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中의 소득 불평등 현황 및 재분배정책 추진 평가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박민혁 조회수 44
용량 1.29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中의 소득 불평등 현황 및 재분배정책 추진 평가.pdf 1.2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21 
출처 : 한국은행 
페이지 수 : 20 

◆ [개 황] 중국 정부는 지난해 공동부유를 중장기 정책목표로 제시하고재분배정책을 강화해 나갈 방침을 천명하였으며, 이는 중국 내 불평등이우려스러운 수준에 이르렀다는 중국 정부의 인식을 반영*
* 중국 정부가 공동부유를 강조하는 배경에는 세계 최고 수준에 달한 중국의 경제적불평등이 존재(Financial Times, 2021.12월)
➡ 이에 중국의 소득 불평등 현황과 주요 특징을 살펴본 다음, 중국 정부의재분배정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을 것인지를 평가
◆ [중국의 소득 불평등 현황]
□ 중국경제는 개혁·개방 이후 고속성장 과정에서 소득 불평등이 크게 확대ㅇ (소득 지니계수) 소득 지니계수가 개혁·개방 초기에는 주요 선진국과비슷하였으나 이후 소득 격차가 확대되며 여타국을 크게 상회
ㅇ (소득 5분위 배율) 도시지역 소득 5분위 배율*이 2001년 WTO 가입이후급격히 상승하였으며, 이후 등락하다가 최근에 다시 상승세
 * 가계의 1인당 가처분소득 기준 상위 20%의 소득 평균을 하위 20%의 평균으로 나눈값ㅇ (상대적 빈곤률) 성장과정에서 절대적 빈곤은 감소하였으나 소득 분배구조악화로 상대적 빈곤은 여전히 매우 높은 수준
◆ [주요 특징]
□1 [도시·농촌간, 지역간 소득격차 크게 확대] 개혁⋅개방 과정에서 동부해안도시지역에 경제발전의 성과가 집중됨에 따라 도시⋅농촌간, 지역간 소득격차가 크게 벌어진 상황
ㅇ 도시 가구의 1인당 가처분소득이 농촌의 2.6배에 달하며, 주요 대도시가위치한 동부지역 가구 소득 수준이 여타 지역에 비해 크게 높음
□2 [후커우 등 집단간 소득격차 심각] 후커우*(戶口, hukou) 제도로 인해 이주노동자인 농민공(약 2.9억명)이 교육 및 사회복지 혜택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면서소득격차가 확대
 * 농촌인구의 급격한 도시 유입을 막기 위해 거주지 이전을 제한하는 제도□3 [재정의 소득 재분배 기능 미흡] 중국내 소득 불평등 문제가 심화되고 있으나재정의 소득 재분배 기능은 매우 미흡 ㅇ 이로 인해 여타국과 비교할 때 가처분소득 지니계수(42.1)와 세전소득기준 지니계수(42.3)와의 차이가 미미하게 나타남 ◆ [중국의 재분배정책 추진에 대한 평가] □ (재분배정책 추진은 불가피한 선택이며 일부 긍정적 효과) 중국경제 내 심각한소득 불평등은 체제 정당성과 안정성을 위협할 수 있기 때문에, 중국 정부입장에서는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급박한 문제 ㅇ 재분배정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가계의 소비 여력을 높여 중국정부에서 추진중인 ‘내수 중심의 질적성장’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에도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재분배정책의 원활한 추진이 쉽지 않은 이유) 중국경제의 성장 둔화가 예상되는상황에서 세수 확대 난항, 불확실한 기업여건, 집단간 격차 해소의 어려움등을감안할 때, 향후 중국 정부의 재분배정책이 무리 없이 원활하게 추진되는 것은 쉽지않은 것으로 평가 ① (성장둔화 우려) 최근 성장세 둔화 우려, 중장기 성장 목표 등을 감안할때중국 정부가 성장보다 재분배를 중시하는 정책을 과감하게 추진하기는쉽지 않음 ② (세수 확대 난항) 재정지출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세수 확대가용이하지 않아 재분배정책 추진여력이 제한적 ③ (불확실한 기업 경영여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고 규제를 강화하는방식의 재분배정책은 중국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크게 약화시킬 수있어장기적으로 지속 가능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평가 ④ (집단간 격차 해소 곤란) 도시·농촌 후커우 등 집단간 불평등 문제는공산당이 내부결속을 유지하는 과정에서 누적되어온 구조적·제도적 문제로재분배정책만으로는 해결이 어려움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34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물가상승압력 확산 동향 평가 1도토리 나혜선
334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국제유가 동향과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34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해외의 탄소세 운용 동향 및 탄소가격에서의 시사점 1도토리 정한솔
334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2년 개선된 세법 주요 내용 및 향후 과제 1도토리 정한솔
3345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최근 원화 약세 원인 분석 1도토리 박민혁
»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中의 소득 불평등 현황 및 재분배정책 추진 평가 1도토리 박민혁
334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의 오미크론 변이 확산 대응전략 및 시사점 1도토리 박민혁
334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한국형 가치사슬의 구조변화와 과제 3도토리 박민혁
334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디지털세 최종 합의 내용 및 향후 과제 1도토리 박민혁
334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그린워싱(Greenwashing) 사례 및 규제 강화 1도토리 오민아
333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팬데믹 이후 美의 기대 인플레이션 동향 및 연준의 인식 변화 1도토리 오민아
333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최근 인도네시아의 주요 광물 수출 중단조치의 배경 및 시사점 1도토리 오민아
333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中 탄소중립 정책 주요 내용과 전망 1도토리 오민아
333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성장하는 펫케어 산업 최신트렌드 및 韓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 7도토리 민준석
333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2년 세계경제 전망과 위험 요인 1도토리 민준석
333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미・중 무역분쟁의 현황 및 향후 영향 검토 1도토리 민준석
333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청정수소 생태계, 산업용 수소 및 산업 간 협력 모델 주목 1도토리 민준석
333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년 글로벌 지급결제 주요 트렌드 및 전망 1도토리 민준석
3331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50 탄소중립을 위한 자본시장의 변화와 발전 과제 1도토리 김민성
3330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COVID-19 이후의 미래_10대 경제 키워드(2022년) 3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