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 연준은 1월 FOMC를 통해 통화긴축 가속화를 시사한 가운데 최근 원자재가격 및 고용시장 상황은 연준의 정책 결정을 뒷받침 - 원자재가격 상승과 고용 호조가 확인되며 물가 상승 장기화 가능성 부각 ◆ 공급망 병목이 정점을 지나고 있다는 견해가 나오고 있는 한편, IMF가 미국의 ‘22년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하는 등 경제 상황 변화 가능성이 감지되고 있어 연준의 정책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에 대한 면밀한 관찰 필요 □ ‘22.1월 FOMC 이후 미국 통화 긴축 가속 전망 우세 속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 美 연준은 ’22.1월 FOMC(1.27일)를 통해 경제활동과 고용시장 상황이 개선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 * Indicators of economic activity and employment have continued to strengthen(1월 FOMC 성명서 中) - 다만, 경제활동 재개(reopening)에 의한 수급 불균형이 물가상승에 기여하고 있다고 진단 -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테이퍼링 종료*와 함께 기준금리 인상을 개시할 수 있다고 발언 * ‘21.12월 FOMC에서 예고한 바에 따라 ’22.3월 중 종료 ○ ’22.1월 FOMC 이후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빨라질 수 있다는 우려로 시장 금리 상승, 주가지수 하락 - 연방기금 선물시장에 반영된 ’22.3월 기준금리 인상 확률*은 테이퍼링이 결정된 ‘21.10월 FOMC 이후 이미 높아지기 시작했으며 ’22.1월 FOMC 이후 50bp 인상 확률 급부상** * 30일물 연방기금 선물가격이 연준의 금리정책과 관련한 정보를 반영한다는 가정 하에, 향후 FOMC에서 연준이 기준금리를 조정할 확률을 시카고상품거래소(CME) 계산 방식에 따라 산출 ** 기본적으로 금리인상은 1회 25bp씩 진행한다고 전제하기 때문에 50bp 인상 확률이 급등한 것은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가 빨라질 가능성이 높아졌음을 의미 - 연준의 빠른 금융긴축이 미국 경제에 부담을 가할 가능성을 반영하며 시장 금리는 상승*, 주가지수는 하락** *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 1.63(1.3일) → 1.71(1.13일) → 1.74(1.24일) → 1.81(1.27일) → 1.91(2.7일) ** S&P500지수(P): 4,796(1.3일) → 4,659(1.13일) → 4,410(1.24일) → 4,326(1.27일) → 4,483(2.7일) □ 최근 원자재 가격 흐름과 미국 고용시장 상황은 연준의 긴축 방침을 뒷받침 ○ 지정학적 불안에 의한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단기적으로는 높은 물가 수준이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 - 미국 ‘22.1월 소비자물가는 7.5% 상승하며 40년 來 최고치를 기록, 최근 12 개월 평균치는 5.2%로 연준의 목표치를 크게 상회* * 연준은 ’20.8월 잭슨홀 컨퍼런스를 통해 통화 긴축 조건으로 물가상승률의 장기(약 1년)평균치가 2.0%를 안정적으로 상회할 것을 제시 - 동절기 한파, 러시아-우크라이나를 둘러싼 지정학적 불안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이 생산비용 증가를 압박할 가능성 상존 * WTI 가격(달러/배럴): 76.1(1.3일) → 82.1(1.13일) → 84.2(1.24일) → 90.3(2.3일) → 91.3(2.7일) - ‘22.1월 미국 생산자물가상승률은 전월치를 상회한 9.8%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Bloomberg 컨센서스, ‘22.2.10일 기준) ○ 미국 ’22.1월 고용지표는 연준의 3월 금리인상 결정 전망을 강화 - 실업률은 4.0%로 ’21.12월(3.9%) 대비 소폭 상승했으나 이는 노동참여인구가 전월에 비해 크게 증가한 데 기인한 것으로 분석* * ‘22.1월 노동참여인구는 전월 대비 139.3만명 증가, ‘21.1월~’21.11월 평균치 13.5만명을 크게 상회 - ‘22.1월 비농업 부문 고용자수는 46.7만명 증가한 가운데 ‘21년 연간 총 고용자수는 당초 집계치보다 21.7만명 추가 증가한 것으로 수정* * ‘21년 연간 총고용자수는 기존 644.8만명에서 666.5만명으로 수정 - 시간당 평균임금 상승률은 6.9%로 ‘20.4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 향후 미국 가계소비가 안정적인 증가세를 이어갈 가능성을 뒷받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