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주요국 무역기술장벽 대응정책 현황과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100
용량 4.44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주요국 무역기술장벽 대응정책 현황과 시사점.pdf 4.4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2-24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페이지 수 : 76 

[ 목 차 ]

 

1. 이슈 분석 
   주요국 무역기술장벽 대응정책 동향 및 시사점 1

 

2. 주요 동향  
  1) 과학기술 
    미국, 건설 자재를 위한 탄소 저장 기술개발 투자 발표  16
    일본, 국제우주정거장 성과창출활동 현황 발표  18
    일본, 코로나 극복·신시대 개척을 윟나 경제대책 발표  20
    중국, 2020년도 국가과학기술장려대회 개최  22
    중국, 정보통신사업 14.5발전계획 발표  24
    독일, 녹색 철강 생산기술 실증 프로젝트  26
    EU, 디지털 유럽 3개 워크 프로그램 채택  28
    IEA, 2021년 에너지 효율성 보고서 발표  30

 

  2) ICT  
    글로벌, 반도체 패권경쟁 심화···파운드리 투자 경쟁 각축전  32
    팬데믹 효과로 성장 가도에 탑승한 SD WAN 시장  36
    국·내외 기업, 현실과 가상세계 잇는 메타버스 시장 속속 진출  41
    미국, 가상자산 규제 로드맵 제시하며 제도적 기반 마련  45
    미 TIME 紙, 2021년 100대 혁신 발표···AI 분야 5개 선정  48
    일본, 우주산업 선도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기술개발 한창  53

 

3. 단신 동향  
  1) 해외  56
  2) 국내  65

 

4. 주요 통계 

 


 

1 개요 선진국을 비롯한 다수 국가에서 자국민의 보건・안전, 환경보호 등 삶의 질적 향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무역기술장벽(TBT) *이 중요하게 대두 * 무역기술장벽(TBT, Technical Barriers to Trade)은 국가간 서로 상이한 기술규제, 표준, 적합성평가절차 등이 국가간의 교역에 불필요한 장애요인을 형성하는 것의 포괄적 지칭을 의미 무역의 자유화, 세계화로 관세부과와 수입수량제한 등과 같은 전통적인 무역장벽은 감축, 폐지되고 있으나, 기술규제, 표준, 적합성평가절차 등의 기술장벽 관련 규제가 비관세장벽으로 부각 기술규제*는 상품 특성, 관련 공정 및 생산방법을 기술한 문서로 이행에 강제성이 있으며, 법, 제도와 연계하여 정부 주도로 개발됨 * Technical Regulations < TBT 통보문 처리절차 > 출처: 통합무역정보서비스(www.Tradenavi.or.kr) 1) 주요국 무역기술장벽(TBT) 대응 체계 분석 및 시사점(2017, 국가기술표준원・한국표준협회)의 내용을 근간으로 주요국 관련 최신 정보를 갱신하여 구성 2 < 무역기술장벽(TBT)의 유형 > 순번 유형 1 일치화되지 않은 표준 2 자국제품과 수입제품의 차별적 대우 3 적합성 평가 절차의 중복 4 적용되는 법률 및 기술규정의 투명성 부재 5 관료주의적 절차 6 외국의 유사인정 불인정 등 7 수입국에서 적용되는 민간 임의표준에 대한 인증 없이 시장 진입 불가 경우 출처: 통합무역정보서비스(www.Tradenavi.or.kr), 규제안내 (WTO TBT 협정의 목적) (1) 기술규정, 표준 및 적합성평가절차가 국제 교역에 불필요한 장애를 초래하지 않도록 보장하고, (2) 정당한 목적* 수행에 필요 이상으로 무역을 규제하지 아니하도록 함 * 정당한 목적으로는 국가안보, 기만적 관행의 방지, 인간의 보건이나 안전, 동식물의 생명, 건강 및 환경보호 등이 해당 (WTO TBT 협정의 주요 원칙) 기술규정, 표준 및 적합성평가절차가 국제교역에 있어 불필요한 무역장벽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원칙과 의무사항 - (비차별 원칙) 회원국은 수입 물품에 기술규정 및 표준을 적용함에 있어, 국내 및 타 회원국의 동종 제품을 차별하지 않아야 함 - (국제표준의 채택) 기술규정, 표준 및 적합성평가절차를 적용함에 있어서, 관련 국제표준이 있으면 이를 채택하여야 함 - (투명성 보장) 기술규정이나 적합성평가절차가 국제표준과 일치하지 아니하고, 회원국의 무역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우, 이를 회원국에게 통보하여야 함 2 무역기술장벽 증가 추세 무역기술장벽(TBT)은 ’95년 WTO 설립 이후 연평균 9%씩 증가 → 비관세장벽으로 작용해 수출・수입 기업에 영향 증대 선진국은 350건 내외로 매년 유사한 동향을 보이고, 최빈개도국은 ‘15년 이후 기술장벽의 도입이 급증하고 있으며, 개발도상국에서는 꾸준히 기술장벽이 증가하는 추세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32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中의 소득 불평등 현황 및 재분배정책 추진 평가 1도토리 박민혁
332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의 오미크론 변이 확산 대응전략 및 시사점 1도토리 박민혁
332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한국형 가치사슬의 구조변화와 과제 3도토리 박민혁
332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디지털세 최종 합의 내용 및 향후 과제 1도토리 박민혁
332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그린워싱(Greenwashing) 사례 및 규제 강화 1도토리 오민아
332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팬데믹 이후 美의 기대 인플레이션 동향 및 연준의 인식 변화 1도토리 오민아
332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최근 인도네시아의 주요 광물 수출 중단조치의 배경 및 시사점 1도토리 오민아
332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中 탄소중립 정책 주요 내용과 전망 1도토리 오민아
332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성장하는 펫케어 산업 최신트렌드 및 韓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 7도토리 민준석
331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2년 세계경제 전망과 위험 요인 1도토리 민준석
331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미・중 무역분쟁의 현황 및 향후 영향 검토 1도토리 민준석
331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청정수소 생태계, 산업용 수소 및 산업 간 협력 모델 주목 1도토리 민준석
331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년 글로벌 지급결제 주요 트렌드 및 전망 1도토리 민준석
3315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50 탄소중립을 위한 자본시장의 변화와 발전 과제 1도토리 김민성
3314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COVID-19 이후의 미래_10대 경제 키워드(2022년) 3도토리 김민성
331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국내외 인플레이션 장기화 리스크 점검과 영향 3도토리 김민성
3312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2050 탄소중립 대응 위한 건설사 6대전략 1도토리 국준아
331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_건설업의 도전 및 과제 3도토리 국준아
331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인플레이션, 시장의 예측실패는 반복될까 1도토리 정한솔
330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中 경제의 위험 요인 및 영향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