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주요국의 오미크론 변이 확산 대응전략 및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박민혁 조회수 98
용량 2.39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주요국의 오미크론 변이 확산 대응전략 및 시사점.pdf 2.3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26 
출처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페이지 수 : 18 

< 목 차 >

 

1.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 현황

 

2. 국가별 오미크론 변이 확산 대응정책

 

3. 정책 시사점

 


 

주요 내용 ▶ [확산 현황] 2021년 11월 발견된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확산되며 의료체계 부담을 심화시키고 있음. - 오미크론 변이 유행 국가는 직전 유행보다 훨씬 더 큰 규모의 감염 확산을 경험하고 있으나, 감염 규모 에 비해 입원환자 및 사망자 수는 빠르게 늘지 않는 경향을 보임. - 중증도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전파력으로 인해 감염의 절대 규모가 커져, 의료체계 부담은 기존 유 행과 비슷하거나 더 크게 나타남. - 확진자 및 접촉자가 대량 발생하면서 기존의 검사·추적·격리 체제를 효율화할 필요성이 커짐. ▶ [주요국 대응] 주요국은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대응하여 방역 대응전략을 수정하고 있음. - [미국] 백신 접종을 강조하는 가운데 사회적 거리두기를 별도로 강화하지 않고 있으며, 확진자 격리기간 단축, 자가검사 활용 등 추가 조치를 통해 사회 필수기능을 유지하려 함. - [영국] 일시적으로 거리두기 정책(일명 ‘Plan B’)을 강화하였으나 감염이 감소세로 돌아서자 방역조치를 연장하지 않기로 결정하였으며, 백신 접종과 사전 코로나19 검사를 전제로 여행제한을 완화하고 있음. - [일본] 오미크론 확산이 심각한 일부 지역에서 ‘만연방지 중점조치’를 시행하며 방역조치를 강화하였으며, PCR 무료 검사 확대와 외국인 전면 입국금지 조치 연장을 통해 감염 확산을 저지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함. - [이스라엘] 접종 인센티브 추가 도입을 통해 추가 접종을 독려하며, 사회적 거리두기와 입국제한 조치는 점차 완화하면서 중증 예방에 집중하는 정책을 펴고 있음. ▶ [시사점] 우리나라도 오미크론 변이의 급격한 확산에 대비할 필요가 있으며, 감염 통제와 사회기능 유지 사이의 균형이 필요함. - 우리나라도 이미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이 되어 당분간 감염 규모가 빠른 속도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감염 확산이 급격히 진행될 경우 의료체계 부담이 커지고 확진자 및 접촉자 격리로 인해 사회기능이 마 비될 가능성이 있음. - 백신 접종, 중증 병상 확보, 기본 위생수칙 준수 등을 통해 감염 규모가 의료체계 역량을 초과하지 않도 록 주의하는 한편, 사회기능 유지를 위해 대응전략을 ‘중증 및 사망 피해 방지’로 수정할 필요가 있음. - 기존 대규모 유행 경험이 없는 우리나라의 경우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략 변화와 지침 준수에 대한 방역당국의 효과적인 소통이 필수적임. KIEP 오늘의 세계경제 2022.1.26. 주요국의 오미크론 변이 확산 대응전략과 시사점 3 KIEP 오늘의 세계경제 2022.1.26. 1.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 현황 ■ [오미크론 변이 발생] 2021년 11월 발견된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확산되며 의료체계 부담을 심화시키고 있음. - 오미크론 변이(B.1.1.529)는 2021년 11월 중순 보츠와나와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에서 발견된 이래 미 국, 덴마크, 영국, 일본 등 전 세계로 빠르게 퍼져나감. ◦ 오미크론 변이는 11월 11일 보츠와나에서 최초로 발견되었으며, 대규모 유행은 남아공에서 가장 먼저 발생함. ◦ 11월 26일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해 다섯 번째 ‘우려변이(Variant of Concern)’로 지정됨.1) ◦ 주요국에서 신속한 여행제한으로 대응했음에도 불구하고 영국, 덴마크 등 유럽 국가와 미국, 이스라엘, 인 도, 브라질, 일본 등지로 퍼지고 있음. ◦ 1월 17일 기준 최소 161개 국가에서 오미크론 변이가 발견되었으며 빠르게 우세종으로 변함(표 1 참고).2) - 오미크론 변이는 델타 변이에 비해 ⓛ 전파력이 더 크고, ② 기존 감염 또는 백신의 면역 효과를 일부 회피하 나, ③ 중증 및 사망으로 발전할 확률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남(자세한 내용은 부록 참고). ◦ 바이러스 특정 부위의 돌연변이로 인해 전파력이 상승하였고 기존 면역을 회피함. ◦ 단 3차 접종 시 감염 예방 효과가 어느 정도 유지되며, 예방접종의 중증 및 사망 예방 효과도 83~92%로 높 아짐.3) ◦ 확진자 대비 입원 및 사망 환자의 비율은 낮으나, 높은 전파력으로 인해 감염의 절대 규모가 커질 경우 기존보다 의료체계에 부담을 더 많이 줄 가능성이 있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368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손 기반 상호작용에 대한 기술 동향 1도토리 류지원
336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ICT 융합과 미래를 여는 커넥티드 스마트 승강기 동향 1도토리 류지원
336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외 디지털전환 진단 지표 비교 분석 1도토리 강정훈
336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빅데이터로 본 정보보호·디지털 이슈 분석 3도토리 강정훈
336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프로파일링, 추천서비스와 개인정보보호 정책 동향 분석 1도토리 강정훈
3363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전기차 고출력 파워모듈용 세라믹 방열소재 기술 3도토리 강정훈
336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고성능 리튬이차전지의 실리콘계 음극소재 기술 1도토리 강정훈
3361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첨단 패키징 기술 동향 1도토리 박민혁
3360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교통 흐름 분석 기술 1도토리 박민혁
335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 및 플랫폼 패러다임과 美·中 기술 패권 3도토리 박민혁
335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금융회사의 순환경제 전환대응사례와 시사점 1도토리 박민혁
33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 테크 기업의 M&A 증가 및 규제 1도토리 박민혁
335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혁신의 딜레마_금융 vs. 비금융 1도토리 박민혁
335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글로벌 인플레이션 요인이 국내 제조업 생산자물가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1도토리 박민혁
335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미 기준금리 인상 및 유가 상승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박민혁
335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글로벌 공급망의 뉴노멀과 우리의 대응 3도토리 노민우
335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주요 원자재 공급 구조 분석과 가격 상승의 영향 3도토리 민준석
335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금융산업 중장기 발전 전략 1도토리 민준석
335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미국 금리인상과 국내경제 동향 1도토리 민준석
334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美 사모펀드 시장 감독강화 움직임 1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