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디지털 전환 시나리오별 韓 경제사회의 중장기적 변화 전망 및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지훈 조회수 102
용량 2.05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디지털 전환 시나리오별 韓 경제사회의 중장기적 변화 전망 및 시사점.pdf 2.0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04 
출처 : 국회미래연구원 
페이지 수 : 32 

< 목 차 >

 

요약

Ⅰ. 서론

Ⅱ.디지털전환 특화 CGE 모형 설계 및 활용

Ⅲ.디지털전환 시대 환경변화 시나리오 설계

Ⅳ.디지털전환 시나리오별 우리나라 중장기 변화 전망 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급속한 디지털전환 기술변화 이면에 존재하는 잠재적 기회, 위험요소, 그리고 기술변화와 경제사회시스템 간 괴리로 파생될 잠재적 문제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 이러한 배경 하, 본 연구는 전략적 미래예측 연구로서 미래 디지털전환 시대 환경변화 양상에 따른 중장기 경제사회적 영향을 산출하고, 디지털전환 시대 대응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함 • 분석 결과, 제도적, 정책적 환경이 기술변화 속도에 발맞춰 진화하지 않는다면, 디지털전환 시대 기술변화의 편향성에 의한 잠재적 부작용이 노동시장 양극화 및 소득 불평등 악화 등 형태로 확대될 수 있음을 확인함 - 디지털전환 기술발전에 따른 생산성 증대와 외부효과 등으로 중장기 경제성장 효과는 견인되나, 산업 집중도 확대, 정형 업무 대체에 따른 중숙련 수요 감소와 고용구조 양극화, 그리고 가계소득 불평등도 확대 등 파급경로를 바탕으로 경제성장의 포용성이 제한됨을 확인함 • 이에, 향후 디지털전환 시대 비전으로서, 디지털전환 기술과 학습 간 경주(race) 속 직무(숙련) 공급과 수요 간 상호작용이 촉진되는 “창조적 학습하는” 혁신체제를 지향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 - 특히, 디지털전환 기술진보에 따른 생산성 및 규모효과 증대, 기술변화에 대응한 노동시장의 민첩한 대응역량 강화, 그리고 기술변화에 따른 양극화 문제 해소를 위한, 미래 디지털전환 시대 산업 및 혁신정책 비전 설정 방향과 주요 정책과제를 아래와 같이 제안함 디지털전환 시나리오별 한국 경제사회의 요 약 중장기 변화 전망과 시사점 디지털전환 기술 확산을 위한 제도적 정비 디지털전환 외부효과 확대를 위한 플랫폼 확대 규제 체계 혁신 및 법/규제 선진화 디지털전환 기술 기반 혁신 기업 지원체계 정비 인적자원 학습권 보장을 위한 제도개선 직무 및 역량 중심 교육체제 구축 기업 주도 재직자 교육훈련 설계 재직자 학습 유인 체계 개선 일터혁신 및 학습활동 도모를 위한 전략적 노사관계 정립 평생학습 및 재교육 지원체계 정비 학습 사각지대 해소 및 수요자 맞춤형 학습 지원체제 정비 중장기 과업 수요 변화 예측 기반 교육 훈련체계 설계 교육기관 및 민간 평생학습체제 전문성 강화 노동시장 규범 재정립 노동시장 경직성 해소를 위한 노동 규범 재정립 및 제도개선 노사정 협업모델 모색 및 사회적 대화 플랫폼 구축 양질 데이터 생산, 개방, 활용을 위한 협력 플랫폼 확대 개방형 혁신 네트워크 촉진을 통한 가치창출 플랫폼 실질화 디지털 기술과 학습의 경주 속 창조적 학습하는 혁신체제 지향 미래 디지털전환 시대 혁신정책 비전 디지털전환 기술혁신 기반 규모효과 증대 디지털전환 기술발전에 대한 노동시장 적응력 확대 미래 디지털전환 시대 혁신정책 비전 및 주요 정책과제 제안 국회미래연구원 _ 5 국가미래전략 INSIGHT Ⅰ. 서론 □ 세계 각국은 디지털전환 기술패러다임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 혁신성장 어젠다를 재정의하고 있음 o 4차 산업혁명으로 일컬어지는 디지털전환 물결은 지금까지 각국이 유지해오던 산업 및 혁신생태계를 재편할 것으로 예상 - 디지털전환은 디지털 기반 및 지능형 기술발전으로부터 파급되는 경제사회 패러다임 전환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음 - 특히,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산업 및 혁신시스템의 변화를 예측하는 다수 전문가들은 디지털전환 급속화와 언택트 경제영역의 확장 가속화를 전망함(여영준, 2020) - 그에 따라, 세계 각국 정부는 국가 중장기 발전 비전을 디지털전환을 기반으로 재정의하고 있음* * 예로, 미국은 2015년 ’미국혁신전략(A Strategy for American Innovation)’을 발표하며, 디지털전환 기술 기반 혁신환경 조성과 국가 우선과제 해결을 도모하고자 함 * 중국의 경우, ‘제14차 5개년 계획(2021~2025)’ 내 7대 중점 산업 부문과 10대 응용 분야를 전략적으로 설정해, 디지털경제 생태계 형성을 도모하고자 함 * 우리나라 정부 역시, 2020년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발표하며, ‘디지털 뉴딜’이 포함된 국가발전전략을 제시함 □ 급속한 디지털전환 기술변화 이면에 존재하는 잠재적 기회, 위험요소, 그리고 기술변화와 경제사회시스템 간 괴리로 파생될 잠재적 문제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o 디지털전환은 경제사회시스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쳐 기회와 위기를 동시에 가져올 것으로 전망 - (디지털전환에 따른 기회요인) 디지털전환은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 산업 전반 생산성 향상 등을 바탕으로 경제 내 다양한 기회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 * 디지털 기술 도입 기업 비중이 10%p 늘어날 때 생산성 증가율은 1~2%p 확대되는 것으로 확인(Gal et al., 2019) - (디지털전환에 따른 위기요인) 한편, 지능형 기술침투 확대와 급속한 자동화에 따른 노동시장 붕괴, 기술격차 확대 따른 불평등·양극화 현상 심화 등이 전개될 것으로 예상됨* * 예로, Frey and Osborne(2017)은 미국 노동시장에서 급속한 자동화에 따른 일자리 대체 위험이 큰 일자리가 약 47%에 달함을 밝히기도 함 o 이러한 상황 속, 디지털전환 기술패러다임 확산 과정에서 마주하게 될 가능성과 주요 도전과제를 식별하고, 도전과제 해결을 위한 정책대안 탐색 노력이 강조되고 있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280 성장동력산업 메타버스 기술과 산업 현황 1도토리 이지훈
»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전환 시나리오별 韓 경제사회의 중장기적 변화 전망 및 시사점 3도토리 이지훈
3278 성장동력산업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 정책의 평가와 향후 과제 1도토리 이지훈
3277 성장동력산업 주요국의 반도체 산업 정책 및 공급망 변화 전망 7도토리 노민우
3276 성장동력산업 AI 반도체, 미래성장동력을 넘어 국가안보의 핵심기술로 부상 7도토리 전아람
3275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 시장동향 보고서(2021) 3도토리 전아람
3274 성장동력산업 6G 이동통신 기술 동향 1도토리 조정희
3273 성장동력산업 NFT 현황과 과제 3도토리 조정희
3272 성장동력산업 미래 스마트 팩토리 유망 서비스 3도토리 조정희
3271 성장동력산업 미국 내 메타버스 산업 현황과 전망 1도토리 조정희
3270 성장동력산업 자연어 음성인식 AI산업 동향 및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3269 성장동력산업 중국 메타버스산업의 발전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3268 성장동력산업 새로워진 핀테크 시장 1도토리 조정희
3267 성장동력산업 메타버스 기술 동향 및 산업 분야별 적용 사례 1도토리 조정희
3266 성장동력산업 풍력 발전 현황 및 산업 동향 1도토리 조정희
3265 성장동력산업 2022 식품외식산업 7대 이슈 1도토리 조정희
3264 성장동력산업 디지털로 바라본 우크라이나-러시아 사태 1도토리 나혜선
3263 성장동력산업 2021년 주요 완성차 그룹 실적 분석 1도토리 나혜선
3262 생명공학/바이오 스마트 의료서비스 산업 동향 3도토리 나혜선
3261 성장동력산업 차세대 질병 진단 및 스크리닝 기술 관련 연구 동향/ K-mRNA 백신을 위한 기술의 융합 3도토리 나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