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과학기술 기반 새로운 직업의 지원 및 육성 현황과 개선 방안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49
용량 2.81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과학기술 기반 새로운 직업의 지원 및 육성 현황과 개선 방안.pdf 2.81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2-15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페이지 수 : 39 

 [ 목 차 ]

 

Ⅰ. 추진배경 및 목적

Ⅱ. 정부의 신직업 정책 개요

Ⅲ.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 지원·육성 현황과 문제점

Ⅳ. 정책제언

 


 

 연구의 배경과 목적  (연구의 배경) 과기정통부는 2014년부터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을 지정하고 이 직업 들을 육성하기 위한 다양한 시책을 추진 중이나 시간이 지나 새로운 환경에 직면 - 지정된 직업별로 담당 부서가 있으나 전체 직업에 대한 통합적인 점검이 필요 * (’14년 8개 직업 지정) 연구실안전전문가, 연구장비전문가, 연구기획평가사, 소셜미디어전문가, 감성인식기술전문가, 빅데이터전문가, 인공지능전문가, 과학커뮤니케이터 * (’15년 2개 직업 지정) 미디어콘텐츠창작자, 3D프린팅운영전문가  (연구의 목적)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 육성의 현황, 성과, 한계 등을 점검하고 육성책의 개선 방향을 모색함으로써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지속적인 발굴과 전주기 지원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특징과 현황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특징 - 각 직업에 필요한 지식의 난이도와 기술적 전문성의 수준에 따라 교육훈련을 통해 신직업을 육성할 수 있는 정도가 크게 차이 남 - 기술의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요구되는 기술적 전문성이 깊어질수록 신직업 종사 인력에 대한 수요도 확대되고 이들의 활동도 활발해짐 - 기술과 산업의 변화가 빨라질수록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종류와 기대 역할도 빠르게 변화되므로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지원사업의 탄력적 대응이 필요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이 발생하는 메커니즘 - 기술과 산업 상황이 변하면서 새로운 과학기술기반 신직업이 발생하게 됨 1) 세부 직무로 전문화 : 관련 종사자 증가에 따라 세부 직무가 전문화되어 각 직무 담당자들이 독립적인 직업으로 주목받음 2) 기술 발전에 따라 세부 기술들로 분화 : 신기술이 개발되면서 세부 기술별로 직업이 세분화됨 *인공지능 전문가 → 인공지능 개발자 → 머신러닝 엔지니어 3) 산업의 가치사슬 확장 : 신기술이 연구개발 단계를 넘어 생산, 유통 단계로 확대됨에 따라 개발, 설계 직업에서 생산엔지니어, 유통 관련 직업이 새롭게 등장 * 바이오의약품 CMO기업 증가 – 바이오공정엔지니어, GMP 지식 보유자 4) 기술의 적용 분야 확장 : 인공지능, 신소재 등 여러 분야에 적용되는 기반기술들은 적용분야가 확대되면서 해당 적용분야에 특화된 전문직 수요도 증가 | 요 약 | 3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 육성의 성과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은 공공수요기반형과 민간수요기반형으로 나눠서 살펴볼 수 있음  공공수요기반형 신직업* 은 주로 공공 R&D를 지원하는 전문서비스직으로 구성되며, 정부지원에 맞춰 발전하는 특징이 있고, 현재 상당한 가시적 성과를 거두고 있음 * 연구장비전문가, 연구실안전전문가, 과학커뮤니케이터, 연구기획평가사 등 - 공공부문에서 관련 업무를 따로 규정해서 의무적으로 채용하고 이 직업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도록 함에 따라 전문서비스 분야 신직업의 활성화에 기여 - 향후 신직업의 교육·훈련 수요 증가가 예상되나 지속적인 정부지원이 없으면 수요 기관이 자체적으로 교육·훈련 시스템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임  민간수요기반형 신직업*은 직업 간 활성화 수준의 차이가 크고, 향후 인력의 수요·공급 수준도 유동적일 것으로 전망됨 * 3D프린팅운영전문가, 인공지능(AI)전문가, 빅데이터전문가, 감성인식기술전문가, 미디어콘텐츠 창작자, 소셜미디어(SNS)전문가 등 - 유관 산업이 존재하거나 기존 업무 종사자가 재교육을 통해서 신직업의 직무 역량을 습득할 수 있는 경우 신직업 종사자 수가 유의미하게 증가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에 대한 진입장벽(기술적 역량과 전문성)이 높을수록 단기간에 신직업 인력을 대규모로 육성하는 것이 어려움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 지원 사업의 한계와 문제점  일정한 기준을 설정하지 않고 그저 관심이 증가하는 특정 기술분야에 개발자, 전문가 등을 붙여 신직업으로 선정하고 있어 신직업의 기준과 범위가 임의적이고 모호함 - 신직업 개념이 불명확하여 지원 및 관리 방안 마련이 어렵고 변화를 수용하기도 여려움 - 범위가 명확하지 않아 신직업 종사자 현황 파악과 신규 인력 모니터링이 어려움  각 신직업의 교육 난이도와 비용의 차이를 반영하지 않고 사업을 평가하는 문제 - 배출 인원, 취업률, 만족도 등의 일괄적인 기준으로 신직업 육성사업을 평가하여 소수 인원을 대상으로 고난이도 교육과 실습이 필요한 고급인력 대상 신직업은 불리함  신직업 선정 후 지원 성과를 모니터링하여 사업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부족 - 직업 활성화 정도, 애로사항, 목적 달성 여부 등을 파악하여 지원책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부족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49 성장동력산업 50Gbps급 광 강도 변조기 기술 1도토리 조현상
348 성장동력산업 채널당 100Gbps PAM4 신호처리 및 DSP-IC 평가보드 기술 1도토리 조현상
347 성장동력산업 모바일 증강현실 디오라마 연동 기술 V1.0 [기술이전설명회 발표자료] 1도토리 조현상
346 성장동력산업 가변블록관리 기반 2-계층 메모리 시스템 기술 v2 [기술이전설명회 발표자료] 1도토리 조현상
345 성장동력산업 통화안정증권시장의 구조 변화 1도토리 조현상
344 성장동력산업 딥러닝 기반 용접 품질검사 자동화 기술 1도토리 조현상
343 성장동력산업 AI기반 PE 악성코드 분석 및 시각화 도구 기술 1도토리 조현상
342 성장동력산업 의료기기 네트워크 이상행위 탐지 엔진 1도토리 조현상
341 성장동력산업 콜롬비아 ICT 시장동향 2021 3도토리 조현상
340 성장동력산업 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21년 12월-1) 1도토리 조현상
339 성장동력산업 [중국] 12월 1일부터 시행되는 중국 지식재산권 신(新)규정 1도토리 조현상
338 성장동력산업 핀란드 ICT 시장동향 2021 3도토리 조현상
337 성장동력산업 원격근무 시장동향 보고서 2021 3도토리 조현상
336 성장동력산업 칠레 ICT 시장동향 2021 3도토리 조현상
335 성장동력산업 UAE 웨어러블 진출가이드 2021 3도토리 조현상
334 성장동력산업 베트남 로봇 진출가이드 2021 3도토리 조현상
333 성장동력산업 브라질 스마트홈 진출가이드 2021 3도토리 조현상
332 성장동력산업 싱가포르 원격근무 진출가이드 2021 1도토리 조현상
331 성장동력산업 인도 드론 진출가이드 2021 3도토리 조현상
330 성장동력산업 UWB기반의 N대N 상대거리 측정 기술 1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