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분석] 물가상승압력 확산 동향 평가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120
용량 1.36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분석] 물가상승압력 확산 동향 평가.pdf 1.3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13 
출처 : 한국은행 
페이지 수 :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10월 이후 3%대의 높은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코로나 충 격으로부터의 회복과정에서 수요압력이 점차 높아지는 가운데 에너지·원자재가격 상승, 글로벌 공급병목 등의 영향이 더해지면서 물가상승압력이 일부 품목에 국한되지 않고 전반적으로 확대 되면서 물가상승 품목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최근 물가상승 확산 양상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물가상승압력이 석유류 등 비근원품목에 국한되지 않고 근원품목(식료품·에너지 제외)으로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 둘째, 근원품목 내에서는 특히 외식품목의 물가상승 확산세가 뚜렷하게 나타나면서 외식물가 오 름세가 예년 수준을 큰 폭으로 상회하고 있다. 셋째, 글로벌 공급병목에 따른 물가상승압력이 자 동차, 가구 등 일부 내구재를 중심으로 점차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넷째, 최근의 물가상승 확 산세는 과거 물가 급등기 수준을 다소 상회하는 모습이다. 앞으로 하방경직성이 큰 외식물가의 추가 상승압력 상존, 글로벌 공급병목 지속 등으로 물가상 승압력이 보다 많은 품목에 걸쳐 광범위하게 나타나면서 금년 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수 준을 상당폭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물가상승 확산 정도가 커지는 가운데 목표수준을 상회하는 물가 오름세가 이어지면서 기대인플레이션이 상승할 경우 추가적인 물가상승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경제주체의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BOK 이슈노트 제 2022-10호 BANK OF KOREA 2022년 2월 13일 물가상승압력 확산 동향 평가 오강현 한국은행 조사국 물가동향팀 과장 Tel. 02-759-4412 khoh@bok.or.kr 김윤경 한국은행 조사국 물가동향팀 조사역 Tel. 02-759-4454 YounKyeong@bok.or.kr 이재진 한국은행 조사국 물가동향팀 조사역 Tel. 02-759-4267 jjlee1121@bok.or.kr 강재훈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 (구 조사국 물가동향팀) 조사역 Tel. 062-601-1107 jhkang@bok.or.kr 제 2022-10호 2 한국은행 Ⅰ.검토배경 최근 주요국의 물가 오름세가 큰 폭으로 확 대된1) 가운데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도 지난 해 10월 이후 3%대의 높은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그림 1〉 참조). 이는 코로나 충격으로부 터의 회복과정에서 수요압력이 점차 높아지는 가운데 에너지·원자재가격 상승 외에도 글로 벌 공급병목 등의 영향이 더해지면서 물가상승 압력이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주요국의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 승률 전망이 큰 폭으로 상향조정되는 모습이다 (〈그림 2〉 참조). 이에 본고는 우리나라의 최근 물가상승압력 의 확산 동향 및 특징을 살펴보고 향후 물가 흐 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보았다. 3.6 7.5 5.1 5.4 -1 0 1 2 3 4 5 6 7 8 19.1 7 20.1 7 21.1 7 22.1 한국 미국 유로지역1) 영국 (전년동월대비, %) 주요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주: 1) HICP 기준 자료: 통계청, BLS, Eurostat, ONS 1 2 3 4 5 6 미국 영국 유로지역 (전년대비, %) 3.4 3.3 2.0 4.8 4.6 3.1 2022년 CPI 상승률 전망 조정1) 주: 1) 전망시점: 21.10월→22.1월 자료: Consensus Economics Ⅱ. 물가상승압력 확산 동향 지난해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연 초 1%를 밑도는 낮은 수준에서 11월 이후 3% 대 중후반으로 가파르게 높아졌다. 이는 국제 유가 상승세가 확대되면서 석유류가격 오름세 가 큰 폭으로 높아진 데다 경기회복과 함께 개 인서비스물가를 중심으로 근원물가 오름세도 점진적으로 확대된 데 기인하였다(〈그림 3〉 및 〈그림 4〉 참조). 식료품의 경우 농산물가격이 높은 변동성을 보이고 축산물가격이 높은 오름 세를 이어간 가운데 가공식품가격은 하반기 들 어 원자재가격 상승이 반영되면서 오름세가 확 대되었다(〈그림 5〉 참조).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38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30 미래사회 변화와 ICT 8대 유망기술의 사이버 위협 전망 7도토리 황세영
338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스마트제조 테스트베드 기반의 중소·중견기업 디지털 전환 지원 방안 3도토리 전아람
338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머신러닝 기반의 차세대 통신 기술 동향 1도토리 전아람
3385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인공지능 및 입체영상 시각화 기술을 이용한 첨단 영상유도수술 3도토리 전아람
3384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Network for AI 기술 동향 1도토리 전아람
3383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디지털 트윈을 위한 클라우드서비스 3도토리 전아람
338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제조업과 만나는 VR·AR 1도토리 황세영
338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기부, 삼성전자와 함께 자가진단키트 지능형공장(스마트공장) 지원 1도토리 황세영
338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2년 3월 한국판 뉴딜 주요사업 추진계획」 1도토리 최민기
337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한국 산업의 디지털 전환 실태와 정책적 시사점 1도토리 최민기
337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2 글로벌 에너지 의제 3도토리 최민기
3377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차량 활용 엣지 컴퓨팅 기술: 6G 응용 예시 및 해결 과제 1도토리 최민기
3376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영상 내 객체 속성 추정 기술 1도토리 민준석
3375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메타버스, 일하는 방식을 바꾸다 3도토리 민준석
3374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콘텐츠 서비스 블록체인 적용을 위한 사례 분석 연구 1도토리 민준석
337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소기업 수행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특허성 및 분석 3도토리 민준석
337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SW 기업의 국제화 전략 3도토리 민준석
337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새로운 산업기술 정책 시대의 도래와 대응 방안 1도토리 민준석
337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EU, 데이터법안(Data Act)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1도토리 민준석
336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차세대 질병 진단 및 스크리닝 기술 관련 연구 동향 3도토리 류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