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국내 정책펀드 동향과 제도 개선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지훈 조회수 38
용량 322.08K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국내 정책펀드 동향과 제도 개선.pdf 322.08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3-08 
출처 : 자본시장연구원 
페이지 수 : 21 

< 목 차 >

 

Ⅰ. 서론

 

Ⅱ. 정책펀드의 설정

 

Ⅲ. 정책펀드의 운용

 

Ⅳ. 정책펀드의 청산 및 회수

 

V. 결론 및 시사점

 


 

정책펀드는 국가 정책적으로 중요하나 시장실패의 가능성이 높은 분야에 자금 공급을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정부 재정으로 지분투자하는 재간접펀드를 의미한다. 개별 부처마다 정책적 목적 에 의해 다수의 정책펀드를 운영하고 있으나, 불합리한 목표시장 설정과 총괄적 관리체계의 미비 등으로 인하여 재정 집행의 비효율성에 대한 우려가 확대되고 있다. 정책펀드 제도의 중요한 전 제조건은 민간시장의 구축을 최소화하면서 관련 시장 육성을 위한 효과적인 마중물 역할을 한 다는 것이다. 정책펀드의 설정-운용-청산의 전 주기에 걸쳐 이러한 정책 목적과 제약조건이 일관 되게 견지되어야 한다. 정책펀드의 신규 설정에 있어서는 민간시장에 대한 구축 가능성, 정책 목표의 달성 가능성, 중복 투자의 비효율성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신규 정책펀드 설정은 재정에 의한 지분투 자 방식의 적절성과 다른 정책 지원 수단의 활용 가능성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가능한 보수적으 로 허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책펀드의 운용은 비재무적인 정책 목표 달성과 재간접벤처투자 기구의 시장성 간에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전담 운용기관인 공 공모태펀드의 운용역량과 전문성이 담보되어야 한다. 개별 부처의 정책적 필요성에 의해 조성되 는 정책펀드의 목표시장과 투자 대상은 상이하나, 이를 실행하는 전담운용기관의 별도 신설은 가능한 지양하는 것이 비용 효율적이다. 정책펀드의 해산은 전담운용기관의 청산과 분리하여 접 근할 필요가 있으며, 이와 함께 공공모태펀드의 민영화도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될 필요가 있다. 정부 주도의 벤처기업 육성 정책에는 명과 암이 공존하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책펀드가 지금까 지 우리 벤처산업을 견인해 온 주요 원동력임에는 분명하다. 양적 성장에서 질적 발전으로 진화 하는 벤처산업정책에 있어 국내 정책펀드 제도의 합리적 개선 방안이 논의되어야 할 시점이다. *본고의 견해와 주장은 필자 개인의 것이며, 자본시장연구원의 공식적인 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펀드연금실 연구위원 남재우 (zeuss@kcmi.re.kr) 국내 정책펀드 현황 및 제도 개선 저자 남재우* Issue Report 22-03 01 Ⅰ. 서론 각국 정부는 재정으로 정책펀드를 조성하여 자국의 벤처기업에 대한 원활한 자금 공급을 도모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정부 부처별로 다수의 정책펀드를 운용하고 있다. 2005 년부터 운용 중인 중소벤처기업부의 중소기업투자모태조합01이 대표적이며, 이를 운용하기 위 하여 한국벤처투자(Korea Venture Investmnet Corp.: KVIC) 같은 모태펀드 전문운용기관이 설 립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정책펀드는 두 번의 벤처붐을 포함하여 우리나라 벤처산업 발전의 원 동력이 되었으나, 오늘날까지도 국내 벤처투자 조합 결성의 1/3 이상이 여전히 정부의 재정 지 원에 의존하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개별 부처별로 경쟁적으로 설정되고 관리 되는 정책펀드가 있다. 민간 벤처캐피탈(Venture Capital: VC) 시장에 대한 정부의 개입에 대하 여 벤처시장 발전을 지속적으로 견인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보다 큰 것으로 평가되나, 민간이 주 도하는 VC 생태계의 자생력 강화라는 측면에서는 과도한 정부 지원으로 인한 부정적 효과도 함 께 지적되는 부분이다. 정책펀드는 정부 재정을 민간 기업에 지분투자하기 위한 정책 수단의 일환이다. 이는 투자시장 이라는 민간 영역에 대한 국가의 직접적 개입을 의미한다. 따라서 그 대상과 실행 방식이 매우 제 한적일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별 정부 부처의 정책적 필요성에 의해 다수의 정책펀 드가 새롭게 설정되고 있다. 2020년 한 해 동안 추가로 재정이 투입된 정책펀드만 23개로, 이를 위한 예산 규모는 1조 6천억원에 이른다. 23개 정책펀드 중에서 60% 이상이 최근 5년 내에 신규 설정되었다.02 정책펀드의 목표 시장은 금융시장의 불완전성으로 인한 시장실패(market failure) 영역임이 확인되어야 한다. 정책펀드가 민간 시장을 구축하지 않기 위한 필수적인 전제 조건이 다. 모험적이고 혁신적인 창업기업에 투자하는 VC 시장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이른바 비벤처형 산업의 육성을 목표로 하는 정책펀드가 확대됨에 따라 이러한 시장실패 영역의 확인 도 벤처산업에서와 같이 선명하지는 않은 상황이다. 벤처형 산업에 있어서도 정책펀드 초기 설정 단계에서 확인되었던 시장실패가 정책펀드의 집행에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42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금융회사의 순환경제 전환대응사례와 시사점 1도토리 박민혁
342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 테크 기업의 M&A 증가 및 규제 1도토리 박민혁
342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혁신의 딜레마_금융 vs. 비금융 1도토리 박민혁
3421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글로벌 인플레이션 요인이 국내 제조업 생산자물가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1도토리 박민혁
342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미 기준금리 인상 및 유가 상승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박민혁
341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글로벌 공급망의 뉴노멀과 우리의 대응 3도토리 노민우
341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주요 원자재 공급 구조 분석과 가격 상승의 영향 3도토리 민준석
341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금융산업 중장기 발전 전략 1도토리 민준석
341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미국 금리인상과 국내경제 동향 1도토리 민준석
341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美 사모펀드 시장 감독강화 움직임 1도토리 민준석
341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테마형 ETF의 성장 및 위험요인 1도토리 민준석
341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배경 및 전망 1도토리 이지훈
341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EU 제재의 제약요인과 영향 1도토리 이지훈
3411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글로벌 경제를 위협하는 리스크: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통화 긴축, 중국경제 둔화 3도토리 이지훈
341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지방투자 활성화를 위한 산업인력정책 과제 1도토리 이지훈
340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러시아 은행산업 현황과 전망 1도토리 이지훈
»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국내 정책펀드 동향과 제도 개선 3도토리 이지훈
340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팬데믹 이후 주요국 경제 회복의 특징 비교 1도토리 류지원
340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인구구조 변화 및 선진국 정책금융기관의 대응 동향 1도토리 류지원
340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택 임대차 계약 후 필수 코스, 전월세신고제 1도토리 나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