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_건설업의 도전 및 과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129
용량 2.24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_건설업의 도전 및 과제.pdf 2.2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0 
출처 : 한국건설산업연구원 
페이지 수 : 34 

[ 목 차 ]

 

■ 문제의 제기

■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의 주요 내용

■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의 건설산업 파급효과

■ 건설기업의 대응 전략 및 과제

 


 

2020년 10월 정부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국가 목표로 천명했으며, 그 이후 후속 작업으로 구체적인 시나리오 수립을 추진해 2021년 10월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발표했음.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의 주요 부문별 내용을 살펴보면, 에너지 전환, 산업, 건물, 폐기물 부문의 시나리오 내용이 건설산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됨. 건설 Value Chain상 건설자재 제조단계에서 탄소배출 비중이 90% 이상으로 가장 높고, 시공단계에서는 탄소배출이 낮아 개별 건설기업 단위의 탄소 감축은 건설자재 제조기업에 비해서는 용이한 편으로 판단됨. 다만, 개별 건설기업 단위를 넘어선 전체 Value Chain, 건설상품 총생애주기 관점에서 탈탄소화가 탄소중립 시대의 건설기업에게 상당히 중요하고 도전적인 과제가 될 전망임. - 건설산업은 건설자재 생산 과정까지 포함한 전체 Value Chain과 건물 운영 부문에서 전 세계 온실가 스의 25%, 이산화탄소의 47%를 배출해 탄소중립은 건설산업에 상당한 도전이 될 전망임. 중장기적으로 전체 Value Chain과 건설상품 총생애주기 관점에서 탈탄소화 전략 수립/ 이행에 성공한 기업이 탄소중립 시대에 핵심 경쟁우위를 확보할 전망임. - 건설자재 및 공법별 탄소배출 구조와 핵심관리 요소에 대한 이해와 협력 네트워크 구축, 탄소저감 건설상 품의 최적 솔루션 제공을 위한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엔지니어링 역량 확보 등이 핵심 경쟁우위 요소임. - 이상의 핵심 경쟁우위 요소들은 단기간 내 확보가 쉽지 않다는 점에서 탄소중립 환경에서 타사 대비 경쟁우위를 확보하게 하는 중요한 수단임. Scope 3까지 포함해 탄소중립을 추구하는 해외 선진 건설기업의 사례에서처럼 탈탄소 선진기업이 되기 위한 중장기 탈탄소 전략(탈탄소 건축자재‧소재 사용, 저에너지 시공, 탄소저감 상품 매출 비중 확대 등) 추진이 필요함. 탄소중립 시나리오 이행에 따른 국내 건설기업의 대응 전략은 개별 건설기업 단위의 탄소배출 감축, 건설상품 총생애주기 단위의 탄소배출 감축, 탄소중립에 따른 건설시장 변화 대응의 3가지 분야에 총 6대 전략으로 구분할 수 있음. - 개별 건설기업 단위의 탄소배출 감축을 위한 전략은 건물/수송 수단의 에너지 절감 및 재생에너지 비 중 확대, 건설현장의 에너지 절감 및 폐기물 감축임. - 건설상품 총생애주기 단위의 탄소배출 감축을 위한 전략은 탄소감축 자재구매 비중 확대, 탄소배출 저 감 건설상품의 솔루션 제공 역량 강화임. - 탄소중립에 따른 건설시장 변화 대응을 위한 전략은 탄소중립 환경하의 신성장 시장 진출, 탄소중립 환경하의 감소 시장에 대한 전략적 대응임. 향후 탄소중립 달성 목표 시기가 다소 연기될지라도 탄소중립으로의 건설환경 패러다임 변화는 불가피하며, 국내 건설기업은 적절한 대응전략 및 과제를 도출해 추진해야 할 것임. 건설이슈포커스 2022-01 Construction &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4 한국건설산업연구원 Ⅰ 문제의 제기 2020년 10월 정부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을 국가 목표로 천명했고, 그 이후 후속 작업으로 구체적 시나리오 수립을 추진해 2021년 10월 최종안을 발표함. 탄소중립 시나리오는 2050년 국내 탄소 순배출량을 0으로 하는 2개 시나리오로 구성되어 있는데, 2050년 석탄발전을 전면 중단하는 등 상당히 도전적인 시나리오임. 또한, 정부는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2018년 온실가스 총배출량 대비 40%로, 기존 26.3%에서 대폭 상향하는 방향으로 설정함. 건설산업은 건설자재 생산 과정까지 포함한 전체 Value Chain과 건물 운영 부문에서 전 세계 온실가스의 25%, 이산화탄소의 47%를 배출함.1) 특히, 건설산업은 탄소중립의 주요 대상인 에너지 생산 관련 이산화탄소의 47%를 배출하고 있어 탄소중립은 건설산업에 상당한 도전이 될 전망임. – 세부적으로 건설산업은 건설자재 생산 과정까지 포함한 전체 Value Chain에서 전 세계 탄소배출량 의 20%를 배출하고, 준공 이후 건물의 운영단계에서 27%의 탄소를 배출함. 결국 정부의 탄소중립 추진은 건설 Value Chain상 탄소배출 감소와 더불어 건설 생산품인 건물, 인프라 등의 에너지 사용 저감, 즉 탈탄소화를 촉진시킬 수밖에 없을 것임. 비록 향후 탄소중립 달성 목표 시기가 다소 연기될지라도 탄소중립으로의 건설 환경 패러다임 변화는 불가피함. 따라서 국내 건설기업은 탄소중립이 미칠 파급효과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적절한 대응 전략 및 과제를 도출해 추진해야 할 것임. – 현재 산업계에서는 탄소중립 시나리오의 탄소배출량 감축 속도가 너무 빨라 현실적으로 달성이 쉽지 않다는 의견이 많은 편이며, 차기 정부에서 탄소중립 시나리오가 일부 변경될 가능성도 제기됨. – 그러나, 탄소배출량 감축 속도가 조정될지라도 장기적 탄소중립 목표 자체는 변경이 어렵다는 점에서 탄소중립 추진에 따른 건설산업의 파급효과를 파악하고, 국내 건설기업이 적절한 대응 전략과 과제를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368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손 기반 상호작용에 대한 기술 동향 1도토리 류지원
336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ICT 융합과 미래를 여는 커넥티드 스마트 승강기 동향 1도토리 류지원
336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외 디지털전환 진단 지표 비교 분석 1도토리 강정훈
336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빅데이터로 본 정보보호·디지털 이슈 분석 3도토리 강정훈
336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프로파일링, 추천서비스와 개인정보보호 정책 동향 분석 1도토리 강정훈
3363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전기차 고출력 파워모듈용 세라믹 방열소재 기술 3도토리 강정훈
336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고성능 리튬이차전지의 실리콘계 음극소재 기술 1도토리 강정훈
3361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첨단 패키징 기술 동향 1도토리 박민혁
3360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교통 흐름 분석 기술 1도토리 박민혁
335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 및 플랫폼 패러다임과 美·中 기술 패권 3도토리 박민혁
335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금융회사의 순환경제 전환대응사례와 시사점 1도토리 박민혁
33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 테크 기업의 M&A 증가 및 규제 1도토리 박민혁
335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혁신의 딜레마_금융 vs. 비금융 1도토리 박민혁
335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글로벌 인플레이션 요인이 국내 제조업 생산자물가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1도토리 박민혁
335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미 기준금리 인상 및 유가 상승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박민혁
335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글로벌 공급망의 뉴노멀과 우리의 대응 3도토리 노민우
335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주요 원자재 공급 구조 분석과 가격 상승의 영향 3도토리 민준석
335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금융산업 중장기 발전 전략 1도토리 민준석
335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미국 금리인상과 국내경제 동향 1도토리 민준석
334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美 사모펀드 시장 감독강화 움직임 1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