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미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 및 경제 상황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류지원 조회수 87
용량 387.7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미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 및 경제 상황.pdf 387.7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14 
출처 : KDB미래전략연구소 
페이지 수 :

◆ 미 연준은 1월 FOMC를 통해 통화긴축 가속화를 시사한 가운데 최근 원자재가격 및 고용시장 상황은 연준의 정책 결정을 뒷받침 - 원자재가격 상승과 고용 호조가 확인되며 물가 상승 장기화 가능성 부각 ◆ 공급망 병목이 정점을 지나고 있다는 견해가 나오고 있는 한편, IMF가 미국의 ‘22년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하는 등 경제 상황 변화 가능성이 감지되고 있어 연준의 정책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에 대한 면밀한 관찰 필요 □ ‘22.1월 FOMC 이후 미국 통화 긴축 가속 전망 우세 속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 美 연준은 ’22.1월 FOMC(1.27일)를 통해 경제활동과 고용시장 상황이 개선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 * Indicators of economic activity and employment have continued to strengthen(1월 FOMC 성명서 中) - 다만, 경제활동 재개(reopening)에 의한 수급 불균형이 물가상승에 기여하고 있다고 진단 -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테이퍼링 종료*와 함께 기준금리 인상을 개시할 수 있다고 발언 * ‘21.12월 FOMC에서 예고한 바에 따라 ’22.3월 중 종료 ○ ’22.1월 FOMC 이후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빨라질 수 있다는 우려로 시장 금리 상승, 주가지수 하락 - 연방기금 선물시장에 반영된 ’22.3월 기준금리 인상 확률*은 테이퍼링이 결정된 ‘21.10월 FOMC 이후 이미 높아지기 시작했으며 ’22.1월 FOMC 이후 50bp 인상 확률 급부상** * 30일물 연방기금 선물가격이 연준의 금리정책과 관련한 정보를 반영한다는 가정 하에, 향후 FOMC에서 연준이 기준금리를 조정할 확률을 시카고상품거래소(CME) 계산 방식에 따라 산출 ** 기본적으로 금리인상은 1회 25bp씩 진행한다고 전제하기 때문에 50bp 인상 확률이 급등한 것은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가 빨라질 가능성이 높아졌음을 의미 - 연준의 빠른 금융긴축이 미국 경제에 부담을 가할 가능성을 반영하며 시장 금리는 상승*, 주가지수는 하락** *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 1.63(1.3일) → 1.71(1.13일) → 1.74(1.24일) → 1.81(1.27일) → 1.91(2.7일) ** S&P500지수(P): 4,796(1.3일) → 4,659(1.13일) → 4,410(1.24일) → 4,326(1.27일) → 4,483(2.7일) □ 최근 원자재 가격 흐름과 미국 고용시장 상황은 연준의 긴축 방침을 뒷받침 ○ 지정학적 불안에 의한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단기적으로는 높은 물가 수준이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 - 미국 ‘22.1월 소비자물가는 7.5% 상승하며 40년 來 최고치를 기록, 최근 12 개월 평균치는 5.2%로 연준의 목표치를 크게 상회* * 연준은 ’20.8월 잭슨홀 컨퍼런스를 통해 통화 긴축 조건으로 물가상승률의 장기(약 1년)평균치가 2.0%를 안정적으로 상회할 것을 제시 - 동절기 한파, 러시아-우크라이나를 둘러싼 지정학적 불안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이 생산비용 증가를 압박할 가능성 상존 * WTI 가격(달러/배럴): 76.1(1.3일) → 82.1(1.13일) → 84.2(1.24일) → 90.3(2.3일) → 91.3(2.7일) - ‘22.1월 미국 생산자물가상승률은 전월치를 상회한 9.8%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Bloomberg 컨센서스, ‘22.2.10일 기준) ○ 미국 ’22.1월 고용지표는 연준의 3월 금리인상 결정 전망을 강화 - 실업률은 4.0%로 ’21.12월(3.9%) 대비 소폭 상승했으나 이는 노동참여인구가 전월에 비해 크게 증가한 데 기인한 것으로 분석* * ‘22.1월 노동참여인구는 전월 대비 139.3만명 증가, ‘21.1월~’21.11월 평균치 13.5만명을 크게 상회 - ‘22.1월 비농업 부문 고용자수는 46.7만명 증가한 가운데 ‘21년 연간 총 고용자수는 당초 집계치보다 21.7만명 추가 증가한 것으로 수정* * ‘21년 연간 총고용자수는 기존 644.8만명에서 666.5만명으로 수정 - 시간당 평균임금 상승률은 6.9%로 ‘20.4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 향후 미국 가계소비가 안정적인 증가세를 이어갈 가능성을 뒷받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368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손 기반 상호작용에 대한 기술 동향 1도토리 류지원
336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ICT 융합과 미래를 여는 커넥티드 스마트 승강기 동향 1도토리 류지원
336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외 디지털전환 진단 지표 비교 분석 1도토리 강정훈
336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빅데이터로 본 정보보호·디지털 이슈 분석 3도토리 강정훈
336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프로파일링, 추천서비스와 개인정보보호 정책 동향 분석 1도토리 강정훈
3363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전기차 고출력 파워모듈용 세라믹 방열소재 기술 3도토리 강정훈
336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고성능 리튬이차전지의 실리콘계 음극소재 기술 1도토리 강정훈
3361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첨단 패키징 기술 동향 1도토리 박민혁
3360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교통 흐름 분석 기술 1도토리 박민혁
335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 및 플랫폼 패러다임과 美·中 기술 패권 3도토리 박민혁
335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금융회사의 순환경제 전환대응사례와 시사점 1도토리 박민혁
33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 테크 기업의 M&A 증가 및 규제 1도토리 박민혁
335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혁신의 딜레마_금융 vs. 비금융 1도토리 박민혁
335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글로벌 인플레이션 요인이 국내 제조업 생산자물가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1도토리 박민혁
335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미 기준금리 인상 및 유가 상승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박민혁
335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글로벌 공급망의 뉴노멀과 우리의 대응 3도토리 노민우
335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주요 원자재 공급 구조 분석과 가격 상승의 영향 3도토리 민준석
335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금융산업 중장기 발전 전략 1도토리 민준석
335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미국 금리인상과 국내경제 동향 1도토리 민준석
334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美 사모펀드 시장 감독강화 움직임 1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