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정책분석] 농촌 노인의 활동적 노화를 위한 노인일자리사업 개선과제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이지훈 | 조회수 | 40 | |
---|---|---|---|---|---|---|
용량 | 1.85MB | 필요한 K-데이터 | 7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정책 분석] 농촌 노인의 활동적 노화를 위한 노인일자리사업 개선과제.pdf | 1.85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2-01-11 |
---|---|
출처 :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페이지 수 : | 206 |
< 목 차 >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의 범위와 내용
3. 연구 방법
제2장 농촌 노인과 활동적 노화
1. 활동적 노화의 이해
2. 농촌 노인의 활동적 노화 현황
3. 소결
제3장 농촌 노인일자리사업의 실태 및 활동적 노화 측면의 효과
1. 노인일자리사업의 이해
2. 농촌 노인의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실태
3. 농촌 노인의 참여 경험과 활동적 노화 측면의 효과
4. 소결
제4장 농촌 노인일자리사업 평가: 역할과 한계
1. 현장 전문가 인식조사 개요
2. 현장 전문가 인식조사 결과
3. 소결
제5장 요약 및 개선과제
1. 주요 연구 결과 요약
2. 개선과제
3.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 논의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최근 한국 정부는 고령사회로의 급속한 이행에 대응하여, 유럽 등 선진국과 마 찬가지로 활동적 노화(active ageing)1)에 입각한 고령사회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박영란 외 2015: 249). 활동적 노화는 세계보건기구(WHO)가 고령사회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제시한 개념 틀로, “나이가 들어감에도 삶의 질을 확보할 수 있도록 건강, 참여, 안정성의 기회를 최적화하는 과정”(WHO 2002: 12)을 의 미한다. 노인을 수동적이고 의존적인 존재로 보던 시각에서 벗어나 긍정적이고 능 동적인 주체로 바라보고, 각종 보건·사회서비스, 고용, 자원봉사, 지역사회 참여 등 모든 분야에서 노인의 사회적 참여를 강조함으로써 노인 삶의 질을 증진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1) active ageing은 ‘활동적 노화’, ‘활기찬 노후’, ‘활기찬 고령화’, ‘활기찬 노년’, ‘능동적 노화’ 등 다 양한 용어로 번역되어 활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active ageing이 활동이론(activity theory)에 기초 하였음을 고려하여 ‘활동적 노화’라는 용어를 사용코자 한다. 4 ❙ 동 개념은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 거주(Ageing2) in place)’를 가능케 하는 ‘고령 친화환경(Age-friendly environments)’ 구성의 근간을 제공하는 등, EU와 같 이 고령화가 일찍 시작된 선진국가들을 중심으로 고령사회 정책에 변화를 가져왔 다. 국내에서는 1997년 경제위기를 거치며 노인의 적극적인 사회적 참여와 역할 이 강조된 이래, 2006년 국가 장기종합전략, 제1~4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등 고령사회 정책의 주요 기조로 자리 잡았다. 시도별 고령인구 구성비(2017년, 2035년, 2047년) 자료: 통계청 보도자료(2019. 6. 27.) “장래인구특별추계(시도편): 2017~2047년.”. 하지만 국내에서도 고령화 현상이 현저한 농촌에서는3) 노인들의 노후생활이 전반적으로 열악한 것으로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삶의 질 증진을 위해 활동 적 노화를 지향하는 정책적 관심이 높지 않다. 농촌은 지난 경제성장 과정에서 젊은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