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지방자치단체 농촌여성 정책 추진 현황과 발전 방안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한상윤 조회수 80
용량 1.4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지방자치단체 농촌여성 정책 추진 현황과 발전 방안.pdf 1.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9 
출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페이지 수 : 169 

< 목 차 >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 내용 및 방법

3.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제2장 농업·농촌 발전과 성평등: 관점과 전략

1. 농업·농촌 개발에서의 성평등 접근

2. 여성 참가의 정치, 젠더 거버넌스

 

제3장 지자체 농촌여성 정책 추진 현황

1. 농촌여성 정책 추진 기반

2. 정책영역별 2021년 세부 추진과제

3. 민관협력체계

4. 소결: 정책 추진체계별 차별성

 

제4장 지자체 농촌여성 정책 추진체계 강화의 이슈와 쟁점

1. 전담조직을 둔 지자체 간의 정책 추진 차별성

2. 불완전한 전담체제

3. 정책 대상·범위 인식: 농촌여성 정책 vs 여성농업인 정책

4. 농정 분야 여성정책 인식: 중복지원·역차별 vs 성 불평등 개선

5. 민관협력 작동 방식의 차이

6. 소결: 정책 추진체계 유형별 특징

 

제5장 종합 및 결론

1. 요약

2. 정책제언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1. 연구 필요성 ❍ 여성농업인 문제는 ‘역할과 지위 불일치’로 대변되어 왔고, 이는 지난 40여 년간 여성농업인 연구와 정책의 핵심 테마였음. - 70년대까지 농촌여성에 관한 연구들은 여성을 독자적으로 다루기보다 가 족과 동일시하여 농촌가족의 구조 및 관계 변화를 중점적으로 다루었음(고 황경 외 1963; 최재석 1975). - 80년대 들어와서 농업노동력의 여성화 현상에 주목하여 농촌여성의 역할 과중 현실과 지위의 불일치를 실증하는 연구들이 본격화됨(김주숙 1982; 조형 1981; 권영자 1987; 김종숙·정명채 1992; 정기환 1997; 김영옥· 김이선 1999). - 「여성농어업인 육성법」이 제정된 2000년대 이후부터 최근까지의 연구동향 4 ❙ 도 전문경영인으로서의 여성농업인 ‘지위와 전문인력화’ 주제가 중심이며, 관련 정책의 필요성과 정책효과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룸(김문희·김대종 2020). ❍ 이에 따라 관련 제도와 정책에서 상당한 진전이 있었음. 「여성농어업인 육성 법」이 제정되었고, 정책은 ‘여성농업인 육성 기본계획’으로 체계화되었음. - ‘여성농업인 육성 기본계획’은 국가가 해결해야 할 여성농업인 ‘문제’를 ‘과중 노동 부담, 낮은 노동 보상, 농업인 지위와 공적 의사결정에서의 소 외, 낮은 삶의 질’로 공식화하였음. -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가족공동경영협약과 공동경영주 제도, 농정의 성 주류화 및 농촌 성평등 교육, 농정에서의 적극적 우대 조치, 농가도우미 제도, 소형 농기계·편이장비 보급, 농촌 보육 서비스 등의 주요 정책 수단 들이 개발·시행되었음. ❍ 2016년 제4차 기본계획에서부터는 ‘여성농업인 인력 육성’ 중심의 정책 목 표를 농촌 성평등으로 확장하고 정책 대상도 농촌여성으로 확대해 왔음. - 2021년 11월 30일, 농촌 성평등 실현을 법 제정 목적과 국가 및 지자체의 책무로 규정한 「여성농업인 육성법」 개정안이 공포되었음.1) ❍ 이런 노력에 힘입어 여성농업인의 지위도 상당한 수준에서 향상되었음. 그러 나 지난 40년 이상 핵심 테마로 다뤄져 왔고, 20년간 정책이 추진된 것에 비 하면 그리 긍정적으로만 평가하기 어려움.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34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테마형 ETF의 성장 및 위험요인 1도토리 민준석
334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배경 및 전망 1도토리 이지훈
334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EU 제재의 제약요인과 영향 1도토리 이지훈
334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글로벌 경제를 위협하는 리스크: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통화 긴축, 중국경제 둔화 3도토리 이지훈
334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지방투자 활성화를 위한 산업인력정책 과제 1도토리 이지훈
334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러시아 은행산업 현황과 전망 1도토리 이지훈
334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국내 정책펀드 동향과 제도 개선 3도토리 이지훈
334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팬데믹 이후 주요국 경제 회복의 특징 비교 1도토리 류지원
334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인구구조 변화 및 선진국 정책금융기관의 대응 동향 1도토리 류지원
333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택 임대차 계약 후 필수 코스, 전월세신고제 1도토리 나혜선
333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우크라이나 사태의 전망 및 韓 경제에 대한 영향과 대응방안 1도토리 류지원
333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中 디지털 경제발전 제14차 5개년 계획과 시사점 1도토리 류지원
333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 및 경제 상황 1도토리 류지원
333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COVID-19 위기 이후 외환자금 유출입 변화와 외환시장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33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시장 반응과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33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물가상승압력 확산 동향 평가 1도토리 나혜선
333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국제유가 동향과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33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해외의 탄소세 운용 동향 및 탄소가격에서의 시사점 1도토리 정한솔
333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2년 개선된 세법 주요 내용 및 향후 과제 1도토리 정한솔
3329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최근 원화 약세 원인 분석 1도토리 박민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