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경제분석] 최근 원화 약세 원인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박민혁 조회수 44
용량 1.29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경제분석] 최근 원화 약세 원인 분석.pdf 1.2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8 
출처 : 한국은행 
페이지 수 : 13 

Ⅰ . 검토배경 2021년 이후 미 달러화는 미 연준의 통화정 책 기조 정상화 전망 등의 영향으로 강세를 시 현하고 있다. 특히 작년 하반기에는 미 연준의 테이퍼링이 가시화되고, 중국 헝다그룹 관련 불확실성, 국제원자재가격 상승 및 글로벌 공 급 병목현상에 따른 인플레이션 확대 우려 등 이 가세하면서 강세 기조가 강화되고 있다. () 반면 원화는 미 달러화 뿐만 아니라 달러인 덱스 및 주요 신흥국 통화 등 기타 통화에 대 해서도 약세를 보이고 있다. 작년중 원/달러 환율 상승률(+8.2%)은 달러인덱스(+6.3%) 및 신흥국 대미 환율1)(+2.7%) 상승률을 상회하였 다. 또한 최근 글로벌 경기 상황과 유사하게 미국의 테이퍼링 기대, 중국 경기 부진 등이 달러 강세2)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과거 시기(2012.12~2013.7월)와 비교해서도 달러인덱 스(2.6%→6.3%)와 신흥국 통화(0.1%→2.7%)의 절하 확대폭보다 원화의 절하 확대폭(3.6%→ 8.2%)이 더 크게 나타났다.() 본고에서는 대내외 환경 변화 하에서 원화 환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살펴보고, 2021 년 중 원화가 다른 나라 통화에 비해 절하폭이 큰 원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Ⅱ장에서는 원화 약세 원인을 경로별로 점검하고, Ⅲ장에서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종합 평가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원화, 달러 인덱스, 신흥국 환율1) 주: 1) MSCI EM 신흥국중 고정환율제도 국가 제 외, 대미 교역액을 이용한 가중평균 환율 자료: CEIC, IMF, 자체시산 기간별 대미 환율 변화율1) (%) 달러 강세기 한 국 달러 인덱스 신흥국2) 기간① ’08.7~’09.2 39.7 18.3 20.0 (31.8) 기간② ’09.11~’10.6 3.3 13.9 -1.0 (-1.3) 기간③ ’11.6~’12.7 5.4 10.8 7.3 (13.2) 기간④ ’12.12~’13.7 3.6 2.6 0.1 ( 1.8) 기간⑤ ’14.7~’16.1 18.2 23.1 24.2 (36.2) 기간⑥ ’16.8~’16.12 3.6 5.7 5.8 ( 7.0) 기간⑦ ’18.2~’19.9 12.2 8.7 11.5 ( 7.7) 기간⑧ ’19.12~’20.4 4.8 1.8 6.8 (15.0) 기간⑨ ’21.1~’21.12 8.2 6.3 2.7 ( 6.4) 주: 1) 달러 강세 시작 전월 대비 마지막월 상승률 2) ( )내는 중국제외 1) MSCI EM에 속한 신흥국의 대미 환율(고정환율제도 국가는 제외)을 대미 교역액을 이용하여 가중평균하였 다. 2) 달러 강세기별 환율 변동 요인 및 신흥국 환율 산출 방법은 ‘달러 강세기별 원/달러 환율 변 화’를 참조하기 바란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34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물가상승압력 확산 동향 평가 1도토리 나혜선
334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국제유가 동향과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34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해외의 탄소세 운용 동향 및 탄소가격에서의 시사점 1도토리 정한솔
334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2년 개선된 세법 주요 내용 및 향후 과제 1도토리 정한솔
»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최근 원화 약세 원인 분석 1도토리 박민혁
334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中의 소득 불평등 현황 및 재분배정책 추진 평가 1도토리 박민혁
334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의 오미크론 변이 확산 대응전략 및 시사점 1도토리 박민혁
334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한국형 가치사슬의 구조변화와 과제 3도토리 박민혁
334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디지털세 최종 합의 내용 및 향후 과제 1도토리 박민혁
334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그린워싱(Greenwashing) 사례 및 규제 강화 1도토리 오민아
333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팬데믹 이후 美의 기대 인플레이션 동향 및 연준의 인식 변화 1도토리 오민아
333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최근 인도네시아의 주요 광물 수출 중단조치의 배경 및 시사점 1도토리 오민아
333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中 탄소중립 정책 주요 내용과 전망 1도토리 오민아
333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성장하는 펫케어 산업 최신트렌드 및 韓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 7도토리 민준석
333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2년 세계경제 전망과 위험 요인 1도토리 민준석
333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미・중 무역분쟁의 현황 및 향후 영향 검토 1도토리 민준석
333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청정수소 생태계, 산업용 수소 및 산업 간 협력 모델 주목 1도토리 민준석
333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년 글로벌 지급결제 주요 트렌드 및 전망 1도토리 민준석
3331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50 탄소중립을 위한 자본시장의 변화와 발전 과제 1도토리 김민성
3330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COVID-19 이후의 미래_10대 경제 키워드(2022년) 3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