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미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 및 경제 상황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류지원 조회수 43
용량 387.7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미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 및 경제 상황.pdf 387.7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14 
출처 : KDB미래전략연구소 
페이지 수 :

◆ 미 연준은 1월 FOMC를 통해 통화긴축 가속화를 시사한 가운데 최근 원자재가격 및 고용시장 상황은 연준의 정책 결정을 뒷받침 - 원자재가격 상승과 고용 호조가 확인되며 물가 상승 장기화 가능성 부각 ◆ 공급망 병목이 정점을 지나고 있다는 견해가 나오고 있는 한편, IMF가 미국의 ‘22년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하는 등 경제 상황 변화 가능성이 감지되고 있어 연준의 정책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에 대한 면밀한 관찰 필요 □ ‘22.1월 FOMC 이후 미국 통화 긴축 가속 전망 우세 속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 美 연준은 ’22.1월 FOMC(1.27일)를 통해 경제활동과 고용시장 상황이 개선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 * Indicators of economic activity and employment have continued to strengthen(1월 FOMC 성명서 中) - 다만, 경제활동 재개(reopening)에 의한 수급 불균형이 물가상승에 기여하고 있다고 진단 -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테이퍼링 종료*와 함께 기준금리 인상을 개시할 수 있다고 발언 * ‘21.12월 FOMC에서 예고한 바에 따라 ’22.3월 중 종료 ○ ’22.1월 FOMC 이후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빨라질 수 있다는 우려로 시장 금리 상승, 주가지수 하락 - 연방기금 선물시장에 반영된 ’22.3월 기준금리 인상 확률*은 테이퍼링이 결정된 ‘21.10월 FOMC 이후 이미 높아지기 시작했으며 ’22.1월 FOMC 이후 50bp 인상 확률 급부상** * 30일물 연방기금 선물가격이 연준의 금리정책과 관련한 정보를 반영한다는 가정 하에, 향후 FOMC에서 연준이 기준금리를 조정할 확률을 시카고상품거래소(CME) 계산 방식에 따라 산출 ** 기본적으로 금리인상은 1회 25bp씩 진행한다고 전제하기 때문에 50bp 인상 확률이 급등한 것은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가 빨라질 가능성이 높아졌음을 의미 - 연준의 빠른 금융긴축이 미국 경제에 부담을 가할 가능성을 반영하며 시장 금리는 상승*, 주가지수는 하락** *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 1.63(1.3일) → 1.71(1.13일) → 1.74(1.24일) → 1.81(1.27일) → 1.91(2.7일) ** S&P500지수(P): 4,796(1.3일) → 4,659(1.13일) → 4,410(1.24일) → 4,326(1.27일) → 4,483(2.7일) □ 최근 원자재 가격 흐름과 미국 고용시장 상황은 연준의 긴축 방침을 뒷받침 ○ 지정학적 불안에 의한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단기적으로는 높은 물가 수준이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 - 미국 ‘22.1월 소비자물가는 7.5% 상승하며 40년 來 최고치를 기록, 최근 12 개월 평균치는 5.2%로 연준의 목표치를 크게 상회* * 연준은 ’20.8월 잭슨홀 컨퍼런스를 통해 통화 긴축 조건으로 물가상승률의 장기(약 1년)평균치가 2.0%를 안정적으로 상회할 것을 제시 - 동절기 한파, 러시아-우크라이나를 둘러싼 지정학적 불안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이 생산비용 증가를 압박할 가능성 상존 * WTI 가격(달러/배럴): 76.1(1.3일) → 82.1(1.13일) → 84.2(1.24일) → 90.3(2.3일) → 91.3(2.7일) - ‘22.1월 미국 생산자물가상승률은 전월치를 상회한 9.8%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Bloomberg 컨센서스, ‘22.2.10일 기준) ○ 미국 ’22.1월 고용지표는 연준의 3월 금리인상 결정 전망을 강화 - 실업률은 4.0%로 ’21.12월(3.9%) 대비 소폭 상승했으나 이는 노동참여인구가 전월에 비해 크게 증가한 데 기인한 것으로 분석* * ‘22.1월 노동참여인구는 전월 대비 139.3만명 증가, ‘21.1월~’21.11월 평균치 13.5만명을 크게 상회 - ‘22.1월 비농업 부문 고용자수는 46.7만명 증가한 가운데 ‘21년 연간 총 고용자수는 당초 집계치보다 21.7만명 추가 증가한 것으로 수정* * ‘21년 연간 총고용자수는 기존 644.8만명에서 666.5만명으로 수정 - 시간당 평균임금 상승률은 6.9%로 ‘20.4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 향후 미국 가계소비가 안정적인 증가세를 이어갈 가능성을 뒷받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 및 경제 상황 1도토리 류지원
3351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COVID-19 위기 이후 외환자금 유출입 변화와 외환시장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35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시장 반응과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34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물가상승압력 확산 동향 평가 1도토리 나혜선
334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국제유가 동향과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34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해외의 탄소세 운용 동향 및 탄소가격에서의 시사점 1도토리 정한솔
334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2년 개선된 세법 주요 내용 및 향후 과제 1도토리 정한솔
3345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최근 원화 약세 원인 분석 1도토리 박민혁
334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中의 소득 불평등 현황 및 재분배정책 추진 평가 1도토리 박민혁
334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의 오미크론 변이 확산 대응전략 및 시사점 1도토리 박민혁
334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한국형 가치사슬의 구조변화와 과제 3도토리 박민혁
334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디지털세 최종 합의 내용 및 향후 과제 1도토리 박민혁
334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그린워싱(Greenwashing) 사례 및 규제 강화 1도토리 오민아
333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팬데믹 이후 美의 기대 인플레이션 동향 및 연준의 인식 변화 1도토리 오민아
333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최근 인도네시아의 주요 광물 수출 중단조치의 배경 및 시사점 1도토리 오민아
333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中 탄소중립 정책 주요 내용과 전망 1도토리 오민아
333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성장하는 펫케어 산업 최신트렌드 및 韓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 7도토리 민준석
333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2년 세계경제 전망과 위험 요인 1도토리 민준석
333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미・중 무역분쟁의 현황 및 향후 영향 검토 1도토리 민준석
333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청정수소 생태계, 산업용 수소 및 산업 간 협력 모델 주목 1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