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분석] 미・중 무역분쟁의 현황 및 향후 영향 검토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민준석 조회수 48
용량 811.78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분석] 미・중 무역분쟁의 현황 및 향후 영향 검토.pdf 811.78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27 
출처 : 국회예산정책처 
페이지 수 :

1. 미・중 무역분쟁 전개과정 및 현황 미국과 중국은 세계 교역 시장에서 가장 큰 두 교역국으로 이 두 국가의 교역 정책은 세계 교역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함 2020년 미국과 중국의 세계 교역 시장에서의 교역 비중은 각각 8.13% 와 14.7%로 두 국가의 교역량이 전 세계 교역량의 23%를 차지함 [그림 1] 주요 국가별 세계 수출시장 비중 [그림 2] 주요 국가별 세계 수입시장 비중 출처: UNCTAD 자료를 기초로 국회예산정책처에서 작성 2018년 7월 미국이 대중국 수입품목에 대하여 추가 관세를 부과함으로써 미국과 중국 간 무역분쟁이 본격적으로 촉발됨 2017년 8월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무역법 301조에 의거하여 중국의 기술이전 및 지적재산권 관련법, 제도, 관행으로 인한 미국의 피해 여부 조사를 시작 2018년 3월 발표된 301조 조사 결과1)를 바탕으로 2018년 7월 중국산 818개 수입품목에 대하여 340억 달러의 추가 관세를 부과 ※ 본 보고서는 USTR, UNDP,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PIIE), 한국은행, 산업은행,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산업연구원, 무역협회의 자료를 참조 하여 작성함 1) Findings of the Investigation into China's Acts, Policies, and Practices Related to Technology Transfer, Intellectual Property, and Innovation Under Section 301 of the Trade Act of 1974, 2018년 3월 22일 2022년 1월호 114 ❘ 중국이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에 대응하여 마찬가지로 미국산 545개 수입품목에 대하여 340억 달러의 추가 관세를 보복적으로 부과함으로 본격적으로 미・중 무역분쟁이 시작됨 [표 1] 미・중 무역분쟁 전개 과정 발효 시점 미국의 대중 관세 부과 중국의 대미 과세 부과 2018.7 ∙ 818개 품목, 340억 달러, ∙ 25% 추가 관세 부과 ∙ 545개 품목, 340억 달러, ∙ 25% 추가 관세 부과 2018.8 ∙ 279개 품목, 160억 달러, ∙ 25% 추가 관세 부과 ∙ 333개 품목, 160억 달러, ∙ 25% 추가 관세 부과 2018.9 ∙ 5,745개 품목, 2,000억 달러, ∙ 10% 추가 관세 부과 ∙ 5,140개 품목, 534억 달러, ∙ 5%, 10% 추가 관세 부과 2019.5 ∙ 5,745개 품목, ∙ 25%로 관세 인상 발표 - 2019.6 - ∙ 5,140개 품목, ∙ 5%, 10%, 20%, 25%로 관세 인상 발표 2019.9 ∙ 3,250개 품목, 1,120억 달러, ∙ 15% 추가 관세 부과 ∙ 542개 품목, 1,600억 달러, ∙ 15% 관세 부과 예고 ∙ 1,717개 품목, 255억 달러, ∙ 5%, 10% 차등관세 자료: 미국 무역대표부(USTR)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자료를 기초로 국회예산정책처에서 작성 2020년 1월 미국과 중국이 미・중 경제무역협정2)에 서명함으로써 악화일로로 치닫 던 미・중 무역분쟁은 소강 국면 2020년 1월 15일에 미국과 중국이 소위 1단계 무역협정이라 불리는 미・중 경제무역협정에 서명하 였고, 협정은 2020년 2월 14일부터 발효 1단계 무역 합의안의 핵심 의제는 농축산물 등 대미 수입 확대, 환율 조작 중단, 금융서비스 시장개 방, 지적재산권 보호 강화와 기술이전 강요 금지로 구성 미국이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고 중국의 불공정 무역관행을 바로잡고자 하는 것이 목적 양국은 2020년과 2021년 2년간 중국이 미국산 상품 및 서비스 수입을 2017년 수준 대비 약 2,000억 달러 확대하는 것에 합의 2017년 수입 규모를 기준으로 2020년에 767억 달러, 2021년에 1,233억 달러로 2021년 12월까지 2년간 2,000억 달러 규모의 상품 및 서비스를 미국으로부터 ‘추가’ 수입하기로 합의 미국은 약 1,600억 달러 규모의 대중국 수입품에 부과하기로 예정됐던 15%의 관세 부과 계획을 철회하고, 1,120억 달러 규모 수입품에 부과하던 관세를 15%에서 7.5%로 인하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39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그린워싱(Greenwashing) 사례 및 규제 강화 1도토리 오민아
339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팬데믹 이후 美의 기대 인플레이션 동향 및 연준의 인식 변화 1도토리 오민아
338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최근 인도네시아의 주요 광물 수출 중단조치의 배경 및 시사점 1도토리 오민아
338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中 탄소중립 정책 주요 내용과 전망 1도토리 오민아
338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성장하는 펫케어 산업 최신트렌드 및 韓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 7도토리 민준석
338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2년 세계경제 전망과 위험 요인 1도토리 민준석
»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미・중 무역분쟁의 현황 및 향후 영향 검토 1도토리 민준석
338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청정수소 생태계, 산업용 수소 및 산업 간 협력 모델 주목 1도토리 민준석
338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년 글로벌 지급결제 주요 트렌드 및 전망 1도토리 민준석
3382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50 탄소중립을 위한 자본시장의 변화와 발전 과제 1도토리 김민성
3381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COVID-19 이후의 미래_10대 경제 키워드(2022년) 3도토리 김민성
3380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위드 Covid-19 시대, 美 30대 유망 품목 및 서비스 7도토리 김민성
337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국내외 인플레이션 장기화 리스크 점검과 영향 3도토리 김민성
3378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2050 탄소중립 대응 위한 건설사 6대전략 1도토리 국준아
337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_건설업의 도전 및 과제 3도토리 국준아
337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인플레이션, 시장의 예측실패는 반복될까 1도토리 정한솔
337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수출 전망과 지역별 시장 여건(2022) 7도토리 국준아
337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中 경제의 위험 요인 및 영향 1도토리 국준아
3373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생활공간 전자파 인체안전 인증 도입 방안 연구 7도토리 국준아
337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농촌 지역 장기요양서비스 실태와 정책과제 : 경제적 유인 방안을 중심으로 7도토리 한상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