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시장분석] 주요 원자재 공급 구조 분석과 가격 상승의 영향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민준석 | 조회수 | 52 | |
---|---|---|---|---|---|---|
용량 | 2.12MB | 필요한 K-데이터 | 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시장분석] 주요 원자재 공급 구조 분석과 가격 상승의 영향.pdf | 2.12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2-04-05 |
---|---|
출처 : |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
페이지 수 : | 34 |
< 목 차 >
Ⅰ. 연구배경
Ⅱ. 주요 원자재 공급 구조 및 가격 동향·전망
1. 에너지
2. 비철금속
3. 곡물
4. 희귀가스
Ⅲ. 원자재 가격 상승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Ⅳ. 결론 및 시사점
원자재는 미국, 중국 등 영토가 크고 자원 매장량이 풍부한 국가에서 주로 생산된다. 그 중에서도 미국은 원유(세계 공급의 14.9%), 천연가스(23.8%), 옥수수(31.8%)의 최대 생산국이며, 중국은 석탄(50.6%)과 알루미늄(57.0%) 세계 생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구리는 칠레(27.8%)와 페루(10.4%) 등 중남미 지역에서 주로 생산되며, 니켈은 인도네시아(30.7%)와 필리핀(13.3%) 등 동남아시아 지역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도 원유, 석탄, 천연가스 등 원자재가 생산되고 있으나 그 비중이 전체 수요의 1%에도 미치지 못해 대부분의 원자재는 사실상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 주요 원자재 공급구조 구분 1위 2위 3위 4위 5위 비고 에 너 지 원유 미국(14.9%) 러시아(13.0%) 사우디(12.4%) 캐나다(5.5%) 이라크(5.4%) - 석탄 중국(50.6%) 인도(9.2%) 인도네시아(7.4%) 호주(6.6%) 미국(6.4%) 러시아(5.3%) 천연가스 미국(23.8%) 러시아(16.8%) 이란(5.9%) 중국(4.4%) 캐나다(4.4%) - 비 철 금 속 구리 칠레(27.8%) 페루(10.4%) 중국(8.3%) 콩고(7.8%) 미국(5.8%) 러시아(3.9%) 알루미늄 중국(57.0%) 러시아(5.6%) 인도(5.5%) 캐나다(4.8%) UAE(3.9%) - 니켈 인도네시아(30.7%) 필리핀(13.3%) 러시아(11.3%) 뉴칼레도니아(8.0%) 호주(6.7%) - 팔라듐 러시아(42.9%) 남아프리카(33.9%) 캐나다(9.2%) 미국(6.7%) 짐바브웨(6.0%) - 곡 물 옥수수 미국(31.8%) 브라질(21.5%) 아르헨티나(19.5%)우크라이나(13.8%) EU(2.5%) - 소맥 EU(18.5%) 러시아(15.8%) 호주(13.5%) 미국(13.5%) 우크라이나(9.8%) - 희귀 가스 네온 우크라이나(70.0%) - 크립톤 러시아-우크라이나(80.0%) - 자료 : EIA, USGS, USDA, 언론보도 저자 종합 주 : 원유·석탄·비철금속 2020년 생산량 기준, 천연가스 2019년 생산량 기준, 곡물 2021/22년 수출 기준, 희귀가스 언론보도 최근 러-우 전쟁 이후 공급 차질에 대한 불안으로 국제 원자재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 원유 가격은 배럴당 128달러까지 치솟으며 2008년 이후 1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고, 석탄(159.4%), 니켈(118.9%), 소맥(84.9%), 천연가스(78.7%) 등도 ’21년말 대비 70% 이상의 상승폭을 기록했다. 이는 공급망 교란에 대한 불안 심리와 재고 확보를 위한 수요가 몰리면서 나타난 일시적인 현상으로, 러-우 전쟁이 끝난다는 전제하에 원자재 가격은 하반기 들어 전체적으로 하향 안정될 전망이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이 무역수지 악화, 기업 채산성 악화, 기업 생산활동 중단, 수출활력 둔화 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국가 차원에서 원자재 비축물량 확보, 원자재 재수출·매점매석 제한, 유류세 인하폭 확대 및 공공요금 동결 등으로 단기 피해 완화에 주력하는 한편, 원자재 비축대상 확대, 해외 자원개발 및 국내 생산기술 확보, 원자재 정보 제공 확대 등 장기적인 공급망 안정성 제고를 위한 대응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2 2 0 2 2년 6호 Ⅰ. 연구배경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發 공급망 압력으로 국제 원자재 가격이 상승세 ¢ 원유는 배럴당 128.0달러까지 치솟으며 2008년 이후 14년 만에 최고치 경신 * 브렌트유 가격(달러/배럴) : (’08.7.22) 129.55 → (’22.3.8) 128.0 ¢ 비철금속의 종합 가격지표인 LME 지수1)는 3월 7일 5,505.7을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 경신 | 원유 가격 | LME 지수 (달러/배럴) 자료 : Bloomberg, 4.1일 기준 공급망 교란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은 우리 기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 ¢ 지난 3월초 수출기업 대상 설문 결과 82% 기업이 ‘원재료 가격상승’으로 인한 애로를 호소 | 수출기업의 애로사항 응답률 자료 :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2022년 2/4분기 수출산업경기전망조사』 본 보고서는 주요 원자재의 공급 구조와 원자재 가격 상승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해외기관의 원자재 가격 전망을 소개 ¢ 분석 대상은 러-우 사태와의 연관성, 최근 가격변동 폭, 국내 산업 영향력 등을 감안하여 에너지(원유, 석탄, 천연가스), 비철금속(구리, 알루미늄, 니켈, 팔라듐), 곡물(옥수수, 소맥), 희귀가스(네온가스, 크립톤) 등 4개 분야 11개 품목임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