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농촌 노인의 활동적 노화를 위한 노인일자리사업 개선과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지훈 조회수 106
용량 1.85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 분석] 농촌 노인의 활동적 노화를 위한 노인일자리사업 개선과제.pdf 1.8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1 
출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페이지 수 : 206 

< 목 차 >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의 범위와 내용

3. 연구 방법

 

제2장 농촌 노인과 활동적 노화

1. 활동적 노화의 이해

2. 농촌 노인의 활동적 노화 현황

3. 소결

 

제3장 농촌 노인일자리사업의 실태 및 활동적 노화 측면의 효과

1. 노인일자리사업의 이해

2. 농촌 노인의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실태

3. 농촌 노인의 참여 경험과 활동적 노화 측면의 효과

4. 소결

 

제4장 농촌 노인일자리사업 평가: 역할과 한계

1. 현장 전문가 인식조사 개요

2. 현장 전문가 인식조사 결과

3. 소결

 

제5장 요약 및 개선과제

1. 주요 연구 결과 요약

2. 개선과제

3.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 논의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최근 한국 정부는 고령사회로의 급속한 이행에 대응하여, 유럽 등 선진국과 마 찬가지로 활동적 노화(active ageing)1)에 입각한 고령사회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박영란 외 2015: 249). 활동적 노화는 세계보건기구(WHO)가 고령사회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제시한 개념 틀로, “나이가 들어감에도 삶의 질을 확보할 수 있도록 건강, 참여, 안정성의 기회를 최적화하는 과정”(WHO 2002: 12)을 의 미한다. 노인을 수동적이고 의존적인 존재로 보던 시각에서 벗어나 긍정적이고 능 동적인 주체로 바라보고, 각종 보건·사회서비스, 고용, 자원봉사, 지역사회 참여 등 모든 분야에서 노인의 사회적 참여를 강조함으로써 노인 삶의 질을 증진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1) active ageing은 ‘활동적 노화’, ‘활기찬 노후’, ‘활기찬 고령화’, ‘활기찬 노년’, ‘능동적 노화’ 등 다 양한 용어로 번역되어 활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active ageing이 활동이론(activity theory)에 기초 하였음을 고려하여 ‘활동적 노화’라는 용어를 사용코자 한다. 4 ❙ 동 개념은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 거주(Ageing2) in place)’를 가능케 하는 ‘고령 친화환경(Age-friendly environments)’ 구성의 근간을 제공하는 등, EU와 같 이 고령화가 일찍 시작된 선진국가들을 중심으로 고령사회 정책에 변화를 가져왔 다. 국내에서는 1997년 경제위기를 거치며 노인의 적극적인 사회적 참여와 역할 이 강조된 이래, 2006년 국가 장기종합전략, 제1~4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등 고령사회 정책의 주요 기조로 자리 잡았다. 시도별 고령인구 구성비(2017년, 2035년, 2047년) 자료: 통계청 보도자료(2019. 6. 27.) “장래인구특별추계(시도편): 2017~2047년.”. 하지만 국내에서도 고령화 현상이 현저한 농촌에서는3) 노인들의 노후생활이 전반적으로 열악한 것으로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삶의 질 증진을 위해 활동 적 노화를 지향하는 정책적 관심이 높지 않다. 농촌은 지난 경제성장 과정에서 젊은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34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테마형 ETF의 성장 및 위험요인 1도토리 민준석
334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배경 및 전망 1도토리 이지훈
334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EU 제재의 제약요인과 영향 1도토리 이지훈
334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글로벌 경제를 위협하는 리스크: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통화 긴축, 중국경제 둔화 3도토리 이지훈
334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지방투자 활성화를 위한 산업인력정책 과제 1도토리 이지훈
334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러시아 은행산업 현황과 전망 1도토리 이지훈
334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국내 정책펀드 동향과 제도 개선 3도토리 이지훈
334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팬데믹 이후 주요국 경제 회복의 특징 비교 1도토리 류지원
334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인구구조 변화 및 선진국 정책금융기관의 대응 동향 1도토리 류지원
333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택 임대차 계약 후 필수 코스, 전월세신고제 1도토리 나혜선
333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우크라이나 사태의 전망 및 韓 경제에 대한 영향과 대응방안 1도토리 류지원
333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中 디지털 경제발전 제14차 5개년 계획과 시사점 1도토리 류지원
333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 및 경제 상황 1도토리 류지원
333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COVID-19 위기 이후 외환자금 유출입 변화와 외환시장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33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시장 반응과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33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물가상승압력 확산 동향 평가 1도토리 나혜선
333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국제유가 동향과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33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해외의 탄소세 운용 동향 및 탄소가격에서의 시사점 1도토리 정한솔
333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2년 개선된 세법 주요 내용 및 향후 과제 1도토리 정한솔
3329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최근 원화 약세 원인 분석 1도토리 박민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