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분석] 스마트 팜 최근 현황 및 시사점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국준아 | 조회수 | 73 | |
---|---|---|---|---|---|---|
용량 | 4.03MB | 필요한 K-데이터 | 7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산업분석] 스마트 팜 최근 현황 및 시사점.pdf | 4.03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1-10-15 |
---|---|
출처 :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페이지 수 : | 76 |
1. 이슈 분석
스마트 팜 최근 동향과 시사점
2. 주요 동향
1) 과학기술 15
미국, 에너지부 인공지능기술실 프로그램 계획안 발표 15
일본, 재생에너지정책 최근 동향 발표 17
일본, 디지털 시대의 반도체 산업과 각국 정책 현황 고찰 19
중국, 2021년 중대 분야 크로스 프런티어 방향 발표 21
독일, 4대 부문 범부처 혁신전략 제안 23
독일, 수소경제 가치사슬 구현을 위한 4개 분야 권고안 발표 25
EU, 2021 전략예측보고서 발표 27
OECD, 인공지능 기술 관련 인적 자본 수요 분석 29
2) ICT 31
韓 인공지능·플랫폼 기업, 기술·경험 축적해 해외 진출 활기 31
국내 클라우드 시장, 첨단 ICT깅버 진출 봇물 이루며 경쟁 각축 36
K-수소동맹 출범···수소경제 선도를 위한 민간역량 결집 39
韓·美·中, 차세대 이동통신 6G 주도권 확보 잰걸음 45
美-EU, 무역기술위원회 신설···반도체·AI 대서양 동맹 강화 50
일본 자동차 기업, 자율주행·eVTOL 등 모빌리티 영역 확장 52
3. 단신 동향
1) 해외 57
2) 국내 65
4. 주요 통계
1 스마트 팜 정의 및 필요성 빅데이터, AI, 무인자동화 등 융합기술을 온실・축사 등에 접목하여 원격・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관리할 수 있는 지능화된 시설농장 의미 농・축산 생산시설의 환경 및 생체정보의 계측과 판단을 통해 기존 관행적・경험적 농업기술에 의존하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적절한 제어・처방 - 최소한의 노동・에너지 투입을 통해 생산성 극대화 및 고품질의 농업, 축산 제품 생산이 가능한 기술 < 스마트 팜 개념 > ※ 자료 : 농촌진흥청(2016) ‘RDA인테러뱅179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2018.10) ‘스마트 팜 현장착근을 위한 기술 정책 제고 방안’, 언론보도종합 유럽 농기계위원회(2017)는 기술발달에 따라 농업의 발전과정을 구분, 녹색혁명을 통한 농업 생산성의 획기적 증가를 Agriculture 2.0, GPS를 활용한 맞춤형 정밀농업 기술의 등장을 Agriculture 3.0으로 정의 - 2010년대 초반 ICT기술 융합을 통해 정밀농업이 심화・발전된 형태인 스마트 팜은 Agriculture 4.0, 인공지능과 로봇을 활용한 무인・자율 의사결정 농업시스템은 Agriculture 5.0으로 정의 1) 정보통신기획평가원 박주혁 책임(jhp@iitp.kr) 2 < 스마트 팜의 세대별 구분 > 발전 단계 시기 특징 Agriculture 1.0 1900년대 초반 (전통농업) ⦁노동 집약적이며 생산성이 낮은 관행농업 ⦁식량제공에는 성공했으나 투입인력 소모가 지나치게 큼 Agriculture 2.0 1950년대 후반 (녹색혁명) ⦁비료, 농약, 농기계 활용 확대로 녹색혁명 이룸 ⦁투입재 비용이 절감되면서 생산성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으며, 더불어 농업의 규모를 대폭 증가 Agriculture 3.0 1990년대 중반 (정밀농업) ⦁GPS를 이용한 정밀농업 기술 등장 ⦁정밀농업 기술의 성숙에 따라 비용절감은 물론 품질개선 및 다양화 등으로 목표가 확대 Agriculture 4.0 2010년대 초반 (스마트 팜) ⦁ICT 기술과 농업용 기계와의 결합을 통한 정밀농업의 디지털화, 클라우드 기반 ICT시스템, 빅데이터 등 기술발전에 근거 ⦁non-physical service, eco-system, cooperation의 중요성 증대, “Industry 4.0”의 농업 버전 ⦁스마트 팜, 디지털농업, 데이터농업과 동일한 개념 Agriculture 5.0 현재 ⦁Robotics 및 AI 기반의 무인/자율 의사결정 시스템 ※ 자료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스마트 팜 현장 착근을 위한 기술정책 제고방안”(2018) 국내는 농・축산업 인구 고령화와 젊은 층 유입 감소 및 생산면 축소에 따른 소득・수출・성장률 정체 등에 따른 관련 산업 지속가능성 위기 지난 10년간(2009~2019년) 농가 수 및 농가인구는 전년대비 지속 감소 * 농가 수 감소율(전년대비 %) : (’16)△1.9→(’17)△2.5→(’18)△2.0→(’19)△1.3 * 농가인구 감소율(전년대비 %) : (’16)△2.8→(’17)△3.0→(’18)△4.4→(’19)△3.0 < 농가 수 및 농가인구 추이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