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새로워진 핀테크 시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102
용량 2.98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새로워진 핀테크 시장.pdf 2.9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3-26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페이지 수 : 40 

글로벌 핀테크, 변방에서 주류로 최근 4~5년간 금융의 신산업이라 할 수 있는 핀테크가 급성장세에 있다. IT금융이라고도 할 핀테크 자체의 성장뿐만 아니라, 기존 금융사의 핀테크 활용 및 핀테크 업체와의 협력도 강화되고 있다. 그 결과 금융업에서 핀테크는 과거 금융의 변방에서 이제는 주류로 탈바꿈하고 있다. 시가총액으로 본 금융권 구조와 순위 변동이 단적인 예이다. 5년 전만 해도 금융권의 글로벌 시가총 액 상위권은 중국 공상은행, 웰스파고, JP모건, 중국은행 등 은행권의 독무대였다. 하지만 지금은 톱5 중에서 은행은 JP모건과 뱅크오브아메리카(BoA)뿐이고, 나머지는 대표적 핀테크라 할 수 있는 페이팔과 핀테크를 적극 활용·협력해서 핀테크 업체화(化)하고 있는 비자와 마스터카드가 그 위치 를 차지하고 있다. 투자 집중과 M&A가 성장 요인 핀테크는 어떻게 단기간에 급성장하게 됐을까. 시장에서는 벤처캐피탈 및 사모펀드(PE)가 핀테크 에 대규모로 투자한 점과 핀테크 업체 간 또는 기존 금융사의 핀테크 M&A의 두 가지를 그 주요 요 인으로 꼽는다. 핀테크 업체에 대한 글로벌 투자(VC·PE·M&A 포함)는 지난해 특히 급증해서 투자 건수가 5,684건으로 2020년 대비 51%, 투자금액도 2,101억 달러로 68% 증가했다. 투자가 가 장 많았던 분야는 지급결제(517억 달러)로 이는 B2B 후불결제(BNPL), 임베디드뱅킹 및 오픈뱅킹 제휴 솔루션과 같은 분야에 글로벌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블록체인 및 가 상자산 분야 투자(302억 달러)도 사상 최대로, 2020년 55억 달러에서 449% 급증했다. 또한 지난해 2분기에는 글로벌 벤처캐피탈 총 투자금액의 22%인 337억 달러(39조 원)가 핀테크 로 유입됐다. 이는 같은 기간 전자상거래(163억 달러), 인공지능(154억 달러), 사이버 보안(67억 달러) 등에 투자된 금액의 2배 또는 5배에 달하는 대규모다. 특히 핀테크 업체의 M&A는 핀테크 시장의 급성장 요인 중 하나다. 관련 M&A는 2020년에 이어 2021년에도 고공행진이었다. 핀테크 M&A 규모는 2020년 758억 달러, 2021년 831억 달러로 늘었 고 핀테크 분야에서의 크로스보더(Cross-border) M&A 거래액도 362억 달러로 전년 대비 3배 이상 증가해서 M&A를 통한 해외 진출 추세가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전문가들은 특히 핀테크 M&A는 M&A 주도업체의 비즈니스 모델은 물론, 금융업 전반의 구조를 빠르 게 변화시킬 수 있단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지난 10년간(2011~2020년) 핀테크 M&A는 급격한 증가세를 보였다. 2011년 16건에 불과했던 핀 테크M&A가 2020년에는 178건으로 건수 기준 1,000% 이상 증가했다. 특히 미국 기업들의 핀테크 M&A가 활발해서 10년간 총 383개를 인수했고 유럽 119건, 아시아·태평양 104건으로 그 뒤를 이었 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308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생활공간 전자파 인체안전 인증 도입 방안 연구 7도토리 국준아
330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농촌 지역 장기요양서비스 실태와 정책과제 : 경제적 유인 방안을 중심으로 7도토리 한상윤
330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도농 상생을 위한 스마트워크 복합공간 조성 방안 연구 7도토리 한상윤
330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지방자치단체 농촌여성 정책 추진 현황과 발전 방안 7도토리 한상윤
330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과 제도화 방안 7도토리 한상윤
330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농업, 농촌 여건 변화 및 정책 과제 7도토리 국준아
330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농촌의 기업 입지 요인 및 기업활동 활성화 방안 7도토리 이지훈
330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농촌 노인의 활동적 노화를 위한 노인일자리사업 개선과제 7도토리 이지훈
330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스마트 물류 최근 현황 및 시사점 7도토리 이지훈
329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글로벌 R&D 세제지원 현황과 시사점 7도토리 황세영
329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해외 기술 유출 방지 정책 현황과 시사점 7도토리 황세영
329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최근 中의 사이버보안 정책 현황: 입법 규제를 중심으로 7도토리 국준아
329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스마트 팜 최근 현황 및 시사점 7도토리 국준아
329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젠더혁신 정책 현황 및 시사점 7도토리 국준아
329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바이오화학 산업 및 정책 현황과 시사점 7도토리 국준아
329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UAM 산업 현황 및 시사점 7도토리 국준아
329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 무역기술장벽 대응정책 현황과 시사점 7도토리 노민우
329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 과학기술정책 현황과 시사점(2021) 7도토리 노민우
329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술 트랜드 및 시사점(2022) 7도토리 노민우
328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일본의 과학기술 및 경제안보전략 추진 현황과 시사점 7도토리 정한솔