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동향] 2050 탄소중립 대응 위한 건설사 6대전략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128
용량 724.06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동향] 2050 탄소중립 대응 위한 건설사 6대전략.pdf 724.06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0 
출처 : 한국건설산업연구원 
페이지 수 : 14 

2050 탄소중립과 건설기업 6대 전략 2021년 10월 발표된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이행에 따른 국내 건설기업의 대응전략은개별 건설기업 단위의 탄소배출 감축, 건설상품 총생애주기 단위의 탄소배출 감축, 탄소중립에 따른 건설시장 변화 대응의 3가지 분야에 총 6대 전략으로 구분할 수 있음. 탄소중립 시나리오에 따른 국내 건설기업의 대응전략 개요 개별 건설기업 단위 탄소배출 감축을 위한 전략 및 과제 건설상품은 Value Chain상 건설자재 제조단계에서 탄소배출 비중이 90%1) 이상으로 가장높고, 국내 종합건설기업의 업역인 시공단계에서는 탄소배출이 낮아 개별 건설기업 단위의탄소감축은 건설자재 제조기업에 비해 용이한 편으로 판단됨. 1) 기획/설계부터 준공까지 ValueChain상의 비중이며, 준공 이후 운영, 철거단계까지 포함한 건설상품 총생애주기상에서는 운영단계의 탄소배출이 약 70%수준으로 가장 높음. 정책동향3 건설동향브리핑 - 개별 건설기업 단위의 규제(목표관리제 등) 적용 범위인 Scope 1, 22)의 탄소감축 혹은 탄소중립은 예외적 경우(호텔, 리조트 등 에너지 비효율 건물 다수 보유 기업 등)를 제외하고는 건설자재제조기업 등 타 산업에 속한 기업에 비해 비교적 용이할 전망임. 다만, 건설자재 제조기업의 탄소배출 감축을 위한 기술개발 및 시설투자 증가 영향으로건설원가 상승이 예상되고,건설기업의 수익성도 일부 악화될 가능성이 있어 우려됨. - 철강재, 시멘트, 석유화학제품 등 건설자재 제조기업의 연료 혹은 원료 전환 위한 기술개발 및시설투자, 탄소배출권 확보 등에 따른 원가상승 영향으로 중장기적 건설원가 상승이 예상되고, 원가상승분의 최종가격 반영 미흡 시 건설기업의 영업이익률 하락도 가능함. 개별 건설기업 단위의 탄소배출 감축을 위한 전략 및 과제 후보(안)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 개별 건설기업 단위의 탄소배출 감축을 위한 전략 및 과제 후보(안) 전 략 과제 후보(안) 건물 및 수송수단의 에너지 절감 및 재생 에너지 비중 확대 건물 에너지 효율화 냉난방설비 에너지효율 개선, LED조명 설치, 단열재 보수, 에너지이용 최적제어 통합관리시스템(BEMS) 활용, 건물 전체 그린리모델링, 제로에너지 사옥 건축/이전 건물 에너지 절약 실내 조명 및 외부 조명(간판 등) 운영시간 단축, 냉난방 온도준수 및 운영시간 단축, 전 직원 에너지 절약 캠페인 전개 건물의 재생에너지 사용 비중 확대 사옥 등 보유 건물에 태양광 발전설비 구축 및 에너지저장장치(ESS) 설치, 재생에너지 전력구매계약(PPA) 체결,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참여(지분 및 시공 참여) 후 전력구매계약 체결 수송수단 에너지 효율 개선 전기차/하이브리드카 비중 및 이용 확대 수송 에너지 절감 공유차 및 카풀제도 운영, 대중교통 이용 캠페인, 수송수단 활용 쿠폰제 등 에너지 절감운동 전개 건설현장의 에너지 절감 및 폐기물 감축 현장시설 에너지 효율화/절약 냉난방설비 에너지 효율 개선 및 절약(온도준수 등), 태양광판넬 설치, 저에너지 현장사무소 사전 제작 및 재사용(태양광판넬, 단열재 보강 등이 된 이동식 사무실 제작 및 다수 현장 재사용) 공사용 에너지 효율화/절약 PC공법, 모듈러 등 OSC공법 적용, 기타 저에너지 시공법 개발/적용 건설폐기물 감축 건설폐기물 분리 배출(재활용품, 생활쓰레기 분리), 건설폐기물 재활용 시도 건설상품 총생애주기 단위 탄소배출 감축을 위한 전략 및 과제 한편, 개별 건설기업 단위를 넘어선 전체 ValueChain, 건설상품 총생애주기 관점에서 탈탄소화는 탄소중립 시대의 건설기업에게 상당히 도전적인 과제가 될 전망임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368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손 기반 상호작용에 대한 기술 동향 1도토리 류지원
336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ICT 융합과 미래를 여는 커넥티드 스마트 승강기 동향 1도토리 류지원
336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외 디지털전환 진단 지표 비교 분석 1도토리 강정훈
336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빅데이터로 본 정보보호·디지털 이슈 분석 3도토리 강정훈
336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프로파일링, 추천서비스와 개인정보보호 정책 동향 분석 1도토리 강정훈
3363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전기차 고출력 파워모듈용 세라믹 방열소재 기술 3도토리 강정훈
336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고성능 리튬이차전지의 실리콘계 음극소재 기술 1도토리 강정훈
3361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첨단 패키징 기술 동향 1도토리 박민혁
3360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교통 흐름 분석 기술 1도토리 박민혁
335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 및 플랫폼 패러다임과 美·中 기술 패권 3도토리 박민혁
335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금융회사의 순환경제 전환대응사례와 시사점 1도토리 박민혁
33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 테크 기업의 M&A 증가 및 규제 1도토리 박민혁
335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혁신의 딜레마_금융 vs. 비금융 1도토리 박민혁
335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글로벌 인플레이션 요인이 국내 제조업 생산자물가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1도토리 박민혁
335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미 기준금리 인상 및 유가 상승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박민혁
335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글로벌 공급망의 뉴노멀과 우리의 대응 3도토리 노민우
335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주요 원자재 공급 구조 분석과 가격 상승의 영향 3도토리 민준석
335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금융산업 중장기 발전 전략 1도토리 민준석
335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미국 금리인상과 국내경제 동향 1도토리 민준석
334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美 사모펀드 시장 감독강화 움직임 1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