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中 경제의 위험 요인 및 영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90
용량 505.31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中 경제의 위험 요인 및 영향.pdf 505.31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2-01 
출처 : 자본시장연구원 
페이지 수 :

□ 중국 경제는 팬데믹 여파에서 벗어나 빠르게 회복했지만 2021년 하반기부터 팬데믹 재확 산, 홍수피해, 전력난, 부동산 규제 등으로 소비ㆍ생산ㆍ투자가 모두 위축되어 성장세가 둔화 ─ 2020년 하반기 이후 빅테크기업 규제부터 시작하여 부동산 기업 디폴트 가능성, 전 력난, 미중 갈등 장기화 등 각종 위험요인이 부각 ─ 따라서 위험 요인 및 그 영향을 점검할 필요 (기업규제 강화) □ 2020년 11월 앤트그룹 상장 무기한 연기로부터 시작하여 빅테크기업, 사교육ㆍ게임ㆍ엔터 테인먼트, 부동산 업종에 대한 중국당국의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관련 기업들의 규제 리 스크 부각 중국기업 규제 내용 주요 내용 빅테크기업 · 2020.11 알리바바 자회사 앤트그룹 상장을 무기한 연기 · 2021.4~10 알리바바, 텐센트, 메이투안에 과징금 부과 · 2021.5 메이투안에 대한 반독점 조사 착수 · 2021.7 디디추싱에 대한 인터넷 안보심사 및 고강도 조사 진행 · 2021.7 바이트댄스, 핀둬둬 면담 사교육ㆍ게임ㆍ 엔터테인먼트 · 2021.7 교육관련 기업을 비영리 기업으로 전환 · 2021.9 청소년들의 게임 시간을 제한하고 게임 판호 발급을 중단 · 2021.9 과도한 오락화를 배격 부동산 · 2020.8 ‘3대 레드라인’ 발표 · 2021.10 일부 지역 부동산세 시범 도입 결정 □ 빈부격차 심화로 인한 사회불안 확대로 시진핑 국가주석은 공동부유론19)을 주장하며 관 련 기업들의 규제를 강화한 것으로 풀이 * 거시금융실 선임연구원 김은화(ehkim@kcmi.re.kr) 19)  2021년 8월 18일 제10차 중앙재경회의에서 시진핑 주석은 ‘공동부유는 사회주의 본질적 요구’임을 강조 [ BOX 3 ]    37 KCMI ECONOMIC OUTLOOK Ⅰ. 경제 및 통화정책 전망 ─ 중국은 G2로 급성장하는 과정에서 빈부격차 확대, 부동산 가격 급등, 인구구조의 변화 등에서 구조적 문제에 직면 • 지역 및 계층 간 불균형이 심화되는 가운데 빈부격차와 계층 간 소득 불균형을 나타내는 지니계수는 2019년 기준 0.465로 주요국 대비 높은 수준 • 높은 사교육비와 부동산 문제는 출산율 저하와 내수 부진을 초래 ─ 따라서 공동부유론은 소득 재분배를 통해 중산층을 확대하고 소비를 진작시키려는 것이 핵심 목표 ─ 또한 빅테크기업에 대한 규제 강화는 금융시스템 안정 및 공산당 집권체제 안정을 위한 조치 • 플랫폼 보유 데이터 확보를 위한 3대 플랫폼 법안20)을 통해 데이터센터의 국유화 완료21) 주요국 지니계수 주요 지역 1인당 GDP 자료: 국가통계국, OECD 자료: 각 지역 통계국 □ 내수 확대 및 집권체제 안정을 위한 기업규제 불확실성은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판단 ─ 2022년 공산당 창당 100주년 및 시진핑 주석의 3연임을 앞두고 있어 집권체제 안 정 강화 필요성 증대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34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테마형 ETF의 성장 및 위험요인 1도토리 민준석
334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배경 및 전망 1도토리 이지훈
334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EU 제재의 제약요인과 영향 1도토리 이지훈
334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글로벌 경제를 위협하는 리스크: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통화 긴축, 중국경제 둔화 3도토리 이지훈
334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지방투자 활성화를 위한 산업인력정책 과제 1도토리 이지훈
334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러시아 은행산업 현황과 전망 1도토리 이지훈
334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국내 정책펀드 동향과 제도 개선 3도토리 이지훈
334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팬데믹 이후 주요국 경제 회복의 특징 비교 1도토리 류지원
334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인구구조 변화 및 선진국 정책금융기관의 대응 동향 1도토리 류지원
333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택 임대차 계약 후 필수 코스, 전월세신고제 1도토리 나혜선
333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우크라이나 사태의 전망 및 韓 경제에 대한 영향과 대응방안 1도토리 류지원
333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中 디지털 경제발전 제14차 5개년 계획과 시사점 1도토리 류지원
333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 및 경제 상황 1도토리 류지원
333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COVID-19 위기 이후 외환자금 유출입 변화와 외환시장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33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시장 반응과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33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물가상승압력 확산 동향 평가 1도토리 나혜선
333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국제유가 동향과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33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해외의 탄소세 운용 동향 및 탄소가격에서의 시사점 1도토리 정한솔
333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2년 개선된 세법 주요 내용 및 향후 과제 1도토리 정한솔
3329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최근 원화 약세 원인 분석 1도토리 박민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