효과, 네트워크의 피드백 효과 등이 상호작용을 일으켜 승자 독식의 독점적 시장구조가 형성되면서도 사회후 생이 증가함. 금융 부분의 경우 아직까지 승자 독식의 시장구조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디지털 혁신으로 금융 포용성이 증가하고 사회후생도 늘어나고 있다고 평가됨. 그런데 비금융 부문과는 달리 금융 부문에 서는 소비자 위험(신용위험, 보험위험 등) 수준에 따른 가격차별이 가능하기 때문에 승자 독식의 시장구 조하에서 사회후생이 확대되더라도 소비자잉여가 생산자잉여로 이전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 디지 털 생태계에 부합한 반독점 규제 체계 개편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데,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 간의 이전 문제도 검토에 포함되어야 할 것임 ○ Google, Facebook 등 빅테크(플랫폼) 기업을 중심으로 디지털 혁신이 특히 비금융 부문에서 빠르게 진행되어 왔으며 승자 독식(Winner-Takes-All)이라는 디지털 생태계 특성이 발현되고 있음 ∙ 디지털 생태계에서는 디지털 혁신과 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규모의 경제, 범위의 경제, 네트워크 효과, 데이터의 피드백 효과 등이 상호작용을 일으켜 승자 독식의 독점적 시장구조가 형성됨(Croxson et al. 2022)1) - 이는 공급 측면에서 규모의 경제가 나타날 뿐만 아니라 수요 측면에서도 규모의 경제가 나타나기 때문임 - 이처럼 시장 점유율이 높아지면 네트워크 효과 등으로 평균비용이 낮아지고 평균수익이 높아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디지털 생태계에서 기업은 이익 극대화 보다는 시장 점유율 극대화 전략을 추구하게 됨 ∙ 정선영(2022)2)에 따르면 2021년 Google의 글로벌 검색엔진 시장 점유율은 92%, Facebook의 글로벌 SNS 시장 점유율은 72%에 달함 ○ 빅테크 기업의 독점적 시장 지배력의 경우 반경쟁적 행태의 결과가 아니라 디지털 혁신과 네트워크(시장 점유율) 효과 등이 상호작용한 결과이며, 오히려 사회후생을 확대시킨다는 측면에서 선(善)한 독점의 개념을 등장시킴(정선영 2022) ∙ 기존의 전통 생태계()를 보면, 다수의 기업이 경쟁을 통해 공급과 수요가 만나는 가격 B에서 시장균형이 이루어지는 경우(완전경쟁) 사회후생이 가장 크며, 만일 시장이 독점적이어서 완전경쟁보다 높은 가격 E가 부과되면 1) Croxson, K., Frost, J., Gambacorta, L., and Valletti, T.(2022), “Platform-based business models and financial inclusion”, BIS WP, No. 986 2) 정선영(2022), 「디지털 경제와 시장 독과점 간 관계」, BOK 이슈노트, 한국은행 리 포 트 이슈 분석 디지털 혁신의 딜레마: 금융 vs. 비금융 윤성훈 선임연구위원 2022.4.4 KIRI 리포트 이슈 분석 16 사회후생은 감소함 - 붉은색 직선은 수요곡선, 파란색 직선은 공급곡선(한계비용)3)이며, 사회후생은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이윤)의 합인데, 가격이 B일 경우 소비자잉여는 삼각형 ABC, 생산자잉여는 없기 때문에 사회후생은 소비자잉여와 같음 - 시장 지배력을 바탕으로 기업이 가격을 B보다 높게 E로 설정하면 소비자잉여는 삼각형 AEF, 생산자잉여는 사각형 EFHB4)이기 때문에 사회후생은 사다리꼴 ABHF인데, 이는 삼각형 ABC보다 작으며 자중손실(Deadweight Loss)이 삼각형 FHC 만큼 발생함 - 따라서 완전경쟁 시 사회후생이 가장 크며, 시장 지배력에 의한 가격 부과는 사회후생(소비자잉여)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반독점 규제 당국의 모니터링 대상임 전통 생태계 디지털 생태계 주: Croxson et al.(2022)를 이용하여 저자 수정 주: Croxson et al.(2022)를 이용하여 저자 수정 ∙ 디지털 생태계()에서는 디지털 혁신과 시장 점유율 상승이 한계비용을 낮추기 때문에 기업의 수가 감소할수록 한계비용이 낮아져 수요와 공급곡선이 만나는 가격 L에서 자연독점이 형성되며, 사회후생은 이전(완전경쟁 균형가격 B)보다 커짐 - 디지털 생태계의 특성 발현으로 한계비용(공급곡선)은 파란색 직선에서 초록색 직선으로 이동하고, 사회후생은 이전 삼각형 ABC에서 삼각형 ALK로 증가함 - Croxson et al.(2022)은 늘어난 사회후생인 사다리꼴 BCKL을 가치창출혁신(Value Creating Innovation)이라고 언급함 - 따라서 디지털 생태계의 자연독점은 소비자에게 피해가 없고 사회후생과 소비자잉여를 늘리는 선(善)한 독점으로 이해됨 - 디지털 생태계에서 기업이 승자 독식으로 장기간 생존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혁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408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전일제 환산 취업자로 본 고용의 변화 3도토리 나혜선
340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우크라이나 위기와 러·미 갈등:주요 쟁점과 시사점 1도토리 나혜선
340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스리랑카 경제위기의 주요 원인과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40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국 개인정보 보호법의 주요 내용과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0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유럽 반도체 법안의 주요 내용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0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인도 5개 주 의회 선거결과와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40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1년 북중 무역 평가: 경제난과 무역 정상화 1도토리 국준아
340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우크라이나 사태와 대러 제재의 경제적 영향 7도토리 국준아
340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2년 양회를 통해 본 중국의 경제정책 방향과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339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한미 FTA 발효 10년 성과와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339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도 신재생에너지 시장 기회 및 진출 전략 3도토리 나혜선
339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소상공인의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디지털 전환 1도토리 나혜선
339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상통화를 활용한 비대면 보험 모집 해외 사례와 시사점 1도토리 나혜선
339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메타버스 新인류, 디지털 휴먼 3도토리 나혜선
339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지역혁신형 규제샌드박스 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7도토리 정한솔
3393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2022년 클라우드컴퓨팅 트렌드 3도토리 정한솔
339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이동통신 위치기반 서비스 동향 및 정밀 측위기술 소개 1도토리 정한솔
339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2021 초연결 지능화시대 DNA 분야 혁신기업 7도토리 정한솔
339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스마트농축수산의 정의와 현황 1도토리 황세영
338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디지털전환 실태 및 시사점 3도토리 황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