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도농 상생을 위한 스마트워크 복합공간 조성 방안 연구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한상윤 조회수 82
용량 23.78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도농 상생을 위한 스마트워크 복합공간 조성 방안 연구.pdf 23.7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9 
출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페이지 수 : 148 

< 목 차 >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및 내용

3. 연구 방법

 

제2장 도농 상생을 위한 농촌 스마트워크의 의의

1. 스마트워크의 의의

2. 농촌에서의 행복 추구와 스마트워크를 통한 도농 상생

3. 시사점

 

제3장 농촌 스마트워크 복합공간 관련 국내외 정책과 사례

1. 국외 사례

2. 국내 사례

3. 시사점

 

제4장 농촌 스마트워크 복합공간 수요

1. 농촌 스마트워크 복합공간에 대한 수요

2. FGI를 통한 지자체 실무자 의견 수렴

3. 청년·창업가·예술가 등 잠재 수요자 의견 수렴

4. 시사점

 

제5장 농촌 스마트워크 복합공간 조성 방안

1. 농촌 스마트워크 복합공간의 기본 구상

2. 농촌 스마트워크 복합공간 조성 추진체계 및 사업화 구상

3. 농촌 스마트워크 복합공간 운영·활성화 방안

 


 

1. 연구 배경 □ 불균형적 인구 분포로 인한 국가의 지속가능성 위기 직면 ❍ 대도시 인구 집중은 다양한 도시문제와 삶의 질 저하, 국가적 지속가능성 위기를 초래 함. 동시에 농촌은 지속적인 인구 유출에 따른 마을 공동화, 고령화 및 인적 자원 부족으 로 활력 저하와 함께 장래 지속가능성이 우려되는 상황임. - 집값 급등, 혼잡비용 증가 등의 도시집중에 따른 문제, 청년 실업과 저출산문제, 세계 적으로 높은 자살률과 노인 빈곤 등으로 국민 삶의 질 수준은 경제적 성과에 못 미치 는 실정임. * 대도시 주택매매가격지수(’20년 기준 / ’03년=100): 서울시 147, 6대 광역시 1371) * 2020년 합계출산율 0.84명으로 OECD 국가 최저 수준(통계청 2021) * 청년(20~29세) 실업률(%): (’00년) 7.5→ (’10년) 7.7 → (’20년) 9.0(통계청 각 연도) * 우리나라의 분야별 삶의 질 지수(OECD Better Life Index): OECD 40개국 중 환경(40위), 공동체성(40위), 일과 삶의 균형(37위)2) * ’19년 기준, 한국 자살률 10만 명당 26.9명(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2019): 연령화표준자살률 1) 한국부동산원 R-ONE 부동산통계 정보(http://www.reb.or.kr/r-one, 검색일: 2021. 8. 10.) 2) OECD Better Life Index(https://www.oecdbetterlifeindex.org, 검색일: 2021. 5. 13.) 2 ❙ OECD 평균 11.5명의 2배 초과 - 농촌은 지속적인 인구 유출에 따른 마을 공동화, 고령화 및 인적 자원 부족으로 활력 저하와 함께 장래 지속가능성이 우려되는 상황임. * 읍·면지역 농가 경영주 중 청년 경영주: 1만 264명(전체 경영주의 1.2%)(송미령 외 2019) * 무출생 및 10인 이하 출생 읍·면 수(’15년): 706개(전체 읍·면 50%)(송미령 외 2019) □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한 비대면 업무 확산과 농촌에 관한 관심 증가 ❍ 코로나19로 인하여 재택근무, 온라인 회의 등 비대면 근무 형태의 확산·장기화 추세임. - 비대면 근무 형태가 미래 사회에 정착할 가능성이 크고, 이에 따라 지방 중소도시 혹 은 농촌지역에서 활동 및 정주 수요가 증가함. * 5인 이상 사업장의 인사담당자 4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 48.8%가 재택근무 실시 중3)(고 용노동부 2020) * 재택근무로 인한 업무 효율이 높다는 의견이 66.7%에 이르고 코로나19 종식 뒤에도 재택근무를 시행하겠다는 응답이 51.8%에 달함(고용노동부 2020). - 이러한 이유로 도심에 본사를 둔 대기업들은 직원 주거지와 가까운 곳으로 사무실을 분산시키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음. * SK텔레콤은 서울 전역과 인근 도시로 직원 일터를 분산시키는 ‘거점오피스’를 추진 중임.4) * 롯데쇼핑도 직원 거주지와 가까운 거점 사무실에서 일하는 스마트워크 시스템을 시작함.5) - 주거지 외에 외부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며 한적하고 쾌적한 사무공간에 대한 수요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34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테마형 ETF의 성장 및 위험요인 1도토리 민준석
334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배경 및 전망 1도토리 이지훈
334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EU 제재의 제약요인과 영향 1도토리 이지훈
334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글로벌 경제를 위협하는 리스크: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통화 긴축, 중국경제 둔화 3도토리 이지훈
334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지방투자 활성화를 위한 산업인력정책 과제 1도토리 이지훈
334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러시아 은행산업 현황과 전망 1도토리 이지훈
334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국내 정책펀드 동향과 제도 개선 3도토리 이지훈
334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팬데믹 이후 주요국 경제 회복의 특징 비교 1도토리 류지원
334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인구구조 변화 및 선진국 정책금융기관의 대응 동향 1도토리 류지원
333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택 임대차 계약 후 필수 코스, 전월세신고제 1도토리 나혜선
333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우크라이나 사태의 전망 및 韓 경제에 대한 영향과 대응방안 1도토리 류지원
333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中 디지털 경제발전 제14차 5개년 계획과 시사점 1도토리 류지원
333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 및 경제 상황 1도토리 류지원
333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COVID-19 위기 이후 외환자금 유출입 변화와 외환시장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33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시장 반응과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33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물가상승압력 확산 동향 평가 1도토리 나혜선
333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국제유가 동향과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33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해외의 탄소세 운용 동향 및 탄소가격에서의 시사점 1도토리 정한솔
333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2년 개선된 세법 주요 내용 및 향후 과제 1도토리 정한솔
3329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최근 원화 약세 원인 분석 1도토리 박민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