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과학기술 기반 새로운 직업의 지원 및 육성 현황과 개선 방안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49
용량 2.81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과학기술 기반 새로운 직업의 지원 및 육성 현황과 개선 방안.pdf 2.81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2-15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페이지 수 : 39 

 [ 목 차 ]

 

Ⅰ. 추진배경 및 목적

Ⅱ. 정부의 신직업 정책 개요

Ⅲ.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 지원·육성 현황과 문제점

Ⅳ. 정책제언

 


 

 연구의 배경과 목적  (연구의 배경) 과기정통부는 2014년부터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을 지정하고 이 직업 들을 육성하기 위한 다양한 시책을 추진 중이나 시간이 지나 새로운 환경에 직면 - 지정된 직업별로 담당 부서가 있으나 전체 직업에 대한 통합적인 점검이 필요 * (’14년 8개 직업 지정) 연구실안전전문가, 연구장비전문가, 연구기획평가사, 소셜미디어전문가, 감성인식기술전문가, 빅데이터전문가, 인공지능전문가, 과학커뮤니케이터 * (’15년 2개 직업 지정) 미디어콘텐츠창작자, 3D프린팅운영전문가  (연구의 목적)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 육성의 현황, 성과, 한계 등을 점검하고 육성책의 개선 방향을 모색함으로써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지속적인 발굴과 전주기 지원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특징과 현황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특징 - 각 직업에 필요한 지식의 난이도와 기술적 전문성의 수준에 따라 교육훈련을 통해 신직업을 육성할 수 있는 정도가 크게 차이 남 - 기술의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요구되는 기술적 전문성이 깊어질수록 신직업 종사 인력에 대한 수요도 확대되고 이들의 활동도 활발해짐 - 기술과 산업의 변화가 빨라질수록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종류와 기대 역할도 빠르게 변화되므로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지원사업의 탄력적 대응이 필요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이 발생하는 메커니즘 - 기술과 산업 상황이 변하면서 새로운 과학기술기반 신직업이 발생하게 됨 1) 세부 직무로 전문화 : 관련 종사자 증가에 따라 세부 직무가 전문화되어 각 직무 담당자들이 독립적인 직업으로 주목받음 2) 기술 발전에 따라 세부 기술들로 분화 : 신기술이 개발되면서 세부 기술별로 직업이 세분화됨 *인공지능 전문가 → 인공지능 개발자 → 머신러닝 엔지니어 3) 산업의 가치사슬 확장 : 신기술이 연구개발 단계를 넘어 생산, 유통 단계로 확대됨에 따라 개발, 설계 직업에서 생산엔지니어, 유통 관련 직업이 새롭게 등장 * 바이오의약품 CMO기업 증가 – 바이오공정엔지니어, GMP 지식 보유자 4) 기술의 적용 분야 확장 : 인공지능, 신소재 등 여러 분야에 적용되는 기반기술들은 적용분야가 확대되면서 해당 적용분야에 특화된 전문직 수요도 증가 | 요 약 | 3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 육성의 성과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은 공공수요기반형과 민간수요기반형으로 나눠서 살펴볼 수 있음  공공수요기반형 신직업* 은 주로 공공 R&D를 지원하는 전문서비스직으로 구성되며, 정부지원에 맞춰 발전하는 특징이 있고, 현재 상당한 가시적 성과를 거두고 있음 * 연구장비전문가, 연구실안전전문가, 과학커뮤니케이터, 연구기획평가사 등 - 공공부문에서 관련 업무를 따로 규정해서 의무적으로 채용하고 이 직업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도록 함에 따라 전문서비스 분야 신직업의 활성화에 기여 - 향후 신직업의 교육·훈련 수요 증가가 예상되나 지속적인 정부지원이 없으면 수요 기관이 자체적으로 교육·훈련 시스템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임  민간수요기반형 신직업*은 직업 간 활성화 수준의 차이가 크고, 향후 인력의 수요·공급 수준도 유동적일 것으로 전망됨 * 3D프린팅운영전문가, 인공지능(AI)전문가, 빅데이터전문가, 감성인식기술전문가, 미디어콘텐츠 창작자, 소셜미디어(SNS)전문가 등 - 유관 산업이 존재하거나 기존 업무 종사자가 재교육을 통해서 신직업의 직무 역량을 습득할 수 있는 경우 신직업 종사자 수가 유의미하게 증가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에 대한 진입장벽(기술적 역량과 전문성)이 높을수록 단기간에 신직업 인력을 대규모로 육성하는 것이 어려움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 지원 사업의 한계와 문제점  일정한 기준을 설정하지 않고 그저 관심이 증가하는 특정 기술분야에 개발자, 전문가 등을 붙여 신직업으로 선정하고 있어 신직업의 기준과 범위가 임의적이고 모호함 - 신직업 개념이 불명확하여 지원 및 관리 방안 마련이 어렵고 변화를 수용하기도 여려움 - 범위가 명확하지 않아 신직업 종사자 현황 파악과 신규 인력 모니터링이 어려움  각 신직업의 교육 난이도와 비용의 차이를 반영하지 않고 사업을 평가하는 문제 - 배출 인원, 취업률, 만족도 등의 일괄적인 기준으로 신직업 육성사업을 평가하여 소수 인원을 대상으로 고난이도 교육과 실습이 필요한 고급인력 대상 신직업은 불리함  신직업 선정 후 지원 성과를 모니터링하여 사업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부족 - 직업 활성화 정도, 애로사항, 목적 달성 여부 등을 파악하여 지원책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부족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512 성장동력산업 SK 하이닉스 훌륭한 Operation 과 배당 확대 1도토리 조정희
1511 성장동력산업 SK이노베이션 4분기 쇼크보단 올해 좋아질 것에 주목 1도토리 조정희
1510 성장동력산업 현대위아 개선 방향성 신뢰, 속도에 대한 아쉬움 1도토리 조정희
1509 성장동력산업 POSCO 멀지 않은 주가 반등 시점 1도토리 조정희
1508 성장동력산업 LX세미콘 디스플레이 중소형주 Top-pick 1도토리 조정희
1507 성장동력산업 호텔신라 동계올림픽 이후 수요 반등 여부가 관건 1도토리 조정희
1506 성장동력산업 LG디스플레이 OLED TV 부문 실적 개선 전망 1도토리 조정희
1505 성장동력산업 현대위아 역사적 Valuation 하단에 근접 1도토리 조정희
1504 성장동력산업 HI Market Analysis 간판과 본질 - 코스피 지수 밴드 재산정 1도토리 조정희
1503 성장동력산업 쇼박스 쇼쇼쇼(Show Show Show) 1도토리 조정희
1502 성장동력산업 삼성SDI 달라진 것은 없다 1도토리 조정희
1501 성장동력산업 비에이치 산업 구조조정의 수혜 1도토리 조정희
1500 성장동력산업 [HI Economy] 시장 달래기에 나선 미 연준: 자이언트 스텝에 거리두기 1도토리 조정희
1499 성장동력산업 국도화학 시황은 여전히 강세 1도토리 조정희
1498 성장동력산업 건설 2022년 가이던스 실적 기대감 고조 1도토리 조정희
1497 성장동력산업 S-Oil 1Q 까지는 호실적 기대 1도토리 조정희
1496 성장동력산업 SK하이닉스 테크 업종의 히어로 1도토리 조정희
1495 성장동력산업 SK이노베이션 4Q 어닝쇼크 보다는, 배터리 성장성에 주목 1도토리 조정희
1494 성장동력산업 LG유플러스 긍정적인 배당 정책 1도토리 조정희
1493 성장동력산업 현대위아 [4Q21 Review] 당황스러운 적자. 다만 일회성 악재가 많았다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