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동향] COVID-19 이후의 미래_10대 경제 키워드(2022년)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김민성 조회수 126
용량 954.77K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동향] COVID-19 이후의 미래_10대 경제 키워드(2022년).pdf 954.77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03 
출처 : 현대경제연구원 
페이지 수 : 31 

■ 개 요 현대경제연구원은 2022년 10대 경제 키워드로 『AFTER TIMES(코로나 이후의 미래)』를 제시한다. 이는 2021년 경제 트렌드의 키워드인 『WITH CORONA(코 로나와 함께)』에서 멀어지는 보다 진전된 세상을 기대한다는 의미를 가지며, 마이 클 셔머(2021)에서 언급된 “코로나 이전 시대(Before Time)와 코로나 이후 시대(After Time)”에서 모티브가 되었다. ■ 2022년 10대 경제 키워드 ① Asymmetric recovery(비대칭 회복) - 글로벌 경제의 완만한 개선 (의미) 2022년에도 세계 경제 회복 기조는 지속될 것으로 보이나, 여전히 팬데믹 국면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코로나 위기 이전의 정상 성장 추세로의 안착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선진국 경제 상황이 신흥·개도국보다 안정적일 것으로 보인다. (주요 내용) 2022년 세계 경제는 스우시 형 경기 회복(swoosh recovery)의 모습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 세계 실질 GDP 규모로 보면 위기 이전의 정상 성 장 추세 선상을 기준으로 약 1.2%가 미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GDP 갭률 -1.2%). 또한 선진국(AE, Advanced Economies)보다 신흥·개도국(EMDE, Emerging Market EXECUTIVE SUMMARY ii and Developing Economies)의 경기 회복이 상대적으로 더 느릴 것으로 예상되는 데, 2022년 선진국의 GDP 갭률은 -1.1%인 반면, 신흥·개도국은 -1.5%로 선진국보 다 신흥·개도국의 회복세가 더딜 것으로 보인다. (시사점) 현재 중요한 성장 동력이면서 경제 안전판 역할을 하고 있는 수출 경기 의 회복세를 유지하기 위해, 수출 시장의 외연 확대와 더불어 시장별 차별적인 접 근 전략이 필요하다. ② Forward guidance(사전적 정책방향) - 미 연준의 제로금리 탈출 (의미) 2022년 2분기 무렵부터는 미 연준(FED)의 포워드가이던스(forward guidance, 사전적 정책방향)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고용시장이 개선되면서 금리인 상이 시작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주요 내용) 미 연준이 지난 2020년 9월 FOMC에서 명확하게 제시했던 포워드가 이던스 중, 현재 물가상승률이 2% 이상의 수준을 유지한다는 인플레이션 조건은 충족되었다. 한편, 고용상황이 완전고용(현대경제연구원 추정 미국의 자연실업률 3.5%)을 달성한다는 조건은 2022년 상반기 중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미 연준은 2022년 2분기 또는 3분기 중 정책금리인 연방기금금리 인상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리인상은 최소 두 번에서 최대 세 번 정도로 보이며, 이에 따 라 정책금리인 연방기금금리는 현 제로금리(하한 0%)에서 2022년말 1.0% 내외까 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양적완화(QE, Quantitative Easing)가 완전히 종료되고 빠른 양적긴축(QT, Quantitative Tightening)을 동시에 추진할 가능성도 있다. (시사점) 미 연준의 금리인상이 가져올 수 있는 금융시장 불안정성에 대응하여, 투기자본의 유출입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외환시장의 변동성을 일정 수준에서 유지 할 수 있는 적극적인 시장 안정화 노력이 필요하다. ③ Twin deficit(쌍둥이 적자) - 신흥시장의 불안정성 확대 (의미) 2022년 상당수 신흥·개도국은 제한적 경기 회복으로 인한 펀더멘틀 취약성 으로, 경상수지와 재정수지가 동시에 적자가 되는 쌍둥이 적자 문제에 직면하면서 신용 경색에 따른 채무 불이행의 우려가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내용) 2022년 세계 경제가 선진국 중심의 성장 국면을 보이는 가운데, 선진 국들의 통화정책 추세가 지속되면 신흥·개도국으로부터의 자본 이탈 가능성이 높 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2022년 주요 신흥국들이 대부분 쌍둥이 적자(경상적 자+재정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보여, 국제금융시장의 자본이동 방향성이 전환될 경우 신용경색이나 디폴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판단된다. (시사점) 대내외 건전성이 취약한 신흥·개도국에 대해서는 교역(수출, 공급망) 및 투자 연관성, 금융시장 노출도 등을 고려하여, 시장 의존도가 높은 기업과 금융기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368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손 기반 상호작용에 대한 기술 동향 1도토리 류지원
336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ICT 융합과 미래를 여는 커넥티드 스마트 승강기 동향 1도토리 류지원
336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외 디지털전환 진단 지표 비교 분석 1도토리 강정훈
336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빅데이터로 본 정보보호·디지털 이슈 분석 3도토리 강정훈
336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프로파일링, 추천서비스와 개인정보보호 정책 동향 분석 1도토리 강정훈
3363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전기차 고출력 파워모듈용 세라믹 방열소재 기술 3도토리 강정훈
336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고성능 리튬이차전지의 실리콘계 음극소재 기술 1도토리 강정훈
3361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첨단 패키징 기술 동향 1도토리 박민혁
3360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교통 흐름 분석 기술 1도토리 박민혁
335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 및 플랫폼 패러다임과 美·中 기술 패권 3도토리 박민혁
335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금융회사의 순환경제 전환대응사례와 시사점 1도토리 박민혁
33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 테크 기업의 M&A 증가 및 규제 1도토리 박민혁
335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혁신의 딜레마_금융 vs. 비금융 1도토리 박민혁
335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글로벌 인플레이션 요인이 국내 제조업 생산자물가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1도토리 박민혁
335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미 기준금리 인상 및 유가 상승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박민혁
335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글로벌 공급망의 뉴노멀과 우리의 대응 3도토리 노민우
335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주요 원자재 공급 구조 분석과 가격 상승의 영향 3도토리 민준석
335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금융산업 중장기 발전 전략 1도토리 민준석
335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미국 금리인상과 국내경제 동향 1도토리 민준석
334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美 사모펀드 시장 감독강화 움직임 1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