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바이오화학 산업 및 정책 현황과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122
용량 2.85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바이오화학 산업 및 정책 현황과 시사점.pdf 2.8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1-12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페이지 수 : 80 

< 목 차 >

 

1. 이슈 분석 
   바이오화학산업·정책 동향 및 시사점  1
 

2. 주요 동향
  1) 과학기술 
    미국, 2021 국가 나노기술 이니셔티브 전략 계획 발표  16
    미국, 탄소포집저장 기술 및 지원 정책 현황 발표  18
    미국, 양자 컴퓨팅과 양자 통신 기술 정책 방향  20
    미국, 해외 위협으로부터 보호하여야 할 중요 핵심 기술 선정  22
    중국, 국가 표준화 발전 요강 발표  24
    중국, 대학생 혁신창업 지원방안 발표 26
    독일, 2045 기후 목표 실현을 위한 시나리오 및 권고안 제시  28
    EU, 주요국 수소활용전략 동향  30
  2) ICT  
    초연결 시대, 개인·사회 전체를 위협하는 '디지털 블랙아웃'  32
    차세대 우주·통신산업 이끌 '저궤도 위성'시장 선점 경쟁 각축  39
    미국, 실리콘밸리 주요 기업의 미래 투자···메타버스 시장 정조준  46
    중국, 빅테크 기업 반(反)독점 고삐 조이며 규제 강화  50
    영국, AI 국가전략 발표···장기전략으로 AI 초강대국 유지 목표  52
 

3. 단신 동향 
  1) 해외  58
  2) 국내  68
 

4. 주요 통계 

 


 

1 바이오화학산업 개념 및 의의 석유화학 중심의 화학산업 패러다임 변화를 위해서는 석유자원의 대체가 필요하며 이는 바이오화학을 통해서 달성 가능 기존 화학산업의 공정 및 탄소집약도가 낮은 화석원료 사용과 같은 점진적 감축전략과 함께, 원료대체(Alternative Feedstock) 등의 혁신적인 감축 필요 일찍이 업계 내에서는 화학산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으며, 그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 바이오화학 - 기존 高탄소인 석유화학 원료를 低탄소 기반 바이오화학 원료로 대체하여 온실가스 발생저감 및 친환경 산업으로의 전환 도모 세계 각국의 탄소중립 선언이 이어지는 가운데 바이오화학산업은 현재 당면한 환경오염과 기후변화, 자원고갈 문제에 대응하면서 우리 경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동시에 가능케 하는 산업인 관계로 그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높음 바이오화학산업은 재생 가능한 생물자원인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사용하여 산업적 목적의 최종 및 중간제품을 생산 및 응용하는 바이오산업을 총칭하는 개념 바이오기술이 적용된 분야 중 하나로서, 화이트바이오, 산업바이오2) 등으로 지칭 - 바이오기술∶생물체가 가지는 기능(유전・번식・성장・자기제어 및 물질대사 등)과 정보를 활용하여 인류에게 필요한 물질과 서비스를 가공・생산하는 기술을 의미 - 바이오기술은 응용 분야에 따라 레드(Red), 그린(Green), 화이트(White) 바이오로 분류, 적용 범위가 넓어지면서 ‘레드바이오(보건의료) → 그린바이오(농업) → 화이트바이오(산업)’로 확대 1) 한국화학연구원 정책연구실 실장 최호철(hchoe@krict.re.kr), 화학정보팀 팀장 김용진(koine@krict.re.kr), 정주미 연구원(obersee@krict.re.kr) 2) 유럽 바이오산업연합(EuropaBio)은 White Biotechnology로 표기(2003년)/미국 무역위원회(ITC) IBT(Industrial Biotechnology)로 표기(2008년) 2 < 바이오기술 적용 분야에 따른 분류 > 레드바이오 그린바이오 화이트바이오 보건・의료 분야 농업・식품・자원 분야 화학・에너지 ex. 바이오의약, 생체기반 의료제품 등 ex. 기능식품, 생명 자원, 종자, 농산물 신소재 등 ex. 바이오기반 플라스틱・연료・정밀화학 등 * 출처∶관계부처 합동, 「바이오산업 혁신 정책방향 및 핵심과제」, 2020 바이오화학은 자원 관점으로는 화석연료에서 바이오매스로 대체를, 공정 관점 으로는 바이오 리파이너리(Bio-refinery)로의 전환을, 최종 산출물 관점에서는 새로운 특성을 지닌 제품군과 서비스 창출을 의미 - 생물체로부터의 분리정제기술 혹은 생명공학기술을 연구개발 또는 생산 과정에 이용하여 화합물을 제조 및 수입, 연구개발하거나 에너지를 획득하는 산업[의약적 이용이 주가 되는 제품은 제외](국가기술표준원, 「바이오산업 분류코드」, 2016) - 지구온난화, 자원고갈 등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생물자원 및 생물공학기술을 활용해 에너지와 소재 등을 생산하고 관련 산업과 서비스를 창출하는 바이오 분야(관계부처합동, 「제3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17~’25)」, 2017) < 바이오화학 가치사슬 > 바이오화학산업에 대한 범위는 기관별로 다양하며, 본 분석에서는 바이오화학산업에 대한 기존 범위를 토대로 포괄적인 동향을 살펴보았음 2016년 발표된 「바이오산업 분류체계(국가기술표준원)에 따르면, 바이오산업 내 바이오화학・에너지산업으로 분류하여 범위를 규정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34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테마형 ETF의 성장 및 위험요인 1도토리 민준석
334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배경 및 전망 1도토리 이지훈
334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EU 제재의 제약요인과 영향 1도토리 이지훈
334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글로벌 경제를 위협하는 리스크: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통화 긴축, 중국경제 둔화 3도토리 이지훈
334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지방투자 활성화를 위한 산업인력정책 과제 1도토리 이지훈
334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러시아 은행산업 현황과 전망 1도토리 이지훈
334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국내 정책펀드 동향과 제도 개선 3도토리 이지훈
334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팬데믹 이후 주요국 경제 회복의 특징 비교 1도토리 류지원
334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인구구조 변화 및 선진국 정책금융기관의 대응 동향 1도토리 류지원
333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택 임대차 계약 후 필수 코스, 전월세신고제 1도토리 나혜선
333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우크라이나 사태의 전망 및 韓 경제에 대한 영향과 대응방안 1도토리 류지원
333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中 디지털 경제발전 제14차 5개년 계획과 시사점 1도토리 류지원
333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 및 경제 상황 1도토리 류지원
333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COVID-19 위기 이후 외환자금 유출입 변화와 외환시장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33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시장 반응과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33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물가상승압력 확산 동향 평가 1도토리 나혜선
333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국제유가 동향과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33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해외의 탄소세 운용 동향 및 탄소가격에서의 시사점 1도토리 정한솔
333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2년 개선된 세법 주요 내용 및 향후 과제 1도토리 정한솔
3329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최근 원화 약세 원인 분석 1도토리 박민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