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분석] 팬데믹 이후 美의 기대 인플레이션 동향 및 연준의 인식 변화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오민아 조회수 122
용량 647.36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분석] 팬데믹 이후 美의 기대 인플레이션 동향 및 연준의 인식 변화.pdf 647.36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25 
출처 : 한국은행 
페이지 수 : 12 

1. 개 요 □ (의의) 기대인플레이션은 가계, 기업 등 경제주체들이 주관적 정보를 바탕으로미래 일정기간동안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는 평균적인 인플레이션의 수준을의미 o 기대인플레이션은 경제주체의 가격결정, 임금협상, 투자결정 외에 소비시기 변화를통해 총수요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 o 과도한 확장적 재정 및 통화정책으로 인한 기대인플레이션 상승이 1970년대후반에 발생했던 大인플레이션을 심화시킨 주요 요인으로 평가* * 「 1970년대 大인플레이션 경험과 기대인플레이션」 참조 o 大인플레이션 직후 확립된 기대인플레이션 안착을 위한 선제적(preemptive) 통화정책은 최근까지 전세계 중앙은행들의 통화정책체계 근간이 되어옴 ― 연준은 기대인플레이션을 보다 확고히 안착시키기 위해 2012년부터 인플레이션 목표치(2%)를 공식적으로 제시 o 연준은 2020년 8월 평균인플레이션제 등 새로운 통화정책체계를 도입*한이후 결과기반(outcome-based) 통화정책을 지향하고 있으나, 장기 기대인플레이션의 안착(anchored) 여부는 기반 인플레이션(underlying inflation)의 주요선행지표라는 점에서 여전히 통화정책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님 * 2020.9월 이후 FOMC 정책의결문 문구 : With inflation having run persistently below this longer-run goal, the Committee will aim to achieve inflation moderately above 2 percent for some time so that inflation averages 2 percent over time and longer term inflation expectations remain well anchored at 2 percent. -2/12- □ (한계) 미국에서는 경제주체들의 주관적인 기대인플레이션의 장기 수준과 추세변화를 추정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론이 계속 연구되고 있으며, 다수의 지표가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음 o 그러나 각 지표들은 추정방법, 대상물가지표, 추정기간 및 조사주기 등이모두 상이하고, 조사결과가 서로 상충되는 경우가 많아 이를 정책에 활용하는데 여러가지 한계*가 있음 * 소비자대상 서베이 지수 : ① 개인의 경제상황에 대한 평가가 단기 기대인플레이션에영향을 미치는 경향, ② 소비비중 및 구매빈도가 큰 특정품목에 대한 편의, ③ 미래지향적인 요인(통화정책 기조 및 경제전망 등)보다 과거 경험에 기초한 주관적 판단이 더 중요하게 작용(평균회귀 경향) 등 추가적인 한계가 있음    시장금리 등 활용 지표 : 기대인플레이션 외에 금융시장 상황 등 인플레이션과 무관한다른 요인들에 의해 왜곡이 가능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368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손 기반 상호작용에 대한 기술 동향 1도토리 류지원
336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ICT 융합과 미래를 여는 커넥티드 스마트 승강기 동향 1도토리 류지원
336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외 디지털전환 진단 지표 비교 분석 1도토리 강정훈
336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빅데이터로 본 정보보호·디지털 이슈 분석 3도토리 강정훈
336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프로파일링, 추천서비스와 개인정보보호 정책 동향 분석 1도토리 강정훈
3363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전기차 고출력 파워모듈용 세라믹 방열소재 기술 3도토리 강정훈
336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고성능 리튬이차전지의 실리콘계 음극소재 기술 1도토리 강정훈
3361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첨단 패키징 기술 동향 1도토리 박민혁
3360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교통 흐름 분석 기술 1도토리 박민혁
335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 및 플랫폼 패러다임과 美·中 기술 패권 3도토리 박민혁
335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금융회사의 순환경제 전환대응사례와 시사점 1도토리 박민혁
33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 테크 기업의 M&A 증가 및 규제 1도토리 박민혁
335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혁신의 딜레마_금융 vs. 비금융 1도토리 박민혁
335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글로벌 인플레이션 요인이 국내 제조업 생산자물가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1도토리 박민혁
335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미 기준금리 인상 및 유가 상승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박민혁
335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글로벌 공급망의 뉴노멀과 우리의 대응 3도토리 노민우
335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주요 원자재 공급 구조 분석과 가격 상승의 영향 3도토리 민준석
335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금융산업 중장기 발전 전략 1도토리 민준석
335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미국 금리인상과 국내경제 동향 1도토리 민준석
334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美 사모펀드 시장 감독강화 움직임 1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