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정책분석] 미국 경쟁법 발의 및 시사점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강정훈 | 조회수 | 53 | |
---|---|---|---|---|---|---|
용량 | 3.53MB | 필요한 K-데이터 | 7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정책분석] 미국 경쟁법 발의 및 시사점.pdf | 3.53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2-03-18 |
---|---|
출처 :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페이지 수 : | 83 |
1. 이슈 분석
미국 경쟁법(The America COMPETES Act) 발의와 시사점 1
2. 주요 동향
1) 과학기술
미국, 5G 기술 관련 주요 기업의 특허 활동 현황 19
미국, 달 궤도와 달에 대한 우주 탐사 프로젝트 현황 21
미국, 국제적 관점에서 미국 반독점 법제에 대한 분석 23
일본, 철강·화학산업의 탄소중립 관련 대응 25
일본, 확대되는 미중 기술패권경쟁 27
중국, 국가 응급체계 14.5계획 발표 29
EU, 배터리 연합 2022년 5대 우선순위와 배터리 아카데미 31
WEF, 바이오 제조 혁명의 가속화 방안 33
2) ICT
MWC 2022, 3년 만에 오프라인 행사 재개하며 미래 기술 총집합 35
MIT 테크놀로지 리뷰, '2022 10대 핵심기술' 선정···ICT가 절반 차지 43
미국, 2022년 3G 서비스 중단···이동통신 세대교체 본격화 48
中, 2022년 '양회(兩會)' 개최···인프라 및 제조업 투자 강화 51
日, 자율운항 선박 기술 선점 행보 가속···'25년 상용화 목표 55
日,'소니-혼다' 합작사 설립 등 친환경 모빌리티 시장 공략 58
3. 단신 동향
1) 해외 61
2) 국내 72
4. 주요 통계
전방위적으로 확산된 미-중 패권경쟁은 경제 분야뿐만 아니라 사회 분야까지 영향을 미쳤고, 미국 정부는 중국 견제 필요성을 공감하며, 전략적 대응 법안들을 발표 트럼프 대통령 행정부 당시 對中 관세 추가 부가로 시작된 미-중 무역 분쟁은 환율 조작국 지정, 기술 분쟁, 인적 교류 축소 등 전방위적으로 확산되면서 패권경쟁으로 확산 - 중국 부상에 따른 위기감이 단순히 경제 분야뿐만 아니라 국방, 문화, 사회 등 미국 내 전 분야로 확산 - 이에 중국 견제의 필요성이 행정부, 입법부 그리고 공화당-민주당을 불문하고 공감하며, 중국 견제를 위한 초당적 종합세트 법안을 추진 - 미국의 최우선 과제는 자국 산업 경쟁력이며, 과학기술에 대한 투자 확대 및 미국 중심의 공급망 구축 등 미국의 경쟁력 극대화 전략이 중심이며, 이를 기반으로 중국을 견제하겠다는 내용이 법안에 포함 미국 상원의 ‘미국 혁신 경쟁법’ *에 이어 하원도 과학기술 수준을 높여 중국의 기술굴기에 대응한다는 동일한 취지에서 ‘2022년 미국 경쟁법’ **을 가결하였으며, 보다 광범위하고 촘촘한 법안들이 포함되어 있음 * U.S. Innovation And Competition Act of 2021・USICA2) ** America Creating Opportunities for Manufacturing, Pre-Eminence in Technology, and Economic Strength Act of 2022 or the America COMPETES Act of 2022・ACA3) - 2021년 6월 8일(현지시간), 미국 상원은 중국의 지정학적 부상에 맞서 외교 안보・산업・기술 등 총체적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미국 혁신 경쟁법안(USICA)’ *을 가결 - 하원에서도 미국이 중국보다 경제적으로 더 경쟁력을 갖추도록 하는 법안인 ‘2022년 미국 경쟁법(ACA)’ *을 발의(22년 1월 25일)・가결(2월 4일) * 미국의 전략적 지위 향상을 목표로 무역 정책 및 대외관계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조항이 포함 본고에서는 본 법안들의 등장 배경, 하원에서 발의한 ‘미국 경쟁법안’의 주요 내용 및 상원에서 발의한 ‘미국 혁신 경쟁법’ 과의 비교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 1) 현대경제연구원 정 민 연구위원(chungm@hri.co.kr) 2) S.1260 - United States Innovation and Competition Act of 2021. 3) H.R.4521 - America COMPETES Act of 2022. 2 1 미국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법안의 등장의 배경 가. 중국의 부상과 기술자립 중국 경제 규모 및 산업 경쟁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중국의 위상이 높아지자 미국의 경계심을 자극 중국의 경제 규모는 빠르게 성장하면서 세계 열강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경제 대국의 반열에 오름 - 중국의 경제 성장은 개혁개방 이후 풍부한 노동력을 바탕으로 전세계로 공산품을 공급하면서 시작 - 중국 경제는 중국의 GDP 규모는 1980년 3,030억 달러에서 2020년 14.7조 달러로 연평균 약 22.6% 증가 - 1980년 미국 GDP 규모는 중국 GDP대비 약 6배 수준이었으나, 2020년 1.4배 수준으로 격차가 축소되었고, 2026년에는 약 1.1배 수준까지 격차가 더 줄어들 전망 < 미국과 중국의 GDP 추이(명목기준) > 자료: IMF. 강대국으로 성장하기 위해 기술개발이 핵심이라는 것을 중국 정부는 직시하고, 산업 및 과학기술 정책을 추진함에 따라 미-중 간 핵심 기술 경쟁이 심화 - 2000년대 이후 중국은 경제의 급성장과 중국제조 2025, 일대일로 등 미국을 위협하는 글로벌 강국으로 성장하려는 정책을 추진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