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분석] 미 기준금리 인상 및 유가 상승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박민혁 조회수 101
용량 392.58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분석] 미 기준금리 인상 및 유가 상승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pdf 392.58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06 
출처 : ibk 기업은행 경제연구소 
페이지 수 :

◈ 美기준금리 인상이 시작되고, 우크라이나 사태로 글로벌 유가가 급등하면서 해외요인 충격에 대한 국내경제 영향분석 필요성 증가 ㅇ Global VAR(GVAR) 모형을 중소기업 산업생산 등 분석필요 분야를 확충하고 최신자료(’21.Q4)로 업데이트한 후 분석 ⇒ 美금리 인상과 고유가 등으로 예상되는 국내경제 변화*의 현실화 가능성 점검* 美기준금리가 ’22년말까지 예상처럼 인상(1.75∼2.0%)되면 1년 내 한국 GDP는 0.77% 하락하고, 국제유가가 ’22.Q1 평균 101달러를 유지할 경우 1년 내 한국 물가(CPI 기준)는 1.58% 상승** 美금리 인상으로 정밀기기, 유가 상승으로 인쇄 및 기록매체 등의 산업생산이 크게 감소1 美기준금리 인상이 국내경제에 미치는 영향 □ 美연준은3년3개월만에기준금리인상을발표하고,연내6회추가인상예고ㅇ 3월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p 인상하여 제로금리를 종료했고, 남은 회의(5월, 6월, 7월, 9월, 11월, 12월)에서도 기준금리 연속 인상을 시사- ’22년말 적정 기준금리를 1.75%~2.0%로 전망(연내 0.25%p로 7회 이상인상) ※ 美기준금리 예상 인상폭(%p) : 0.25(’22.Q1) → 0.50(Q2) → 0.50(Q3) → 0.50(Q4) - 美연준은 기준금리 인상이 ’22년 하반기부터 미국의 성장과 인플레이션에 반영될 것으로 예상했고, 국내 GDP, 금융시장 등에도 파급효과가 예상□ (GVAR 모형 결과) 美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국내 경제변수 변화ㅇ 美기준금리 1%p 인상으로 인해 한국의 실질 GDP, 주가는 하락하고, 원/달러 환율, 단기금리는 상승 - ’22년말까지 美기준금리 인상이 계획대로 진행되면 ’23.Q1 한국은 GDP 0.77%감소, 단기금리 0.14%p 상승, 주가 4.84% 하락, 원/달러 환율 0.76% 상승 예상 - 2 - < 美기준금리 1%p 인상충격에 대한 국내 경제변수 반응 > < 美기준금리 1%p 인상 → 국내 실질 GDP > < 美기준금리 1%p 인상 → 국내 단기금리 >< 美기준금리 1%p 인상 → 국내 주가 > < 美기준금리 1%p 인상 → 원/달러 환율 > 주 : x축의 단위는 분기이며, 붉은 점선은 bootstrapping 1,000회를 실행하고 구한 90% 신뢰구간을 의미함< 시나리오별 美기준금리 인상충격에 대한 국내 경제변수 반응 비교 > 충격 1차년도 반응 GDP(%) 금리(%p) 주가(%) 환율(%) 1.00%p(0.25%p) 인상 -0.61(-0.17) 0.09(0.02) -4.49(-1.12) 0.93(0.23) 연준 시나리오(예상) 적용 -0.77 0.14 -4.84 0.76 주 : 연준 시나리오(예상)는 3월, 5월, 6월, 7월, 9월, 11월, 12월 각 0.25%p 인상하여, 총 1.75%p 인상을 가정 2 글로벌 유가 상승이 국내경제에 미치는 영향 □ 우크라이나사태,미국의러시아에너지수입금지등으로글로벌유가상승ㅇ 2.24일 우크라이나 사태가 발발하면서 글로벌 유가가 급격하게 상승- EIA*는 ’22.Q2 글로벌 유가(Brent유 기준)를 116달러(분기평균, 배럴당)로 전망* 미국 에너지 관리청(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 유가(Brent, 현물, 배럴당 달러, 평균) : 44(’20.Q4) → 61(’21.Q1) → 69(Q2) → 74(Q3) → 79(Q4) → 101(’22.Q1) ⇒ 116e (Q2) - 미국의 러시아 에너지 수입 금지가 진행되면서 3.6일 Brent유는 ’08.7월 이후 처음으로 장중 140달러까지 급등했고, 추가 상승의 우려가 잔존- 글로벌 유가 상승충격으로 국내 실질 GDP, 인플레이션 등에 변화가 예상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42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금융회사의 순환경제 전환대응사례와 시사점 1도토리 박민혁
342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 테크 기업의 M&A 증가 및 규제 1도토리 박민혁
342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혁신의 딜레마_금융 vs. 비금융 1도토리 박민혁
3421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글로벌 인플레이션 요인이 국내 제조업 생산자물가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1도토리 박민혁
»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미 기준금리 인상 및 유가 상승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박민혁
341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글로벌 공급망의 뉴노멀과 우리의 대응 3도토리 노민우
341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주요 원자재 공급 구조 분석과 가격 상승의 영향 3도토리 민준석
341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금융산업 중장기 발전 전략 1도토리 민준석
341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미국 금리인상과 국내경제 동향 1도토리 민준석
341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美 사모펀드 시장 감독강화 움직임 1도토리 민준석
341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테마형 ETF의 성장 및 위험요인 1도토리 민준석
341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배경 및 전망 1도토리 이지훈
341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EU 제재의 제약요인과 영향 1도토리 이지훈
3411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글로벌 경제를 위협하는 리스크: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통화 긴축, 중국경제 둔화 3도토리 이지훈
341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지방투자 활성화를 위한 산업인력정책 과제 1도토리 이지훈
340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러시아 은행산업 현황과 전망 1도토리 이지훈
340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국내 정책펀드 동향과 제도 개선 3도토리 이지훈
340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팬데믹 이후 주요국 경제 회복의 특징 비교 1도토리 류지원
340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인구구조 변화 및 선진국 정책금융기관의 대응 동향 1도토리 류지원
340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택 임대차 계약 후 필수 코스, 전월세신고제 1도토리 나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