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6G 이동통신 기술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122
용량 786.38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6G 이동통신 기술 동향.pdf 786.38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3-16 
출처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페이지 수 : 13 

5G NR 이동통신이 상용화되어 가입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이동통신 관련 협회, 학계, 산업계 등에서는 이미 다음 세대인 6G 이동통신 기술을 준비하고 있다. 5세대에 이르기까지 대략 10년을 주기로 새로운 세대의 통신 방식이 출현함에 따라 6G 이동통신 기술은 2030년경에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국제전기통신연합을 비롯한 여러 기관에서는 6G 이동통신의 비전, 기술 요구사항, 후보 기술에 대한 선행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관련 연구 결과들이 속속 발표되고 있다. 6G에서는 인간을 비롯한 매우 많은 사물들에 의한 대량 데이터 생성 및 소비, 고신뢰 초저지연 통신, 그리고 시스템에 전반적으로 반영되는 인공지능 기반의 서비스가 기본적으로 요구될 것이다. 본 고에서는 6G 이동통신의 비전, 2030년 사회적 변화 로 인해 필요한 서비스 및 요구사항 그리고 각 부분별로 요구되는 기술 및 성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I. 서론 1980년대 처음으로 1세대 아날로그 이동통신 서비스가 시작된 이후 지금까지 무선 이동 통신 기술은 급격하게 발전해 왔다. 대략 10년을 주기로 새로운 통신 방식이 상용화되어 왔으며 2019년 5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인 5G NR(New Radio)이 우리나라에서 세계 최초 로 상용화된 이후로 현재는 5세대에 접어든 상태이다. 국제전기통신연합 전파통신섹터 (ITU-R,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Radiocommunication Sector)에 서 제시한 5G NR에서의 세 가지 주요 특징 서비스인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 uRLLC(ultra 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와 관련된 기술은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release * 본 내용은 김근배 연구교수(☎ 02-2220-2184, gbkim@hanyang.ac.kr)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IITP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6G 이동통신 기술 동향 Chapter 01 기획시리즈-차세대통신(6G 등) 정보통신기획평가원 3 15에 이어 2020년 release16까지 승인되었고 2022년 Release17, 2023년 Release18로 규격이 완성될 것으로 예상된다[1]. 또한, 2023년경 ITU-R 6G 비전이 공표되면 3GPP는 6G에 대한 표준기술 규격 제정을 본격적으로 진행할 것이고, 2030년경에 6G 이동통신이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림 1]은 5G 및 6G 단계별 로드맵을 도식화하여 나타내 고 있다[2]. ITU를 비롯한 각국의 연구기관에서는 6G 이동통신이 상용화될 2030년의 변화될 사회를 미리 예상함으로써 6G 이동통신의 비전, 기술 요구사항, 예상되는 후보기술들에 대한 준비 를 진행하고 있다. ITU-T(ITU Telecommunication Sector)에서는 6G 이동통신 네트워 크의 3가지 특징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살펴보면, 첫째 산업전반에 자율적으로 작동하는 머신들의 출현과 새로운 미디어로서 홀로그램을 사용한 실시간 통신, 둘째 더욱 지능화되고 높은 신뢰도를 갖는 통신 서비스, 셋째 지상, 공중, 우주에서의 통신이 가능한 새로운 네트워 크 인프라의 출현으로 요약할 수 있다[3]. ITU에서 제시한 6G의 특징들을 실현하기 위한 기술규격 논의가 각국의 대학, 연구소, 산업체 등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4]-[8]. 우선, 국내에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6G 기술 상용화를 위한 6대 목표를 설정하여 방향을 제시하고 있고, 삼성전자, 엘지전자 등은 국내 대학, 연구소와 손을 잡고 5G에 이어 6G 통신기술을 선도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발표한 6G 백서에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308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생활공간 전자파 인체안전 인증 도입 방안 연구 7도토리 국준아
330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농촌 지역 장기요양서비스 실태와 정책과제 : 경제적 유인 방안을 중심으로 7도토리 한상윤
330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도농 상생을 위한 스마트워크 복합공간 조성 방안 연구 7도토리 한상윤
330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지방자치단체 농촌여성 정책 추진 현황과 발전 방안 7도토리 한상윤
330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과 제도화 방안 7도토리 한상윤
330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농업, 농촌 여건 변화 및 정책 과제 7도토리 국준아
330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농촌의 기업 입지 요인 및 기업활동 활성화 방안 7도토리 이지훈
330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농촌 노인의 활동적 노화를 위한 노인일자리사업 개선과제 7도토리 이지훈
330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스마트 물류 최근 현황 및 시사점 7도토리 이지훈
329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글로벌 R&D 세제지원 현황과 시사점 7도토리 황세영
329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해외 기술 유출 방지 정책 현황과 시사점 7도토리 황세영
329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최근 中의 사이버보안 정책 현황: 입법 규제를 중심으로 7도토리 국준아
329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스마트 팜 최근 현황 및 시사점 7도토리 국준아
329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젠더혁신 정책 현황 및 시사점 7도토리 국준아
329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바이오화학 산업 및 정책 현황과 시사점 7도토리 국준아
329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UAM 산업 현황 및 시사점 7도토리 국준아
329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 무역기술장벽 대응정책 현황과 시사점 7도토리 노민우
329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 과학기술정책 현황과 시사점(2021) 7도토리 노민우
329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술 트랜드 및 시사점(2022) 7도토리 노민우
328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일본의 과학기술 및 경제안보전략 추진 현황과 시사점 7도토리 정한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