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분석] 미・중 무역분쟁의 현황 및 향후 영향 검토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민준석 조회수 119
용량 811.78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분석] 미・중 무역분쟁의 현황 및 향후 영향 검토.pdf 811.78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27 
출처 : 국회예산정책처 
페이지 수 :

1. 미・중 무역분쟁 전개과정 및 현황 미국과 중국은 세계 교역 시장에서 가장 큰 두 교역국으로 이 두 국가의 교역 정책은 세계 교역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함 2020년 미국과 중국의 세계 교역 시장에서의 교역 비중은 각각 8.13% 와 14.7%로 두 국가의 교역량이 전 세계 교역량의 23%를 차지함 [그림 1] 주요 국가별 세계 수출시장 비중 [그림 2] 주요 국가별 세계 수입시장 비중 출처: UNCTAD 자료를 기초로 국회예산정책처에서 작성 2018년 7월 미국이 대중국 수입품목에 대하여 추가 관세를 부과함으로써 미국과 중국 간 무역분쟁이 본격적으로 촉발됨 2017년 8월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무역법 301조에 의거하여 중국의 기술이전 및 지적재산권 관련법, 제도, 관행으로 인한 미국의 피해 여부 조사를 시작 2018년 3월 발표된 301조 조사 결과1)를 바탕으로 2018년 7월 중국산 818개 수입품목에 대하여 340억 달러의 추가 관세를 부과 ※ 본 보고서는 USTR, UNDP,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PIIE), 한국은행, 산업은행,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산업연구원, 무역협회의 자료를 참조 하여 작성함 1) Findings of the Investigation into China's Acts, Policies, and Practices Related to Technology Transfer, Intellectual Property, and Innovation Under Section 301 of the Trade Act of 1974, 2018년 3월 22일 2022년 1월호 114 ❘ 중국이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에 대응하여 마찬가지로 미국산 545개 수입품목에 대하여 340억 달러의 추가 관세를 보복적으로 부과함으로 본격적으로 미・중 무역분쟁이 시작됨 [표 1] 미・중 무역분쟁 전개 과정 발효 시점 미국의 대중 관세 부과 중국의 대미 과세 부과 2018.7 ∙ 818개 품목, 340억 달러, ∙ 25% 추가 관세 부과 ∙ 545개 품목, 340억 달러, ∙ 25% 추가 관세 부과 2018.8 ∙ 279개 품목, 160억 달러, ∙ 25% 추가 관세 부과 ∙ 333개 품목, 160억 달러, ∙ 25% 추가 관세 부과 2018.9 ∙ 5,745개 품목, 2,000억 달러, ∙ 10% 추가 관세 부과 ∙ 5,140개 품목, 534억 달러, ∙ 5%, 10% 추가 관세 부과 2019.5 ∙ 5,745개 품목, ∙ 25%로 관세 인상 발표 - 2019.6 - ∙ 5,140개 품목, ∙ 5%, 10%, 20%, 25%로 관세 인상 발표 2019.9 ∙ 3,250개 품목, 1,120억 달러, ∙ 15% 추가 관세 부과 ∙ 542개 품목, 1,600억 달러, ∙ 15% 관세 부과 예고 ∙ 1,717개 품목, 255억 달러, ∙ 5%, 10% 차등관세 자료: 미국 무역대표부(USTR)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자료를 기초로 국회예산정책처에서 작성 2020년 1월 미국과 중국이 미・중 경제무역협정2)에 서명함으로써 악화일로로 치닫 던 미・중 무역분쟁은 소강 국면 2020년 1월 15일에 미국과 중국이 소위 1단계 무역협정이라 불리는 미・중 경제무역협정에 서명하 였고, 협정은 2020년 2월 14일부터 발효 1단계 무역 합의안의 핵심 의제는 농축산물 등 대미 수입 확대, 환율 조작 중단, 금융서비스 시장개 방, 지적재산권 보호 강화와 기술이전 강요 금지로 구성 미국이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고 중국의 불공정 무역관행을 바로잡고자 하는 것이 목적 양국은 2020년과 2021년 2년간 중국이 미국산 상품 및 서비스 수입을 2017년 수준 대비 약 2,000억 달러 확대하는 것에 합의 2017년 수입 규모를 기준으로 2020년에 767억 달러, 2021년에 1,233억 달러로 2021년 12월까지 2년간 2,000억 달러 규모의 상품 및 서비스를 미국으로부터 ‘추가’ 수입하기로 합의 미국은 약 1,600억 달러 규모의 대중국 수입품에 부과하기로 예정됐던 15%의 관세 부과 계획을 철회하고, 1,120억 달러 규모 수입품에 부과하던 관세를 15%에서 7.5%로 인하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368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손 기반 상호작용에 대한 기술 동향 1도토리 류지원
336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ICT 융합과 미래를 여는 커넥티드 스마트 승강기 동향 1도토리 류지원
336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외 디지털전환 진단 지표 비교 분석 1도토리 강정훈
336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빅데이터로 본 정보보호·디지털 이슈 분석 3도토리 강정훈
336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프로파일링, 추천서비스와 개인정보보호 정책 동향 분석 1도토리 강정훈
3363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전기차 고출력 파워모듈용 세라믹 방열소재 기술 3도토리 강정훈
336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고성능 리튬이차전지의 실리콘계 음극소재 기술 1도토리 강정훈
3361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첨단 패키징 기술 동향 1도토리 박민혁
3360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교통 흐름 분석 기술 1도토리 박민혁
335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 및 플랫폼 패러다임과 美·中 기술 패권 3도토리 박민혁
335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금융회사의 순환경제 전환대응사례와 시사점 1도토리 박민혁
33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 테크 기업의 M&A 증가 및 규제 1도토리 박민혁
335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혁신의 딜레마_금융 vs. 비금융 1도토리 박민혁
335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글로벌 인플레이션 요인이 국내 제조업 생산자물가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1도토리 박민혁
335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미 기준금리 인상 및 유가 상승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박민혁
335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글로벌 공급망의 뉴노멀과 우리의 대응 3도토리 노민우
335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주요 원자재 공급 구조 분석과 가격 상승의 영향 3도토리 민준석
335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금융산업 중장기 발전 전략 1도토리 민준석
335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미국 금리인상과 국내경제 동향 1도토리 민준석
334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美 사모펀드 시장 감독강화 움직임 1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