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과 제도화 방안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한상윤 조회수 101
용량 1.8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과 제도화 방안.pdf 1.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7 
출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페이지 수 : 167 

< 목 차 >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 내용 및 방법

 

제2장 농지관리 거버넌스에 대한 이론적 토대

1. 거버넌스의 개념과 유형

2. 거버넌스 이론

 

제3장 농지관리 거버넌스의 설립 및 추진 경과

1. (구) 농지관리위원회 운영 경과 및 평가

2. 농지관리 거버넌스 설치 근거 법률 내용

 

제4장 외국의 농지관리제도

1. 일본

2. 독일

3. 프랑스

4. 외국 제도로부터 시사점

 

제5장 농지관리 거버넌스 제도화 방안

1. 농지관리 거버넌스 구성 및 운영 방향

2. 농지위원회 제도화 방안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1. 연구 배경과 필요성 ❍ 국내 농지제도는 경자유전 원칙의 기본 이념을 따르고, 이를 구현하는 제도 장치는 사전적 관리인 농지취득자격증명과 사후적 관리인 농지처분명령으로 이루어져 있음. ❍ 농지취득자격증명은 농지 소유를 사전에 관리하는 규제의 일환으로 제도화되 었지만, 최근에는 사전 규제 효과를 갖추지 못하고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음. - 이는 과거보다 농지취득자격증명제도 규제가 크게 완화되었기 때문임. 예 컨대 1994년 이전에는 자격 증명을 받으려면 농지 취득자의 가족 구성원 모두가 농지 소재지에서 6개월 이상 살아야 했으나, 해당 규정은 이후 삭제 되었음. 4 ❙ - 다른 예로 2002년부터는 신청자 대신 농지취득자격증명 발급 기관이 농지 관리위원으로부터 신청서 기재 내용을 확인받도록 절차가 바뀌었음. 이후 농지관리위원의 확인 절차가 폐지되었고, 2009년에는 농지관리위원회 자 체가 폐지되었음. ❍ 현재 농지취득자격증명 제도의 실질적 효과는 1) 농지취득자격증명의 발급 현황을 토대로 연도별 농지 거래 규모를 추정할 수 있고, 2) 농지처분명령 실 시에 필요한 농지이용실태조사를 시행할 때 농지취득자격증명을 신청하면서 제출한 농업경영계획서 내용을 토대로 처분 대상 농지를 판단하는 데 머물고 있음. ❍ 따라서 실제로는 사후 규제 성격을 지닌 농지처분명령이 경자유전 원칙을 구 현하는 수단이 되고 있음. 이 농지처분명령을 뒷받침하는 수단이 농지이용실 태조사임. - 하지만 농지이용실태조사 또한 철저한 현장 조사에 의한 실태 파악 수단으 로 한계가 있음. 이는 무엇보다 현지에서 조사에 투입되는 인력이 충분하 지 못하기 때문인데, 김수석·조원주·추성민(2020)에 따르면, 대부분의 읍·면 단위에서 농지이용실태조사 담당자는 1~2명에 불과하여 체계적인 조사 수행이 어려울 뿐 아니라 담당자들의 빈번한 교체로 조사의 전문성 확 보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이런 점에서 시·군 지자체의 농지관리 기능을 보완할 수 있는 농지관리 거버 넌스 운용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게 됨. 다시 말해, 이전의 농지관리위원회와 유사한 농지관리 거버넌스의 도입이 필요한지, 필요하다면 어떤 형태의 거버 넌스 조직이 바람직한지에 대한 검토가 요구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34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테마형 ETF의 성장 및 위험요인 1도토리 민준석
334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배경 및 전망 1도토리 이지훈
334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EU 제재의 제약요인과 영향 1도토리 이지훈
334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글로벌 경제를 위협하는 리스크: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통화 긴축, 중국경제 둔화 3도토리 이지훈
334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지방투자 활성화를 위한 산업인력정책 과제 1도토리 이지훈
334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러시아 은행산업 현황과 전망 1도토리 이지훈
334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국내 정책펀드 동향과 제도 개선 3도토리 이지훈
334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팬데믹 이후 주요국 경제 회복의 특징 비교 1도토리 류지원
334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인구구조 변화 및 선진국 정책금융기관의 대응 동향 1도토리 류지원
333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택 임대차 계약 후 필수 코스, 전월세신고제 1도토리 나혜선
333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우크라이나 사태의 전망 및 韓 경제에 대한 영향과 대응방안 1도토리 류지원
333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中 디지털 경제발전 제14차 5개년 계획과 시사점 1도토리 류지원
333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 및 경제 상황 1도토리 류지원
333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COVID-19 위기 이후 외환자금 유출입 변화와 외환시장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33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시장 반응과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33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물가상승압력 확산 동향 평가 1도토리 나혜선
333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국제유가 동향과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33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해외의 탄소세 운용 동향 및 탄소가격에서의 시사점 1도토리 정한솔
333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2년 개선된 세법 주요 내용 및 향후 과제 1도토리 정한솔
3329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최근 원화 약세 원인 분석 1도토리 박민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