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분석]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시장 반응과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128
용량 1.58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분석]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시장 반응과 전망.pdf 1.5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23 
출처 : 국제금융센터 
페이지 수 :

 [동향]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동부의 친러 분리주의 세력의 독립을 승인하고 군 파병을 예고하면서 군사적 긴장이 빠르게 고조되며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  러시아: 푸틴 대통령은 2.2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의 친러 분리주의자들이 선포한 자칭 도네츠크인민공화국(DPR)과 루간스크인민공화국 (LPR)의 독립을 승인하고 평화유지군 파병을 명령 –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온전성과 주권을 침해 하고 평화적 노력을 파괴하였다고 비판. 유엔 안보리 긴급회의 소집을 요청 하고 서방에 지원을 촉구  주요국 반응: 서방 국가들은 러시아의 행동을 국제법 및 민스크 협정 위반으로 규정하고 우크라이나 침공을 위한 사전 단계라고 규탄. 대러 제재를 경고하는 한편, 유엔 안보리 긴급회의를 통해 평화적/외교적 해결을 촉구 – 미국: 도네츠크 및 루간스크 공화국과의 투자/무역/금융 거래를 금지하는 대통령 행정명령 발동 예정. 우크라이나 주재 자국민에 폴란드로 임시 대피하도록 조치 – NATO: 러시아의 행동은 우크라이나의 주권 및 영토 보전을 훼손하고 평화적 해결노력을 약화. 분리주의자들에 대한 금융/군사 지원은 우크라이나 갈등에 기름을 부어 우크라이나 침공의 빌미를 만들 것 – 영국: 국제법 위반으로 규정하고 새로운 대러 제재 발표 예정 – 독일: 러시아의 도발을 간과하지 않을 것(not go unanswered)이라고 경고 – 호주: 국제 사회의 강력 대러 제재 시 동참할 것을 강조 – 일본: 제재 등 엄중한 대응을 위해 G7 및 국제사회와 협력할 것이라고 발언. 현지 대사관을 중심으로 자국민에 대피를 촉구 – 중국: 장쥔 UN 대사, 평등과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대화를 계속하고 외교적 해결책을 모색할 것을 제안 최성락, 강영숙 외 (3705-6213) 2022. 2. 23 Brief KCIF 2 Market Brief  금융시장 반응: 안전자산 선호가 강화되며 주요국 국채금리 하락 및 글로벌 주가 하락. 유가는 공급 차질 우려로 상승 – 주식: 2.21일 미 증시는 휴장. 유럽 증시는 일제히 하락(Eurostoxx 50 -2.2%). 러시아 증시는 크림반도 병합(`14.3월) 이후 최대폭 하락(-10.5%) • 2.22일 아시아 및 미 증시도 동반 하락(일본 -1.7%, 중국 -1.0%, 홍콩 -2.7%, 한국 -1.3%, 대만 -1.4%, S&P500 -1.0%, 나스닥 -1.2%) – 외환: 안전자산 선호로 달러화 강세. 루블화는 3.0% 급락하며 `20.11월 이후 최저치. 2.22일 원/달러 환율은 장중 1,196.2원까지 상승 후 조정 – 채권: 21일 아시아 시장에서 미 국채금리(10년물) 7bp 하락 후 낙폭을 축소. 러시아는 2.21일 금리 급등(+80bp)으로 국채입찰 계획을 취소 – 유가: 우크라이나 침공 시 공급 차질이 있을 것이라는 우려에 상승. 브렌트유는 7년 5개월래 최고치($96.8) ⇒ 최근 돈바스 지역의 분리 독립 시도와 러시아의 개입은 `14 년 크림자치공화국의 독립 및 러시아 연방으로의 합병 과정과 유사하여 당시 시장 반응을 검토  [`14년 금융시장 반응] `14년 3월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 이후에도 분쟁은 1년여간 지속. 국제금융시장은 `14년 2월말~3월 중순까지 사태에 크게 반응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14년말~`15년 2월에는 대러 제재의 영향이 가시화 * `14년 일지 : 반정부시위(`13.11월) → 총리 사임(`14.1월) → 유혈사태(2/20일) → 러 군훈련(2/26일) → 크림반도 무장세력 장악(2/27일) → 러 의회 군동원 승인(3/1일) → 러 군훈련 종료(3/4일) → 서방∙러 협상(3/5일) → 러시아, 크린반도 합병(3/16~18일) → 동부 2개지역 지역 분리선언(5월) → 우크라이나, 러시아 휴전협정(9/5일) → 서방의 대러 경제제재(7월, 9월, 11월 추가)  (주가)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승인 임박하여 러시아, 동유럽, 독일 등 유럽권 주가가 5~10% 가량 하락한 후 3월 중반부터 회복 – `14.2.28일~3.14일까지 MSCI 선진국 지수는 -2.1%, 신흥국 지수는 -3.0% – 대러 경제/금융 익스포져가 큰 유럽 주가가 큰 폭 하락했지만 서방의 대응 수위가 예상보다 낮고, 러시아도 외교적 해결전략을 병행하면서 군사적 긴장이 완화된 영향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38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30 미래사회 변화와 ICT 8대 유망기술의 사이버 위협 전망 7도토리 황세영
338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스마트제조 테스트베드 기반의 중소·중견기업 디지털 전환 지원 방안 3도토리 전아람
338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머신러닝 기반의 차세대 통신 기술 동향 1도토리 전아람
3385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인공지능 및 입체영상 시각화 기술을 이용한 첨단 영상유도수술 3도토리 전아람
3384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Network for AI 기술 동향 1도토리 전아람
3383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디지털 트윈을 위한 클라우드서비스 3도토리 전아람
338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제조업과 만나는 VR·AR 1도토리 황세영
338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기부, 삼성전자와 함께 자가진단키트 지능형공장(스마트공장) 지원 1도토리 황세영
338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2년 3월 한국판 뉴딜 주요사업 추진계획」 1도토리 최민기
337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한국 산업의 디지털 전환 실태와 정책적 시사점 1도토리 최민기
337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2 글로벌 에너지 의제 3도토리 최민기
3377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차량 활용 엣지 컴퓨팅 기술: 6G 응용 예시 및 해결 과제 1도토리 최민기
3376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영상 내 객체 속성 추정 기술 1도토리 민준석
3375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메타버스, 일하는 방식을 바꾸다 3도토리 민준석
3374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콘텐츠 서비스 블록체인 적용을 위한 사례 분석 연구 1도토리 민준석
337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소기업 수행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특허성 및 분석 3도토리 민준석
337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SW 기업의 국제화 전략 3도토리 민준석
337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새로운 산업기술 정책 시대의 도래와 대응 방안 1도토리 민준석
337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EU, 데이터법안(Data Act)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1도토리 민준석
336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차세대 질병 진단 및 스크리닝 기술 관련 연구 동향 3도토리 류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